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홈

인터뷰

피드

뉴스

조회수 1759

한국의 스타트업이 어려운 이유

벤틀리라는 고급차가 있다. 가장 비싼 차라고 불리며, 가격은 기본 깡통 형태로만 봐도 2억 5천이 넘는다. 실제 사용자의 취향을 맞추고, 실제 운행할 수 있는 형태가 되면 그 가격은 정말 고가이다.다음에서 검색해본 벤틀리의 가격이다.벤틀리가 매우 흥미로운 서비스를 시작했다. 아직은 '시험'서비스이지만,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벤틀리 오너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개시한 것은 바로 '이동 주유 서비스'이다.벤틀리 오너가 스마트폰 앱을 사용해서 서비스를 호출하면 직접 주유차가 방문하여 기름을 넣어준다. 비용은 가장 가까이 있는 주유소 3곳 중의 가장 저렴한 곳의 기름값에 추가적인 배달 비용이 일부 추가된다고 한다.이름하여 '필드 포 벤틀리(Filld for Bentley)'라는 서비스가 현재 시범 서비스 진행 중이라고 한다.고급 자동차의 이미지에게 추가적으로 주유 문제의 번거로움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이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한다. 또한, 벤틀리의 이야기가 굳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자동차의 기름량을 체크하여 기름 넣을 시기를 예측하고 적절한 장소를 예측해서 알아서 이동형 주유 서비스를 가동한다면 벤틀리 사용자들은 '주유소'에 가서 기다릴 필요 없이 편안하게 벤틀리를 몰고 다니면 된다.매우 당연하게, 꼭... 벤틀리만 그럴 필요가 있을까?실제, 벤틀리의 서비스 이외에도 앱을 통해서 주문하면 고객이 있는 곳을 찾아가서 휘발유를 주유하는 방문 주유 서비스가 실제 인기를 끌고 있다. 부스터 퓨얼즈(Booster Fuels)라는 이름의 이 업체는 로스 페로 주니어(Ross Pero Jr.)나 마이크로 소프트의 공동 설립자 폴 앨런 등의 자금 지원을 통해서 텍사스에서 사업을 시작했으며, 현재는 미국 10개 도시 이상으로 사업을 확장했다.재미있는 것은 이 서비스는 개인 서비스를 위한 환경으로 시작했지만, 차량 공유 서비스 업체들과 콜라보 하면서 그 서비스를 더더욱 확대하고 있다. 찾아가는 주유 서비스는 이미 흥미롭게 시장에 진입하였으며, 이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주유소'를 방문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간 절약을 하는 매우 효과적인 차량 운행이 가능하다.자신의 비어있는 시간이나 행동 패턴을 고려한 '신청'과 '유지보수'체계만으로도 충분하게 서비스를 받고 있다.이 서비스들은 더욱더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일반적인 완성차 서비스로 이동형 주유 서비스를 하거나, 자동차의 상태 값을 체크하고, 위치를 예측하며,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체크하여 적절하게 주유를 계속 진행하면서 사용자는 '기름의 잔류량'체크 없이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전기차의 경우에도 분명하게 '배터리 교환'방식이 가능하고, 허가된 서비스 업체에서 자연스럽게 충전 및 배터리 교체를 해주는 숨겨진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이는 분명 효과적이고 의미 있는 서비스가 될 것이다.그런데.. 슬프지만...한국에서는 '이동형 주유 서비스'는 불법이다.