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사진, 채용까지.
모두 한 곳에서 탐험하세요

쓱- 둘러보기만 해도 내가 다니는 모습이 상상되는 기업콘텐츠 꿀단지.

스토리

좌충우돌 시행착오

취업 스토리

취업 성공하는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
운영 찰스

국제무역학과 졸업생의 CX 취업 성공기

19,980원
...
운영 딕시

중국경영학과 졸업생의 커뮤니티매니저 합격키트

15,980원
...
기획 에이든

재무금융학과 졸업생의 운영매니저 합격키트

19,980원
...
운영 다니엘

영어영문학과 졸업생의 물류 운영 매니저 합격 자료

15,980원
테마
스펙쌓기

마감 직전 대외활동

...
마감 O일전 ~ 25.09.02

국회보좌진양성과정 STAFF'S INSIGHT 46기 참가자 모집

여의도아카데미
...
마감 O일전 ~ 25.09.03

✅ AI활용출판편집디자인 국비지원 - 하이미디어아카데미 김포점

하이미디어 김포
...
마감 O일전 ~ 25.09.03

[통일부] 찾아가는 북스토리 토크콘서트 ― 청춘은 무기한 '연기' 중

주식회사 문화충동
...
마감 O일전 ~ 25.09.03

[SM UNIVERSE] KDT 차세대 가상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엔지니어 양성과정

SM UNIVERSE
스토리

같은 협업 다른 느낌

KBeautyTV한국미용방송사 분위기 어때요?

KBeautyTV한국미용방송사, 어떤 생각을 할까?

2024. 12. 10. 조회수 430

(KBeautyTV)평생교육원 미용학원 학원장 운영자 관리자 경력자 모집

초기자본 투자 없이 학원장 학원운영자 되는 길.....안녕하세요 K Beauty TV 한국미용방송사입니다 본사에서 오랜만에 구인정보 올립니다 본 블로그는 본사 블로그입니다본사는 전문·기능학원 분야에서 고품질의 교육을 본사 협력 기관인 "안산중앙예술평생교육원"에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안산중앙예술평생교육원"의 교육 프로그램은 전문 분야의 핵심 기술과 실무 역량을 학생들에게 전달하여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안산중앙예술평생교육원"과 K Beauty TV와 함께 돕습니다.  "안산중앙예술평생교육원"은 학생들의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합니다.구인 모집 요강안산중앙예술평생교육원[필요인력]- 평생교육원: 원장 직 1명- 사회교육원: 원장 직 1명- 총괄 부원장 직(평생교육원+사회교육원) 1명[주요업무] - 평생교육원의 운영 및 관리 업무를 수행합니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합니다.- 교육 기관의 성과와 예산을 관리합니다.- 학생 및 교사들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조율합니다.- 교육정책 및 법규에 대한 최신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반영합니다- 교육원 경영에 직접 관여합니다.- 교육원 단독 운영 및 경영[자격요건] - 평생교육운영분야 관련 경력 3년 이상을 보유하고 있습니까. - 선택- 학원운영분야 관련 경력 3년 이상을 보유하고 있습니까.(업종무관) - 선택- 국가기술자격증 관련 실무경력 10년이상을 보유하고 있습니까. - 선택- 평생학습이론과 관련된 학위를 보유하고 있습니까. - 선택-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대한 노하우가 있습니까. - 선택-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등의 컴퓨터 활용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까. - 필수- 출판, 마케팅 및 기획 업무에 관심과 경험이 있습니까. - 선택- 자신의 현재 미래의 야심과 야망에 대한 갈망과 욕심이 있습니까 - 필수- 자신의 소중한 라이프타임을 가치있는 타인에게 투자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까 - 필수-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탈렌트를 세상에 공유 시킬 의향이 있습니까< 위 사항중 선택요건1+필수요건 모두를 갖추신분>[투자요건 사항] Talent(Skill)+Life Time(Working)+Ambition(Business)[자격사항] - 평생교육사 자격증 소지자(급수 무관)- 직업훈련교사 자격증 소지자(급수 무관)- 교원자격증소지자(한국어 3급이상 교원자격증 소지자 우대)- 직업훈련 관련 기사자격증(방송 콘텐츠 제작기사 자격증 소지자 우대) - 미용/이용/조리 장 자격증소지자- 위 사항의 자격증 소지자중 2개이상 소지자[우대사항] - 평생교육사자격증 소지자 우대합니다.- 국가 공인 어학시험(TOEIC, TOEFL 등) 점수 보유자 우대합니다.- 사회조사 및 통계 프로그램 활용 능력을 갖추고 있으면 우대합니다.- 기타 교육 관련 자격증 및 경험 보유자 우대합니다.- 학위 이상의 전문성을 가진 지원자 우대합니다.[복리후생] - 4대 보험 및 퇴직금 제공합니다.- 휴가, 연차, 조기퇴근 등의 유연근무 또는 탄력근무제도 운영합니다.- 경조금 지원 및 명절 선물 제공합니다.- 직원 복지시설 및 교육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자기계발을 위한 도서 구매 지원 및 교육비 지원을 제공합니다. [학력사항] - 4년제 대학졸업 이상[경력사항] - 교육 관련 경력 5년이상- 전공관련 업무 실무경력 10년 이상- 관련자격증 업무경력 10년 이상- 위 사항 중 택일[근무지역] - 안산시단원구중앙대로895유창빌딩602호 안산중앙예술평생교육원 원장실[근무형태]     - 직책 : 원장/관리자/임원    - 직무 : 경영위촉 직    - 주당 근로시간 : 자율적 탄력근무    - 근무방식 : 한시적 재택근무 후 출근 [급여형태]   -수당 제: 순익의 세전 50%:50%(세금-5%:5%공제)     <최저 50,000,000원~최고 500,000,000원 연봉 가능>   전형단계 및 제출서류● 전형단계: 서류확인 > 비지니스미팅진행 > 최종협의 > 최종계약● 추가 제출서류- 필수 지참 : 이력서, 자기소개서, 자격증사본.-- 필수 지참 : 자격증 사본은 비지니스 미팅 당일날 확인해주세요.-접수방법2024-12월 이전 모집시까지● 접수방법: 이메일 접수 - [email protected]● 접수양식:이력서(자율형식) 및 자소서기타 유의사항입사지원서 및 제출서류에 허위사실이 있을 경우 채용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스펙쌓기

