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초에 에이스프로젝트에도 팀장이 있었다. 기획팀이 있으니 기획팀장이 있고 개발팀이 있으니 개발팀장이 있는 것은 어떻게 보면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팀장은 팀을 대표해 다른 팀과 의사소통을 하고, 주요한 업무 내용과 팀의 방향성을 결정했다. 팀원들의 성장을 돕기 위해 또는 고충사항을 해결해주기 위해 면담도 했다. 이런 평범한(?) 조직구조가 크게 불편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동안은 팀장 체제를 유지했다. 하지만 자리에서 일어나 둘러보면 전 직원이 한눈에 들어올 만큼 규모가 작던 시기가 지나자 조금씩 문제가 생겼다.
"팀장님 어디 갔어요? 저 이거 물어봐야 하는데.."
팀장은 항상 자리에 없다. 겨우 회의에서 나왔다 싶으면 다른 회의에 들어간다.
이제 말 좀 걸어볼까 하면 스케줄 정리를 하러 다른 팀에 가 있다. 내가 한 것 좀 봐줬으면 좋겠는데 자리에 앉아 있을 때도 너무 바빠 보인다. 팀원은 여럿인데 팀장은 하나, 다들 팀장만 바라보고 있다. 대기번호표라도 뽑아야 하나.
팀장 본인도 고달프기는 마찬가지다. 팀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 다 신경을 써야 할 것 같기 때문이다.
일정도 꿰고 있어야 하고, 팀원 관리도 해야 하고, 아웃풋 피드백도 줘야 하고, 각종 행정업무도 처리해야 한다. 그뿐인가 앞으로를 위해 업계 트렌드와 신기술에 대한 연구도 해야 하고 팀을 대표해 회사 운영 방향을 결정하는 데도 참여해야 한다. 새로운 팀원이 들어오면 회사생활과 업무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물심양면 신경도 써줘야 한다. 너무 많은 역할을 동시에 하다 보니 하루가 모자라다.
시간은 제한적인데 몸은 하나, 상황이 이러하자 팀장들은 두 가지 양상을 보였다. 하나는 이 모든 역할에 적당히 타협하는 것이다. 스케쥴링도, 퀄리티 체크도, 팀원 관리도 적당히 적당히. 특별히 잘하는 것은 없지만 그렇다고 특별히 못 하는 것도 없게. 문제는 없는데 뭔가 탁월하게 잘 돼가고 있다는 느낌도 없다.다른 하나는 팀장이 해야 하는 여러 역할 중 한 가지(혹은 두 가지)를 과감하게 포기하는 것이다. 퀄리티 향상에는 심혈을 기울이지만 팀원들의 고충은 좀 덜 들여다보거나, 행정 업무는 완벽하게 하지만 새로운 기술에 대한 서치는 미뤄두는 식이다. 적당히 하건 한두 가지를 포기하건 두 경우 모두 팀원들은 항상 무언가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팀장들은 늘 다 해내지 못했다는 부채감에 시달렸다.
한 사람이 모든 것을 잘할 수는 없다
완벽한 리더?
인간이 완벽하지 않은데 인간 카테고리 안에 있는 '팀장'이 완벽할 리가 없다. 문제는 '팀장'이라면 왠지 모든 면에 탁월하고 어떤 단점도 없어야 할 것 같다는 데에 있다. 이런 선입견 때문에 어느 부분에서라도 단점이 드러나면 뵹아리 팀원조차 팀장에게 실망하거나 팀장 스스로 자책하는 일이 생긴다.
리더는 단점이 없어서 리더가 된다기보다 장점이 크기 때문에 리더로 인정받는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업무를 주지만 그만큼 커리어를 확실하게 보장해 주는 팀장, 의사결정의 속도는 느리지만 그만큼 팀원들의 의견을 잘 수렴하고 설명해주는 팀장 등 장점이 있기 때문에 단점이 생기는 것이다. 에이스프로젝트에도 다양한 유형의 '완벽하지 않은' 리더들이 있다. 함께 일하면 쓴소리를 많이 들어야 하지만 업무 역량만큼은 크게 성장할 수 있게 해주는 리더가 있는가 하면 팀원들의 고충 해결과 진로 개발을 위한 면담에 능한 리더도 있다.
에이스프로젝트는 전문성을 중시한다. 제너럴리스트보다는 한 가지를 전문적으로 잘 하는 스페셜리스트의 중요성을 꾸준히 강조해왔다. 단점을 지적하면서 못 하는 것을 잘 하게 하기보다는 잘할 수 있는 것을 더 잘 하게 도와주는 편이 훨씬 쉽고 긍정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리더가 팀원들의 가능성과 장점을 찾아주기 위해 노력하는 것처럼 리더들도 잘하는 것에 좀 더 집중해 볼 수 있지 않을까 고민을 시작했다.
커뮤니케이션에 위계가 생긴다
직책? 직위?
'직책'과 '직위'는 다르다. 팀장은 직책이지만 흔히 직위와 결합해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많은 스타트업이 그렇듯 에이스프로젝트에는 대리, 과장, 차장 같은 직위가 없고 팀장만 있기 때문에 구성원들은 더 자연스럽게 팀장을 직위로 인식했다. 팀장의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물을 지우려고 했던 노력이나 구구절절한 설명으로 해결되지 않는 문제였다.
사원들이 팀장을 '윗사람'으로 생각하면서 생긴 위계는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어렵게 만들었다. '(안 그래도 바쁜) 팀장님한테 내가 이렇게 말해도 될까?' 하는 필터링이 들어가자 팀원들은 말이 없어졌다. '이렇게 말해도 될까?'는 '팀장님이 안 된다고 하실 거야' 혹은 '팀장님이 하라고 했으니까 그냥 해야지'로 확대 해석되기도 했다. 이의를 제기하거나 이해되지 않는 것을 물어보는 횟수가 줄어들었다. 사내 만족도 설문에서는 회의 시간에 대한 문항이 최저점을 기록했다.
문제는 내 팀 팀장 하고만 있는 게 아니었다. 나와 전혀 업무 연관이 없는 옆팀 팀장이 한 마디 툭 던지고 가도 사원 입장에서는 '그래도 팀장'이 한 발언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지나가던 동료가 던지고 간 의견이라면 '한 번 생각해봐야겠다' 정도로 받아들일 수 있지만 지나가던 팀장이 던지고 간 의견은 단순한 피드백이 아니라 꼭 고쳐야 하는 지시로 들린다. 정말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왠지 팀장이 하라고 하는 대로 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것이다. 단순 직책으로 두고 싶었던 팀장은 결국 직책, 직위를 모두 아우르게 되었고 거기에 나이 차이가 가미되자 에이스프로젝트가 지향해왔던 수평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저 멀리, 저 멀리로 멀어져만 갔다.
이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고민했을까?
2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