슬프지만, 한국에서 이동식 주유는 대부분이 탱크로리를 불법 개조해서 가짜 휘발유를 팔거나 하는 방법으로 이용되는 독특한 기름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동형 주유 서비스'는 불법이다. 사실, 가짜 휘발유가 싼 것도 세금 체계 때문인 것이 거의 대부분이고, 이동형 서비스를 여러 가지 관행과 형태 때문에 '불법'으로 취급받는다.또한, 동네 주유소들이 엄청나게 반발할 것이다. 이 문제를 현재 상태에서는 어떻게 할 수 없을 것이다.소비자들에게 더 저렴한 가격이거나 더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형태의 서비스는 만들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안된다. 이름하여, 현재 한국의 '창조경제'스타일이며, 기존의 관습과 악습, 관행을 모두 그대로 두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통해서 기존의 생태계가 살아날 방법을 구성하라는 것이 '창조경제'의 핵심이다.슬프지만. 그런 방법은 없다. 절대 불가능하다.왜? 기존의 주유소와 기존 생태계를 위해서 의미 있는 서비스가 왜 사용되지 못할까?마치, 근대시대에 자동차가 만들어지면서 영국에서 자동차가 보급되면서, 마차를 몰고 다니는 마부들이 일자리를 잃을 처지가 되었고, 궁여지책으로 이들 마부들에게 시내를 달리는 자동차의 앞에서 길을 터주는 임무를 주었다는 환경은 왜 이리도 반복되는 것일까?슬프지만, 이런 현상은 대한민국 사회의 전체를 뒤덮고 있다. 동네약국을 보호하기 위해서 의약품 배송은 안되지만, 원격의료는 하자는 의료환경도 황망하고, 차량 공유 우버 서비스는 영업용 택시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서 선택될 수 없다.분명한 것은 정치적으로 변화되는 생태계를 받아들이고, 이를 재교육하는 환경으로 빠르게 전환되어야 한다.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초고령 사회로 돌입하고 있고, 최저 생계비를 보전하는 사회제도의 변화 등이 요구되는 것도 이런 4차 혁명이라고 불리는 사회변화를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이다.엄청나게 빠르게 진화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들을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까? 결국. '경쟁력'자체가 고속화되는 미국이나 일본 등의 해외 선진국의 움직임을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당연하지만, 이미 가시화된 4차 혁명을 버티기 위한 사회보장체계도 동시에 진행되어야 하며, 진취적인 업체들의 움직임 들고 흥미롭게 발전하며, 기존 업체들과 경쟁하게 해야 한다.대기업의 동네 빵집은 가능하고, 스타트업이 기존의 업체와 경쟁하지 못한다는 것은 무슨 '힘싸움'문제 정도 평가해야 할까?정치도 선진화되고, 사회복지나 제도도 발전적이어야 한다. 기존 생태계에 종사했던 사람들에 대한 예의도 있어야 하지만, 이미 글로벌 경쟁은 너무도 당연한 시대가 되었기 때문에 경쟁력도 가져야 한다. 사회적인 합의를 위한 어른들도 계셔야 하고...하지만, 그 어느 것도 답답한 현재의 환경에서... 생계형 군대 비리를 허구한 날 보는 현재 상황이 정말 답답할 뿐이다. 절대다수의 사람들의 변화도 없는 모습... 하지만, 포기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젊은 사람들의 스타트업은 계속된다는 것이 그나마 희망 아닌 희망일까 한다.연매출 100억대 정도의 적정한 캐시카우를 만들 수 있는 사업모델을 기반하면서도 한국적 관습적 생태계를 파괴하는 스타트업의 탄생을 기대한다.
조회수 2143