마감 직전 공모전

...
마감 O일전 ~ 25.09.03

충청북도 인구감소지역 학습 · 멘토링 지원사업 '새 이름 공모전'

충북인재평생교육진흥원
...
마감 O일전 ~ 25.09.03

탄소중립펀드 투자유치 피칭데이

알파브라더스
...
마감 O일전 ~ 25.09.03

2025 탄소중립펀드 투자유치 피칭데이

경기도
...
마감 O일전 ~ 25.09.03

마곡밸리에서 미래를 AI하라

서울문화재단, KAIPA(한국인공지능진흥협회)

오늘의 스택 Sketch 팔로우

직군에서 많이 쓰는 툴입니다. 직군 설정하기

Sketch 쓰는 팀

Sketch 활용기

2019. 09. 20. 조회수 2785

힐페 디자인챕터에서 Abstract 똑똑하게 사용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힐링페이퍼의 프로덕트 디자이너 Jane입니다. 이번 글에서 힐페 디자인 챕터에서 Abstract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 지를 기본 Abstract 사용법과 함께 공유하려고합니다. 저는 이전에 Abstract를 얕게 사용했었던 유저였는데요, 이전에 Abstract를 사용할 당시에는 디자인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상태였고, 단지 파일의 버전 관리의 목적이 전부였습니다. 때문에 Abstract의 강력한 기능을 활용하는 법을 제대로 몰랐었고, 그동안 뭔가 알 듯하면서도 헷갈렸던 기능이 꽤나 많았습니다.(이번에 Abstract를 제대로 도입하면서 알게된 기능이 많았어요.) 이번 글을 통해 저와 같이 헤맸었던(?) 경험이 있었던 분, 그리고 팀 내에 앱스트랙트 도입을 고려 중인 분에게도 도움이 되길 바라봅니다! 왜 Abstract를 도입했나요? 현재 힐링페이퍼 디자인 챕터 내에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저를 포함해서 총 4명이 되었고 앞으로도 좋은 디자이너분들을 꾸준히 영입할 계획입니다. 인원이 늘어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디자이너 간의 디자인 동기화와 효율적인 협업입니다. 이는 프로덕트가 일관된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 시스템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때문에 스케치 파일의 히스토리 관리 및 파일 공유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Abstract를 도입해 앞으로 더 많은 디자이너와 협업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고,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지금보다 더 좋은 방식을 찾아내려고 합니다. 👍 먼저 Abstract의 강점에 대해 알아봅시다. 파일 히스토리를 남기기 위해 Save As로 스케치 파일을 증식하지 않아도 됩니다. 수십개의 파일을 따로 관리하지 않고 남겨둔 Commit 히스토리를 통해 언제든 이전 파일을 열어볼 수 있습니다. 여러 사람이 함께 디자인 파일 버전 관리 및 공유가 편해집니다. 예) 휴가를 떠난 디자이너가 작업중이던 스케치 파일이 필요할 때 다음과 같은 상황을 겪지 않아도 됩니다. 공유 서버 사용 시 서버에 업로드 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Save As 로 final.0525수정중.sketch 등의 파일을 다시 생성해 나의 작업을 합니다. 이후 어디가 바뀌었는지 확인 후 누군가가 최종 파일로 합쳐서 서버에 다시 업로드를 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런 과정을 여러번 거치면 폴더 안은 다양한 파일명이 기입된 스케치 파일로 가득해집니다.) 공유 서버 또는 클라우드에 공유하지 않았을 경우 휴가를 떠난 디자이너에게 연락을 취한 후 알려준 경로대로 타고타고 들어가서 파일을 슬랙으로/메일로 나에게 보낸 뒤 그 파일을 내려받아 작업합니다. (기본적으로 휴가를 떠난 디자이너에게 연락을 취해야합니다..😰) 스케치 파일이 한 곳에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어디서든 접근이 편리해집니다. Abstract 자체가 스케치 파일의 공유 서버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터넷만 된다면 어디서든 접근이 편리해집니다. 