Editor.
스켈터랩스에서는 배경이 모두 다른 다양한 멤버들이 함께 모여 최고의 머신 인텔리전스 개발을 향해 힘껏 나아가고 있습니다. 스켈터랩스의 식구들, Skeltie를 소개하는 시간을 통해 우리의 일상과 혁신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들어보세요!
스켈터랩스의 조깨비 조경희 님을 만나보세요:)
사진1. 스켈터랩스의 조깨비 조경희 님
Q. 자기소개를 부탁한다.
A. 이름은 조경희, 아이리스 팀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다. 2016년 8월에 입사했으니 이제 스켈터랩스에 합류한 지도 2년이 훌쩍 넘었다.
Q. 맡고있는 업무를 설명한다면?
A. 우리 팀은 일종의 실시간 맥락 인식(Context Recognition)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맥락 인식이 있겠지만, 현재 우리는 모바일 기기를 주요 디바이스로 삼고있다. 핸드폰을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우리의 기술이 알아서 사용자의 취향이라던지 성향, 좋아하는 음식부터 음악까지 다양한 정보를 여러 시그널을 바탕으로 추론하고자 한다. 이후에는 사용자에 딱 맞는 ‘추천'까지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Q. 핸드폰 하나로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추론할 수 있다는 부분이 신기하다. 조금 더 자세히 얘기해줄 수 있나.
A. 가령 내가 안드로이드 사용자라고 가정해보자. 우리가 택시를 부를 때 흔히 사용하는 것 처럼 내가 현재 위치한 곳을, 즉 장소 정보를 핸드폰은 알아서 수집하고 있다. 우리는 장소를 비롯하여 와이파이나 사운드, 배터리, 자이로센서 등으로부터 시그널을 수집하고, 스트리밍 프로세싱 엔진에 송출한다. 그럼 그 엔진에서 실시간으로 이러한 스트림(정보)를 받고, 받은 데이터를 조합하여 새로운 데이터로 변환한 후 다음 단계를 추론하다. 내가 만일 아침 9시쯤에는 항상 일정한 A라는 장소로 이동하고 있고, A 장소로 이동하는 길목에서 카페에 들러 커피를 한 잔 사는 일과를 가지고 있다면, ‘A는 사용자의 회사이고, 사용자는 출근하기 전 커피를 마시기를 즐기는 사람이다'라고 추론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상황에 대한 추론을 바탕으로, 조금 더 고차원적인 추론을 하거나, 사용자의 취향 및 패턴을 찾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아이언맨>에 등장하는 자비스(JARVIS)와 같은 퍼스널 어시스턴트(Personal Assistant)를 세상에 내보이고 싶다. 사실 자비스는 어디까지나 영화 속의 상상이 많이 묻어있고, 현재로서는 갈 길이 멀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스켈터랩스는 음성 인식이나 이미지(Vision), 챗봇과 같은 다양한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으며 각각의 기술력도 뛰어나다. 이 여러가지 기술이 총체적으로 구현된 서비스가 탄생한다면, 일상을 혁신적으로 바꿀 것이라고 생각한다.
Q. 지금까지의 개발 상황을 살짝 공개하자면?
A. 시장에 공개한 것을 기준으로 하자면, 일단 베타 버전으로 런칭한 앱 서비스 ‘큐(CUE)’ 이야기를 하고 싶다. 간단한 상황 인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추천을 제공한다. 가령 강수량이 높게 예고된 날에는 ‘우산 챙겨가'라고 카드를 띄워준다거나, 라면을 즐겨 먹는 사용자에게 ‘오늘은 라면 대신 건강한 샐러드 어때?’라고 말해주기도 한다. 사실 큐에 대한 사용자의 의견은 정말 가지각색이었다. 날씨 예보를 기반으로 한 추천의 경우 ‘너무 뻔해서 의미가 없는 것 같다’ 라고 생각하는 사용자가 있는 반면, 출근 직전과 같은 적시에 카드가 알아서 추천해주니 매우 편하게 느꼈다는 사용자도 있었다. 결국 나는 상황 인식이 사용자에게 유용한 서비스로 와닿기 위해서는 ‘정확성'이 큰 척도라고 생각한다. 적시에, 적절한 장소에서, 나에게 꼭 맞는 추천을 해주는 것,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개발이 상황 정보를 적절하게 받을 수 있는 플랫폼 구축 중심이었다면, 현재는 더 자세한 상황을 찾는 쪽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가령 사용자가 ‘지하철을 타고 이동한다'가 아니라, ‘어느 역에서 지하철에 탑승하여 어느 역에서 내렸다'까지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음악도 마찬가지다. 음악과 같이 엔터테인먼트 컨텐츠의 경우 단순히 ‘음악을 듣고 있다'라는 정보가 아니라, 취향 정보가 중요하다. 때문에 ‘어떤 가수의 어떤 음악을 들었다'까지 인식하여 이를 조합한 추론을 만들려고 한다.