[현대글로비스 사람들] 미지의 세계로 나아가는 해외사업개발팀

 올 7월 탄생한 해외사업개발팀의 매력은 무궁무진합니다. 신생 팀 특유의 통통 튀는 발랄함, 각 사업 분야에 대한 폭넓은 지식 그리고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는 완벽한 팀워크까지 어느 것 하나 모자람이 없지요. 그 덕분인지 촬영장에서는 연신 웃음이 끊이질 않았습니다. 해외 시장 개척과 신규 사업 확대라는 과제가 안겨주는 책임감은 무겁지만, 개척해야 할 길이 두렵지 않은 이유입니다.해외사업개발팀은 현대글로비스의 6대 성장 전략 중 하나인 ‘물류사업의 해외 확대’를 달성하기 위해 만들어진 신생 팀입니다. 주요 업무는 신시장 개척(글로벌 파이오니어 프로그램 운영)과 그룹사 해외 진출 지역을 토대로 한 신규사업 발굴 그리고 미래비전 사업을 검토 및 진행하는 것입니다. 새로운 시장 개척과 신규사업 구축이라는 업무 특성상 해외 출장이 잦지만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의 국가에서 최고의 물류 기업이 되기 위해 팀원 모두 각자의 업무에 박차를 가하며 동분서주하고 있습니다. 미래의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한 이들의 도전과 노력이 있기에, 현대글로비스의 미래는 한층 밝습니다. 미지의 국가에 우리나라의 깃발이 힘차게 펄럭일 그날이 하루 빨리 오길 바랍니다.Q. 우리 팀이 현대글로비스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팀이 되었으면 하나요?김기철 팀장해외사업개발팀은 물류 사업의 해외 진출에 있어 첨병 역할을 하는 팀입니다. 그러한 자부심을 마음에 품고 늘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우리가 보내고 있는 현재와 그 속에 담긴 노력이 앞으로 현대글로비스의 미래를 만드는 데 큰 기여했으면 좋겠습니다.정용철 대리우리 팀의 역할은 현대글로비스의 해외 네트워크를 확대해 나가는 것입니다. 우리 회사가 더욱 크게 성장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즐겁게 일하면서 많은 일을 차근차근 이뤄가는 팀원이 되겠습니다.구자원 대리미지의 나라를 개척하고 새로운 사업을 펼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을 것입니다. 또 우리의 일이 명확한 그림으로 그려지지 않을 수도 있고요. 하지만 신생 팀의 초심을 잃지 않고 최선을 다한다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해외사업개발팀은 정말 멋있는 팀이다’는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김혜련 사원전문 분야가 다른 팀원들이 하나로 모여 새로운 출발을 시작했습니다. 서로의 장점을 모아 업무의 성과는 물론 우리 회사의 큰 목표를 이루는 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해외사업개발팀 파이팅!Q. 해외사업개발팀만의 자랑거리를 소개해 주세요.권혁남 과장우리 팀은 산뜻하고 발랄한 분위기가 가장 큰 장점입니다. 새로운 먹거리를 찾기 위해 해외로 나가 열심히 뛰어야 하는 만큼 팀원 모두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성향도 갖고 있습니다. 덕분에 해외사업개발팀은 늘 활기찹니다.지하늘 사원각각 다른 팀에서 근무하던 사람들이 해외사업개발팀이라는 이름으로 하나가 되었습니다. 자신의 분야뿐 아니라 회사의 사업 전반에 대해 꿰뚫고 있는 분들이 많아 업무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서로가 서로에게 시너지 역할을 하고요.조예솔 대리우리 팀은 소소한 재미가 있습니다. 팀원 모두가 부드럽고, 유머감각도 뛰어나죠. 바쁜 업무 중에도 누군가 던진 농담 한마디에 유쾌하게 웃을 수 있는 여유를 지녔습니다. 가끔은 가위바위보를 해서 진 사람이 커피를 쏘기도 하는데, 이런 소소한 재미 덕에 더욱 일할 맛이 납니다.정정현 과장우리 팀은 책임감이 투철합니다. 힘든 상황에서도 각자에게 주어진 일은 해결하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하죠. 업무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따로 혹은 함께 스터디를 자주 하는 편이고요. 이러한 책임감이 더 큰 일을 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현대 #현대그룹 #현대글로비스 #기업문화 #조직문화 #해외사업개발팀 #직무정보 #구성원인터뷰
조회수 1145