📒 용어 설명 및 기본 사용법 전체 맥락상 Abstract 내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기본 사용법은 따로 페이지에서 소개해드리니 기본 사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해당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기본 용어 설명 Guide 1. Master에서 1개의 Branch 생성 후 Merge하기 Guide 2. 2개 이상의 Branch 생성 후 Update from Master 사용하기 Guide 3. Branch 중첩으로 생성하고. Archive 기능 활용하기 Guide 4. Library 기능 활용하기 앱스트랙트의 간단 구조도 🧐 힐페 디자인 챕터에서 앱스트랙트 똑똑하게 사용하는 방법! 1. 스케치 파일 관리 마스터 파일은 메뉴 단위별로 스케치 파일을 분리해 업로드합니다. (파일의 용량을 가볍게 유지하고, 충돌이 날 가능성을 낮춥니다.) 마스터 파일 업로드 예시 스케치 파일 내에서는 Draft 페이지를 따로 생성해 확정되지 않았지만 필요한 디자인 산출물들을 따로 빼서 앱스트랙트 화면의 혼란을 줄입니다. 더불어 앱스트랙트는 스케치 파일의 레이어 순서대로 파일이 노출되므로 레이어 정렬을 하면 더 보기 좋습니다. 스케치 파일 내 페이지 생성 예시 2. Commit과 Merge의 체계화(Commit은 자주, Merge는 확실할 때) Commit 마이크로 단위로 업데이트 된 시안이 생길 때 마다 자주 히스토리를 쌓아줍니다. Commit 타이틀 네이밍 룰: [메뉴명_서브메뉴명_기능명_추가/수정내용] (Commit 메세지는 '이런 것까지 적어야해?' 싶을 정도로 상세하게 적어 히스토리 추적을 용이하게 합니다.) Merge 시안에 대한 합의가 완전히 이루어지고 제플린으로 개발자와 시안이 공유되었을 때 파일을 Merge합니다. 하나의 프로젝트 내에서 branch가 2개 이상 생성되어 있을 때는 반드시 Request Review 기능을 사용해 승인 절차를 거칩니다. (디자인 시안에 대한 리뷰보다는 충돌이 날 우려를 최대한 줄이기 위한 목적입니다.) 3. 라이브러리 활용을 통한 디자인 시스템 적용 프로덕트의 일관된 디자인을 위해 디자인 시스템 파일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따로 생성해 공통된 요소는 모두 Import - Override로 작업할 수 있게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심볼로 만들어 둔 컴포넌트 예시 컬러 스타일 예시 (추후 Library 기능 활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스케치 파일 관리하는 방법은 따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 추가로 알아두면 좋은 점들! 모든 파일을 Abstract를 통해 열고 수정할 수 있도록 업무환경 세팅이 필요합니다. (폴더에 잠자고 있던 파일들을 Abstract 활용에 용이하게 정리하고 프로젝트에 업로드해주세요.) 아트보드 바깥의 단일 엘리먼트들도 모두 Abstract에서 감지하기 때문에 더미 작업물들은 모두 하나의 아트보드에 묶어서 관리하는 편이 좋습니다. (또는 스케치의 Page를 따로 생성해서 관리해도 좋습니다.) 아트보드의 배경을 지정하지 않으면 투명한 레이어로 보이므로 배경을 지정해주세요. Abstract에 아직 Commit하기 전인데 파일이 날아갔어요. 또는 Abstract 버그로 인해 파일을 찾을 수가 없어요. 하는 경우 파일 찾는 방법! Abstract에서 Branch를 생성하면 다음과 같은 경로에 파일이 생성되니 확인해주세요! shift + command + '.' 단축키를 통해 숨김파일 보기를 설정합니다. 다음과 같은 경로를 타고 이동해주세요. Machintosh HD > Users > 사용자명 > Library > Application Support > Abstract > Documents > com.bohemiancoding.sketch3 > Edits > 짜란 마치며 이번 디자인챕터의 Abstract 도입은 단순히 버전 관리 툴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개념에서 그치지 않고, 우리의 프로덕트 디자인의 히스토리를 통해 그것이 왜 변해왔는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은 어디인지에 대한 고민의 작은 시작이라고 생각합니다.
2019. 09. 20. 조회수 2662