사진2. 사내 Tech Talk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는 경희님
Q. 큐의 베타 서비스를 런칭하며 팀원들끼리 자축하던 장면이 떠오른다. 굉장히 뿌듯한 경험이었을 것 같다.
A. 나는 사실 뿌듯함 보다는 ‘갈 길이 멀다'라는 생각을 먼저 했다. 베타 버전이기도 했고, 개발한 우리 스스로도 정확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런칭을 결정한 이유는 명확하다. 다양한 사용자가 큐를 통해 어떤 경험을 얻고, 어떻게 느끼는지 들어야만 더욱 사용자의 핏에 맞는 정식 버전을 제대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모든 서비스가 마찬가지겠지만 나는 큐야 말로 많은 사용자와 함께 만들어가는 서비스라고 생각한다.
Q. 경희님 개인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다. 스켈터랩스에 어떻게 합류하게 되었는가.
A. 스켈터랩스의 CTO인 조성진 님과 같은 연구실에서 일했다. 연구를 마친 후 나는 전문연구요원으로 다른 회사에서 일을 했고, 성진님은 구글에 입사한 것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구글을 나와서 회사를 차렸다는 얘기를 듣게되었다. 그때만 해도 대기업이 주는 안정감을 놓칠 수 없어 대기업에 머물러있었다. 하지만 성진님을 자주 만나 스켈터랩스의 프로젝트가 어떠한 방향으로 구체화되고 있는지 들을수록 매력적으로 와닿았다. 대기업의 경우 조직의 구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쪼개진 일에 집중하게 된다. 하지만 스켈터랩스는 구성원들 모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방향성을 결정 짓고, 개발 환경을 선진적으로 꾸리고 있다는 점도 좋았다. 이러한 요소가 결국 스켈터랩스로의 이직을 결정지었던 것 같다.
Q. 스켈터랩스로 이직하여 얻은 가장 큰 성취를 꼽자면?
개인적으로 코드리뷰 문화를 통한 개발 실력의 발전을 꼽고 싶다. 다른 조직에서는 다른 사람이 내 코드를 봐주고, 평가하는 것이 마치 자존심 싸움처럼 여겨지곤 했다. 타인의 코드는 일종의 침범할 수 없는 ‘불가침 영역'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스켈터랩스에서는 코드리뷰가 너무나도 당연하다. 다른 사람에게 코드를 보여주고, 내 코드가 더욱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바꾸어주는 것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코드를 리뷰하는 사람도, 리뷰받는 사람도 모두가 윈윈(win-win)할 수 있다. 코드리뷰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이 문화가 마치 일의 효율을 저해하는 것 처럼 여겨질 수 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는 목표에 닿기 위한 가장 빠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확실히 여러 개발자의 리뷰를 거칠수록, 버그는 적어지고 개인의 실력이 향상될 뿐더러 시야도 넓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나 또한 같은 경험을 했다. 스켈터랩스에서 몇 개월 근무한 후, 내가 이전에 짜놓은 코드를 보면 ‘어떻게 이렇게 짜놓았지' 싶을 때가 있다. 개발 실력에 관한 이러한 성취를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는 없지만, 회사와 개인이 모두 발전할 수 있는 가장 의미있는 성취라고 생각한다.
Q. 반대로 스켈터랩스에서 개발을 하며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이 있을까.
개발 자체에 대한 어려움보다는 방향성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인공지능이라는 분야는 워낙 넓기도 하고, 상황인식 기술의 경우 근래에 크게 발전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세부 기술에 대해서는 시장 자체가 뚜렷하지 않다. 참고할만한 제품도, 경쟁사도 없기 때문에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내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있다. 언뜻 보기에는 경쟁사가 크게 없는 니치마켓(Niche market)처럼 여겨질 수 있지만, 기술을 쪼개고 쪼개어 들여다보면 하나의 기술을 바탕으로 각각 다른 사용자와 상황을 타깃으로 변주한 다양한 서비스가 등장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기술을 마냥 뭉뚱그린다면 기술에 대한 깊이가 얕아질 수 있고, 특정 상황과 사용자에게만 집중한다면 타깃이 좁아질 위험이 있다. 때문에 시장과 사용자에 대해 매 순간 유추하며 적절한 균형을 가지고 개발을 진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사진3. 프로젝트 별 Sync-up 미팅, 짧은 미팅을 통해 업무 효율을 높이고 있다