[인터뷰] Humans of MEME, 그 여섯 번째 주인공을 만나다. - 일도 놀기도, 알차게 사는 유라의 이야기

안녕하세용!미미박서의 소소하지만 듣고 싶은 이야기를 담아오는 모뜨입니다!벌써 8월이 2주 정도 밖에 안남았네요세월이~~~~~야속훼~~~~~~~~~~~.. 쥬륵여러분미미박스의  PB 브랜드인 아임미미 를 알고 계신가용?1.2.3 작은 얼굴 메이크업의 필템인 아임 멀티스틱 과클릭해서 쓰는 편리한 버튼 타입의 매끄러운 촉감의 아임 틱톡 틴트 등바로 아임미미 제품인데용!(좌) 아임 멀티스틱 (우) 아임 틱톡 틴트이러한 화장품들은 바로 BM 분들의 손을 거쳐서 탄생하게 되는데요!그렇다면 BM 이란 무엇일까용?Brand Manager 의 약자로 브랜드 매니저는 제품의 생산에서부터 판매까지의  브랜드와 관련된 모든 과정을 관리하는 사람을 뜻합니다.화장품의 세세한 한 곳 한 곳 까지 바로 BM의 숨결이 들어갔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저는 이번 주에 바로 이 제품들이 탄생하는 곳인아임미미 브랜드 팀의 BM인 YURA를 만나보았습니다 !YURA의 이야기를 한 번 구경가볼까요 ?레고레고 레츠고~Q. 유라님에게 멋진 기억으로 자리잡은 곳이 있나요?A. 제가 21살~22살때 쯤 유럽여행을 다녀왔었는데 그 많은 곳 중에서 제일 여운이 남고 좋아했던 나라가 이탈리아였어요. 그렇게 다시 한국에 돌아와서 다시 이탈리아에 6개월정도 교환학생을 다녀왔어요. 대학교 1학년 때 영어 연극으로 ‘로미오와 줄리엣’ 에 참여한 적이 있었어요. 제가 줄리엣 역할을 했구요(웃음). 혹시 ‘레터스 투 줄리엣’ 이라는 영화 아세요? 그 영화를 보고 ‘베로나’라는 도시에 반했었어요. 아쉽게도 유럽 여행 중 그 도시를 일정상 가지 못했고, 그렇게 아쉬움을 간직한 채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는데 대학교 교환학생 공고에 딱 베로나 대학이 있는 거예요. 그래서 바로 지원을 했고 결국 베로나를 갈 수 있었어요! 베로나에 있는 ‘줄리엣의 집(Casa di Giulietta)’ 에서 사람들이 사랑에 대한 편지를 적어 벽에 붙이고 가는데요. 정말 줄리엣의 집에 가면 벽면 가득 포스트잇이 붙어있어요. 마지막으로 베로나를 떠나오면서 남겼던 그 짧은 편지를 보면, 그 때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한 것 같아요. 제 삶에 있어서 이탈리아에서 지냈던 것, 그리고 지내면서 다녔던 여행들. 그 경험들과 기억들이 주는 영향은 크고 긍정적인 것 같아요.베로나를 떠나기 전, 마지막 편지유라님이 처음 베로나에 도착했을 때 찍은 사진Q. 미미박스에 어떻게 합류하게되셨나요?A. 서브 스크립션 박스 시절의 미미박스부터 알았어요. 제가 20살~21살쯤 서브 스크립션을 구독했었고 상품도 만족스러웠어요. 그런데 점점 이제 사고 싶어하는 화장품을 사야겠다고 생각하며 구독을 끊고 미미박스를 잊어버리고 있었던 것 같아요. 그렇게 시간이 지나고 취업을 준비하면서 채용 사이트에서 실시간 검색순위 기업에 미미박스가 딱 눈에 들어오더라구요. 그러고 제가 찾아보니 예전에 서브 스크립션 박스로 구독했을 때보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엄청나게 성장했더라구요. 저는 대학생 때부터 원래 화장품을 좋아했어요. 용돈이 생기기만 하면 화장품 사는데 쓰곤 했던 것 같아요. 제 전공이 완전히 뷰티 관련 일이랑은 전혀 상관이 없는 일이기도 하거든요. 그래서 막연하게 ‘뷰티업계가 나랑 잘 맞겠다’ 혹은 ‘나중에 뷰티업계로 직업을 가지면 좋겠다’ 라고 생각하기만 했었거든요. 근데 미미박스를 통해서 직무를 굳힌 것 같아요. 막연하게 추상적으로 생각했던 저의 꿈에서 미미박스를 통해 뷰티업계, 그리고 BM이라는 제가 완전히 원하는 직무를 찾게 되었어요. 그렇게 틀이 잡히며 열심히 찾아보고 면접 준비도 열심히 하고 다행이 잘 되어서 미미박스에 오게 되었어요. 전 정말 운이 좋았다라는 생각밖에 안들어요(웃음). 