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씨구나
잘 논다
좋은 어감은 아니다. 쟤 노는 애야. 어제 좀 놀았다. 잘 논다. 놀고 있네. 한국사회에서 '논다'의 어감은 다소 부정적이다. 성인의 입장에서는 더욱이 그러하다. 생산적이거나 효율적이지 않은 활동에 대한 야박한 평가가 담겨 있는 듯하다. 일상 속에서의 '놀이'의 어감은 이렇다.
한편 놀이는 우리의 삶과 떨어뜨리려야 떨어뜨릴 수가 없다. '논다'라는 표현을 시작으로 우리는 왜 이토록 놀고 싶어 하는지, 우리의 삶에서 놀이는 어떤 의미가 있는 건지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근대 이성주의를 넘어 하찮게만 여겨졌던 '놀이'가 재조명되는 데 첫걸음을 했던 요한 하이징하의 '호모 루덴스'를 만나보자.
호모 루덴스
놀이하는 인간
서구 전통사회에서 인간을 특징 지을 때 '인간은 생각한다'는 것을 강조하여왔다. 호모 사피엔스. 합리적인 추론과 이성 활동이 가능한 인류를 칭한다. 합리적인 인간관을 흔들어 놓은 요한 하이징하는 그의 저서 '호모 루덴스'에서 '놀이한다'야 말로 인간을 규정하는 본질이라 특징짓고 놀이를 중심으로 인류 문명사를 재점검한다. 필자는 하이징하의 호모루덴스의 맥락을 따라가며 놀이의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놀고 싶다
미친듯이
놀고 싶어 하는 것은 당연한 욕구이다. 그 역할이 생존에 직결되어 막대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놀이를 통해 생존 방식을 배우고 함께 사는 삶을 학습하고 자신에 대해 이해하게 된다. 같은 이유에서 동물도 논다. 반려동물을 키워본 경험이 있다면 자거나 먹거나 혹은 놀고 있는, 그것이 삶의 전부인 동물의 일상을 목격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부럽다...) 과거 놀이에 대해 과학자, 심리학자는 생존을 위한 트레이닝 과정, 유기체의 남아도는 에너지를 발산하거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놀이는 본능적으로 생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해석이다. 절대 걷지 않는 5세의 아이들-항상 뛰기 때문에-을 상상해보면 꽤 설득력 있는 주장이다. 기존 학계에서 놀이를 놀이 자체로 분석하지 않고 생존과 번식과 같은 생물학적 목적과 필요에 봉사한다고 분석한 반면에 하이징하는 놀이 자체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놀이를 놀이 안에서 분석한 '호모루덴스'가 정의한 놀이의 특징을 살펴보며 우리가 일고 있던 놀이에 대해 재고해보자.
첫째, 놀이는 자발적이다. 시켜서 하는 것은 놀이가 아니다. '난 사장이다!' 상상하고 거드름 피우며 사장을 흉내 내는 것은 진정 놀이이지만, 사장이 되어버려서 하릴없이 사장됨의 의무를 다하다 보면 이것은 필히 놀이일 수가 없다. (개인적인 이야기는 아니다...) 같은 맥락으로 원할 때 언제든지 할 수 있고 그만하고자 하면 언제든 그만둘 수 있다.
둘째, 놀이의 세계는 탈일상적이다. 다른 이유에서 역시나 사장놀이는 사장에게는 놀이가 아닌 것이다. 어린아이들의 놀이를 가만히 살펴보면 그들은 현실과는 다른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몰입한다. 교실 한편에 옹기종기 모여 앉아 '우리 이제 초등학생 놀이를 하는 거야!'라고 제안한 누군가는 필히 책상에 붙어 앉아 있길 원하는 선생님이거나 비슷한 목적을 가진 X맨 일 것이다. 혹은 교실 한편에 옹기종기 모여 앉은 아이들이 동전 뒤집기에 한창 열을 올릴 때 그들이 목적하는 것은 재화의 의미의 '동전'이 아니라 게임에서 이겼을 때의 보상인 '동전'인 것이다. 정리하자면, 현실과는 다른 또 다른 세계에서 일상적인 목적과 필요로부터 벗어난 것이 놀이다.