Q. 스켈터랩스의 개발 문화가 타 기업과 확고하게 다르다고 느낀 사례가 있다면, 그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듣고싶다.
A. 두 가지를 꼽고 싶다. 첫 번째는, 다른 분들도 많이 얘기했을 것 같지만 역시
Q. 개발자는 개발이 막히는 순간도 종종 맞닥뜨릴 것 같다. 그럴 때 어떻게 해결하는지 자신만의 팁을 공유한다면.
A. 고민의 양이 아니라, 그저 고민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나는 개발이 막혔을 때 스트레스를 꽤 많이 받는 편이다. 한 번 막히면 맥주를 마시면서도, 밥을 먹으면서도 항상 머리 한 구석에는 개발 고민을 이어간다. 꿈에서도 하도 코딩을 한 탓에, 와이프가 어느 날 “어젯 밤에도 ‘테스트 코드는 이렇게 해야지’ 라는 잠꼬대 하던데?”라고 말할 정도다. 그러다 신기하게도 개발을 아무 것도 모르는 제 3자와 얘기하다가 번뜩 방법이 떠오르곤 한다. 지극히 일상의 순간, 가령 샤워를 한다거나 멍하니 지하철을 타다가 해결책을 찾기도 한다. 이 방법이 훌륭한 팁은 아닐 수 있지만,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개발에 대한 고민을 놓지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얘기를 전하고 싶다.
사진4. 경희 님과 아내 분의 투샷
Q. 경희님이 회사에서 종종 드라마 얘기를 하는 것을 들었다. 드라마를 많이 보는 편인가, 하루 일과를 듣고 싶다.
A. 예전에는 <와우>라는 게임을 정말 많이했다. 덕분에 게임 동호회에도 가입해있는데, 요즘에는 <오버워치>나 <클래시로얄> 정도만 즐기고 있다. 결혼하고 와이프와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TV 시청이 늘었다. 와이프가 워낙 TV를 좋아하기도 하고 함께 집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가장 편리한 방법인 것 같기도 하다. 하루 일과는 그래도 일찍 시작하는 편이다. 와이프는 일곱시 쯤 일어나 출근하는데, 나도 보통은 맞춰서 함께 일어난다.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환경이다보니, 오전에는 주로 집에서 코딩을 하며 개발에 집중한다. 보통 점심 때 출근을 하거나, 미팅에 맞추어 출근하는 편인데, 오후 시간은 미팅과 개발 모두를 병행해서 꽤 정신 없이 하루가 흘러가는 것 같다.
사진5. 게임동호회에 가입하면, 회사의 지원을 받아 게임을 즐길 수 있다.
Q. 스켈터랩스에서 이루고 싶은 것을 듣고싶다.
A. 나의 꿈이 원래 ‘내가 개발한 기술이나 제품이 최대한 많은 사람에게 편리함을 주는 것'이었다. 우연히도 스켈터랩스의 미션인 “언제 어디서나 우리의 일상을 이해하고, 도와주고, 더 나아지게 하는 머신 인텔리전스의 혁신을 이룬다”와 일치하더라. 덕분에 내 꿈을 이루어나가는 것과 스켈터랩스가 혁신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성장하는 것은 궤를 같이한다. 그것이 내가 스티브잡스 처럼 특정 분야의 스타가 되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연속성이 있고 확장성이 있는 기술로 우리의 일상을 조금씩 더욱 편리하게 가꾸어나가고 싶다.
Q. 마지막 질문이다. 스켈터랩스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
A. 내가 입사했을 때만 해도 20명 정도에 불과했던 인원이 현재는 70여 명으로 늘었다. 체감상 인원이 조금씩 느는 것이 아니라 순간적으로 확 늘어나는 시기가 있는 것 같다. 그 때마다 약간의 침체기랄까, 분위기가 변하는 모습이 감지된다. 예전에는 사람이 적기 때문에 자연스레 커뮤니케이션이 자율적이이었지만, 사람이 늘어난 만큼 제한적인 커뮤니케이션 모습을 종종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 의식의 발로로 컬쳐커미티(Culture Committee)가 생겨났다. 커미티의 활동 덕분에 매주 1:1로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커피믹스와 같은 제도도 신설되었다. 이렇듯 지속적으로 우리만의 모습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었으면 좋겠다. “우리는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흔한 명대사지만 스켈터랩스 또한 내부적으로도, 외부적으로 늘 답을 찾아가길 바란다. 물론 나 또한 그 답을 찾는 여정에 함께할 테지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