그렇게 제가 하고 싶은 일을 시작하게 되었고 앞으로도 더 잘할 수 있는 일들을 하고 싶어요.이렇게 일할 땐 열심히 개미처럼 일하고,  또 놀 때는 확실하게 베짱이처럼 놀면서 지내고 있어요. 지인들이 저보고 '진짜 알차게 산다'라고 하더라구요(웃음).이탈리아를 떠나오기 전, '좋은 곳 취직했으면 좋겠어' 라는 바람대로 이루어진 소망 Q.  항상 웃고 계신 유라님 덕분에 저도 덩달아 에너지를 받아요! 혹시 일을 하시면서 힘드신 적은 있으셨나요?A. 제품을 개발할 때부터 제품이 출시되기까지 정말 많은 공수가 들어가요. 처음 이 직무를 시작하기 전에는 잘 모르실 거에요. 화장품이 생산되는 모든 과정에 참여하게 되어요. 그 중에서 CT 테스트 라고 하여 제품 자체 기준, 감량 테스트도 진행해요. 예를 들면 아이라이너 같은 경우 휘발이 되면 빨리 마르거든요, 그럼 발색이 잘 안되어요. 그런 것들을 검사하며 낙하 테스트나 누수 테스트 등 고객분들이 제품을 받았을 때 최고의 경험을 하시도록 만들어나가는 일종의 과정인 것이에요.제품에 대한 컨셉 보드나 품평회 등 다 열심히 개발했더라도 CT에서 부적합 판정이나 기준에 미달되면 화장품이 아예 드랍 되어버려요. 일을 하는 데 있어서 제가 컨트롤할 수 있거나 열심히 하면 되는 부분에서는 스스로 마음을 잡고 열심히하면 되는데, 이렇게 기준이 미달 되어 드랍되면 제가 어쩔 수 없이 아무리 열심히 한 들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이라 제 노력과 의지 밖의 일이라서 힘든 것 같아요.저는 입사한지 1년 정도 되어서 아직 경험이 많지는 않지만, 다른 BM 선임분들이 디자인 까지 다 나온 상태에서 드롭을 겪는 것을 보면서 정말 힘들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래도 다시 새로운 제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보면 BM 은 정말 화장품을 좋아하는 사람이 일해야 하는 직무 같아요. 애정이 없으면 못할 것 같아요.Q. 유라님이 가진 특별한 것이 있으시면 소개해주세요!A. 저는 버킷리스트가 있어요. 20살 때 버킷리스트를 50개정도 세워서 지금까지 하나 하나 지워가고 있어요. 제가 이뤘던 것들로 교환학생 다녀오기, 해외에서 6개월 이상 살아보기, 스카이다이빙하기, 혼자 클럽가기, 혼자 여행해보기, 성적 All A+맞기, 수석해서 장학금 받기 등 있었어요. 하나 하나 버킷리스트를 지워가면서 다시 삶을 돌아보고 목표를 가지게끔 하는 것 같아요. 앞으로 남아있는 목록 중에 하나는, 제가 지금 I’M MEME BM 을 하고 있는데요. 언제가 되었든, 아임미미 히어로 제품을 무조건 만들고 싶어요. 지금 아임미미의 멀티스틱처럼 미미박스의 시그니처 제품을 꼭 개발하고 싶어요. 개발할 때까지 저 여기에 있을거에요(웃음). 지금은 전세계 어디 여성 파우치에 들어가 있는 ‘쿠션’이라는 카테고리가 2008년 이전에만 해도 없었는데 이제는 국내에 있는 브랜드들은 물론이며 글로벌 명품 브랜드에서도 앞다퉈 제품을 출시하고 있잖아요. 지금 화장품 시장이 포화 상태여서 특별한 무엇인가를 찾는 것이 어려운 일이지만 저의 원대한 꿈으로는 모든 고객들의 파우치에 들어갈 제품 혹은 카테고리를 꼭 만들고 싶어요.'간절히 원하면 이루어 진다' 라는 말이 있듯이,자신의 미래도 스스로 만들어갈 수 있는 것 같아요!시행착오를 겪지 않기 위해 하향 조정된 목표와 수준에서 안주하려는 마음보다는내가 원하는 것 혹은 간절히 바라는 것에 대해 도전적으로 생각해보는 것은 어떨까요?성장하고자 하는 미미박스에서성장하고자 하는 미미박서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Humans of MEME이번 주의 이야기는 어떠셨나요? 새로운 이야기를 가지고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아다음 미미박서의 이야기도 기대해주세요 !안녕히 계세용 꾸벅
조회수 3796