Abstract 기본 사용법

Abstract Guide: 힐페 디자인챕터에서 Abstract 똑똑하게 사용하는 방법 에서 언급한 용어와 기본 사용법을 따로 글로 작성한 페이지입니다. 몇가지 케이스에 따라 기본 가이드를 작성해둔 것이니, Abstract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아래 내용을 따라 테스트 작업을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2명 이상이 함께 테스트를 해보는 것이 Resolve Confilcts나 Review Request 등 다양한 상황을 경험하실 수 있어요.) 📝 기본 용어 설명 Master '진짜진짜 최종 파일'을 말하며, 각 프로젝트마다 Master 파일을 기준으로 디자인 파일의 버전 관리를 실행합니다. Branch Master 파일로부터 갈라진 일종의 평행우주 개념입니다. 단어 뜻 그대로 Master 파일에서 '가지를 치는' 기능으로 기존 스케치에서 Save As로 사본을 만드는 것과 유사합니다. Branch 파일을 만들면 Master 파일은 그대로 유지된 채로 생성한 Branch 파일에서 시안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Commit Branch에서 업데이트된 내용을 '확정(Super Save)'하는 기능입니다. Commit을 하게되면 Branch의 업데이트 내용이 Commit 히스토리에 메세지와 함께 쌓이게 됩니다. Restore Commit 해당 Commit의 지점으로 되돌리고 싶을 때, Branch의 Commit 리스트를 눌러보면 우측에 시계 아이콘을 눌러 원복할 수 있습니다. Merge 생성한 여러개의 Branch 중 합의된 시안을 Merge하면 해당 Branch의 업데이트 내용이 Master 파일에 합쳐지게 됩니다. Archive 생성한 Branch 파일을 Master에 Merge하지 않지만 삭제하기에는 남겨둘 리소스들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 때 Archive 기능으로 파일을 보관했다가 필요할 때 다시 꺼내쓸 수 있는 기능입니다. Resolve Confilcts 동일한 파일을 수정하고 Merge하게 될 때 충돌이 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 때 Resolve Confilcts 기능을 통해 충돌이 난 페이지를 확인하고 어떤 파일을 Master로 할 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Open Untracked Master 파일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Branch도 생성하지 않은 채로 파일을 열게 되는 방식입니다. 수정할 내용은 없으나 파일을 열어볼 필요가 있을 때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Replace 많은 Commit 히스토리가 쌓여있는 시점에서 업로드한 파일을 교체하고 싶을 때, Replace 기능을 활용해 파일을 업로드하면 아래 히스토리는 그대로 유지되고, 파일을 교체할 수 있습니다. Update from master 다수의 Branch 중 1개의 Branch를 Master로 Merge했을 때, 이전에 생성한 Branch의 Master 또한 변경이 되므로 가장 최근의 Master 파일로 다시 업데이트하는 액션을 취하게 됩니다. 이 때 Update from master 기능을 실행하면 Commit을 통해 다른 Branch에서 업데이트한 내용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Collections 업로드한 시안을 Collection에 추가하면 무수히 많은 페이지 중 내가 보여주고 싶은 페이지만 정리해둘 수 있습니다. Library 파일을 Library 파일로 전환하면 타 프로젝트에서 해당 파일을 Import 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강남언니 서비스의 프로젝트가 AOS, iOS 용으로 각각 분리되어 있을 때, 두 파일에서 공통으로 가져다 쓸 디자인 시스템 파일을 Library 파일로 만들고 타 프로젝트에서 Link해 사용이 가능합니다. Library 파일 또한 Master 파일을 가져다 사용하므로, 디자인 시스템의 버전 관리 및 적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Guide 1. Master에서 1개의 Branch 생성 후 Merge하기 아래 내용을 도식화한 이미지입니다. Master 파일을 생성합니다. 수정하고 싶은 파일의 Branch를 생성합니다. (이 때, Branch명은 가이드를 따라 작성해주세요.) 