셋째, 놀이에는 물리적이거나 가상이거나 놀이를 위한 고유의 시공간이 존재하고 그 공간에서만 적용되는 규칙이 있다. 윷놀이판이 시작되면 그 시작과 함께 고유한 시공간이 전개되며 '걸'이 나오면 왜 세 칸이냐고 아무도 의문하지 않는다. 버스정류장으로 걸어가는 길에서 내가 검은 블록만을 밟기로 규칙을 정하는 순간 놀이의 장이 펼쳐지며 우스꽝스럽게 변덕을 부리는 내 보폭은 더 이상 부끄럽지 않다.
놀기 위해
사는 우리
놀이라는 것은 문명이 존재하기 전부터 존재했다. 놀이로 시작하여 진지한 문화로 거듭나는 몇몇의 예을 살펴보며 놀이와 문화를 살펴보자. 제사 세례 예배 등의 고대 종교의례도 사회적 의미에서 놀이로 볼 수 있다. 위 세 가지 놀이의 특징을 포함하면서 우주적 차원의 실재를 재현하는 놀이의 행위가 발전하여 숭고한 신앙심과 진리를 향한 순수함 위에 종교가 건설되었다. 스포츠의 본질이 놀이임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축제와 가무 행위, 학문적 담화 또한 놀이적 요소를 갖고 있다. 이러한 예를 살펴보며 문화의 하위 개념 중 하나로 놀이를 두는 것이 아니라 문화 현상 그 자체가 놀이이며 문화가 놀이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결론에 다다를 수 있다.
문화 전반에서의 놀이의 지위는 하이징하를 통해 확실히 높아졌다. 개인을 삶을 살펴보자. 다소 뻔한 이야기지만, 우리는 놀기 위해 살아간다. 우리는 퇴근 시간을 기다리며 음주, 취미활동, 휴식 등 탈일상적 놀이시간을 앞당기고 싶어 한다. 누군가-나-는 낯선 곳에서 이방인이 되는 감정을 즐기는 여행을 위해 돈을 번다. 주말을 익스트림 스포츠의 해방감으로 채우기도 하고 독서모임에서 서로의 가치관을 들여다보며 나다움을 찾는 것도 물론 놀이이다. 자본주의 속 우리의 삶이 노동과 자본에 연결되는 것을 감안했을 때 우리는 돈을 벌기 위해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놀기 위한 시간을 사기 위해 돈을 버는지도 모르겠다. 모든 일상이 놀이인 세상이 우리가 꿈꾸는 이데아 아니겠는가. 다시 말해서 내가 하는 모든 것이 자발적이고, 뻔하디 뻔한 일상과 거리가 있고, 새로운 차원의 시공간을 열어주는 것이 우리가 바라는 환상의 세계일 것이다. 우리는 놀이의 가치를 높여 볼 필요가 있다. 놀이를 삶의 중심으로 가져와야 하며, 그를 소중히 다뤄줘야 한다. 우리의 삶은 짧고, 놀면서도 놀고 싶으니까.
놀이는 숭고하다. 어린 날 우리는 놀이를 통해 세상을 배운다. 무엇보다 놀이를 통해 나는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을 싫어하는지, 무엇을 잘하는지, 관계 속에서 나의 역할은 무엇인지를 알아간다. 또는 놀이를 통해 삶을 자발적으로 이끌어가는 방법, 삶을 즐기는 방법, 삶을 해석하는 시각을 익힌다. 어린이들에게 놀이가 배움이었다면 어른들에게 놀이는 동기가 되기도 한다. 궁극적이고 본질적인 행복을 찾을 수 있는 곳 중 한 곳이 놀이의 현장이다. 그렇기에 진정한 의미의 놀이를 이해하고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놀이를 영위하는 것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우습게도 막상 제대로 놀고자 하면 놀이가 어렵게 느껴진다. 정말 간만에 찾아온 휴일을 대하는 나를 보면 이는 자명하다. 좋아서 어쩔 줄을 몰라 침대에만 누워있다가 저녁즈음 과음과 함께 떠나가는 휴일에 마음아파하곤 한다. 앞으로 놀이의 가치, 노는 법, 잘 노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연재하며 우리 모두 잘 노는 인생에 대해 천천히 배워가도록 하자.
한편, 어울려 뛰어노는 어린이들이 적어져 감은 일상에서 마주치는 텅 빈, 소리 없는 놀이터가 방증해 보인다. 아이들은 놀아야 한다. 놀이가 아이 삶의 전부이기 때문이다. 다음 화에서는 세상과 자신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한 어린이들, 그 원인과 어른된 우리가 할 수 있는 작은 움직임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