생성된 Branch에서 'EDIT IN SKETCH' 버튼으로 스케치 파일을 열어주세요. 열린 스케치 파일에서 높은 기준을 추구한 디자인 작업을 불같이 해주세요! 🔥🔥 업데이트 할 수정 사항이 생기면 파일을 저장합니다. 저장 후 하단 앱스트랙트 상태바를 확인하면 'COMMIT'버튼이 활성화됩니다. 위와 같이 Commit Changes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다시 Abstract 화면으로 돌아가 'REQUEST REVIEW' 버튼을 눌러 리뷰를 요청합니다. 리뷰를 요청하면 동료 디자이너가 👍또는 👎로 해당 브랜치를 머지해도 되는 지 피드백을 줍니다. 승인이 나면 상태가 'APPROVED'라고 수정되며 본 Branch에서 'MERGE BRANCH' 버튼을 눌러 파일을 업데이트하면 마스터 파일에 Merge됩니다. 다시 Master 파일을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히스토리가 남게 됩니다. Guide 2. 2개 이상의 Branch 생성 후 Update from Master 사용하기 Guide 1과 동일하게 Branch를 생성해 작업을 진행합니다. 브랜치가 2개 이상일 때 Branch A가 작업을 Merge하면 A의 수정사항까지 반영된 파일이 현재의 마스터 파일이 되면서 Branch B를 생성할 당시의 마스터 파일과 오차가 발생합니다. 이 때 브랜치 B를 현재의 마스터 파일과 동기화하기 위해 'UPDATE FROM MASTER' 기능을 사용합니다. 만약 충돌이 날 경우 Resolve Conflicts 기능을 통해 어떤 파일을 최종으로 업데이트 할 지 선택해줍니다. Update from Master 1/2: Resolve Conflicts 페이지 예시 둘 중 하나의 파일을 선택하면 기존 Commit과 같은 방식으로 업데이트 히스토리를 남겨줍니다. Update from Master 2/2: Commit 페이지 위 작업을 마친 후 다시 Guide 1과 같은 방법으로 Commit 히스토리를 남긴 후 Master로 Merge합니다. Guide 3. Branch 중첩으로 생성하고 Archive 기능 활용하기 Guide 1과 마찬가지로 Branch를 1개 생성합니다. Branch 안에서 Sub Branch를 여러개 생성하고 각각의 파일에서 작업을 실행해주세요. Sub Branch 중 하나를 선정해 Main Branch에 Merge해주세요. 남은 Sub Branch 중 추후에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파일은 Archive 기능으로 따로 저장해줍니다. 생성한 브랜치에서 마우스 우클릭으로 Archive Branch - Archived 탭으로 진입하면 Archived 된 파일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Archived List 페이지 예시(해당 리스트의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UnArchive, New Branch, Delete 등 기능이 있습니다.) Guide 4. Library 기능 활용하기 *힐페 디자인챕터에서는 Library 기능을 디자인 시스템을 관리하고 적용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Library화 할 파일의 컴포넌트화는 사전에 작업된 것으로 전제합니다. 디자인 시스템 파일을 관리할 프로젝트를 생성해주세요. Master 파일을 등록합니다. 등록한 Master 파일을 마우스 우클릭해 Use as Library 버튼을 클릭해 Library 파일로 만들어줍니다. Library로 만들어진 파일은 보라색으로 컬러가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ibrary 파일로 만들어진 상태 위 Library 파일을 임포트할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Master 메뉴로 들어가 Library 파일을 Link해줍니다. Master 파일에 Library를 Import Link할 Library 파일을 선택해주세요. Master 메뉴에서 Files 탭으로 들어가 확인해보면 Link된 Master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 스케치 파일을 열어 Import 탭을 열어보면 Link된 스케치 심볼과 스타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 개 파일을 열어 Copy & Paste할 필요 없이 바로 Import할 수 있습니다👍👍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