아마존 화장품 셀러들을 위한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사업자들의 해외 전자상거래 진출(아마존 판매)을 도와주는 컨설팅 회사이자 업무대행사 컨택틱의 이이삭 대표입니다.오늘 여러분들께 소개할 내용은 아마존에 판매하는, 또는 판매하고자 하는 화장품 셀러들을 위한 MSDS와 COA자료에 대한 주제로 찾아 뵙게 되었습니다.소개말화장품을 판매하는 아마존 셀러들에게 MSDS 또는 COA라는 표현은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이름입니다. 한국에서 화장품을 판매할 때에는 전혀 필요하지도 않았고 고려할 필요도 없었던 이 문서는 도대체 무엇이며, 왜 필요한 것이며, 언제 필요한 것이며, 어디서 발행 받고, 누구에게 제출해야 하는 것인지, 아마존에 판매하려는 대한민국 판매자의 입장에서 설명 드리겠습니다.1. MSDS 또는 COA란 무엇인가?MSDS란 Material Safety Data Sheet의 약자로, 물질안전 보건자료이고, COA란 Certificate of Analysis의 약자로, 제품 시험 성적서입니다. MSDS는, ‘16개의 주제’에 대하여 해당 제품이 안전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서류이고 (예를 들어, 알레르기 반응이 없다, 운송 중에 폭발 위험이 없다, 등등), COA의 목적은, 제품 ‘성분’에 대한 안정성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2. 왜 필요한가? 언제 필요한가?둘 다 아마존에서 요구하는 서류이기 때문에 필요한 것입니다. 왜 아마존에서 화장품에 대한 MSDS 자료와 COA 자료를 요구할까요? 우선 MSDS부터 설명 드리겠습니다. 아마존이 MSDS를 요구하는 것은 FBA로 판매하는 제품들에 대해서입니다. 좀 더 나아가서 설명 드리자면, 아마존은 국가 단위의 인증/인허가에는 관여하지 않습니다. 이 부분은 판매자가 알아서 특정 국가에 판매하는 데에 있어서 마땅히 해결해야 하는 것으로 간주하며, 만약 국가 단위로 제재가 들어오면 그때 아마존에서 행동에 나서게 됩니다. 하지만 그런 제재가 있기 전까지는 어떠한 제품을 팔아도 아마존에서 직접적으로 제재하는 상품이 아닌 이상 판매를 막진 않습니다. 그러면 아마존이 관심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아마존의 물류 창고에서 일하는 직원들의 안전입니다. 판매자가 FBA로 판매한다는 것은 어쨌거나 FBA 물류 창고에서 일하는 아마존 직원들의 손을 거치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아마존 입장에서는 직원들의 안전을 책임져야하는 입장에서 FBA 창고에 반입되는 제품들에 대해 안전성을 따질 수 밖에 없습니다. MSDS의 목적은 바로 아마존 FBA 물류 창고에서 근무하는 아마존 직원들의 안전을 위해 해당 제품이 물류 취급하는 데에 있어서 안전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MSDS 서류를 요구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COA는 왜 필요한 것일까요? 아마존이 COA를 요구하는 것은 뷰티 카테고리에 팔기 위해 입점 후 카테고리 승인을 받기 위해서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아마존에서는 국가 단위로 개입이 있기 전까지는 별도로 제재를 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topical products, 즉 신체에 바르는 제품에 대해서 국가 단위의 제재가 있었기 때문에 2017년부터 신체에 바르는 뷰티 제품에 대해서 COA, GMP, 또는 FDA 서류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MSDS의 물류 취급 안전과는 다른 목적인, 실제 제품의 성분 안전성을 위해 제출하는 자료가 COA이며, 해당 자료는 FBA 입고할 때 제출하는 게 아닌, 화장품을 판매하고자 카테고리 승인을 받을 때 제출하는 자료입니다.3. 어디서 발행 받을 수 있는 건가둘 다 제조사로부터 발행 받을 수 있는 서류들입니다. 제조사라 함은 제조판매업자가 아닌 실제로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을 말합니다.MSDS는 16가지 조항(주제/섹션)이 정해져 있습니다. 16개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SECTION 1 — CHEMICAL PRODUCT AND COMPANY IDENTIFICATIONSECTION 2 — COMPOSITION/INFORMATION ON INGREDIENTSSECTION 3 — HAZARDS IDENTIFICATIONSECTION 4 — FIRST AID MEASURESSECTION 5 — FIRE FIGHTING MEASURESSECTION 6 — ACCIDENTAL RELEASE MEASURESSECTION 7 — HANDLING AND STORAGESECTION 8 — EXPOSURE CONTROL / PERSONAL PROTECTIONSECTION 9 —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SECTION 10 — STABILITY AND REACTIVITYSECTION 11 — TOXICOLOGICAL INFORMATIONSECTION 12 — ECOLOGICAL INFORMATIONSECTION 13 — DISPOSAL CONSIDERATIONSSECTION 14 — TRANSPORT INFORMATIONSECTION 15 — REGULATORY INFORMATIONSECTION 16 — OTHER INFORMATIONCOA는 별도의 조항/섹션/주제가 정해져 있진 않습니다. MSDS와는 다르게 양식이 좀 더 자유로운 편입니다. MSDS는 16가지 섹션이 분명하게 명시되고 서술되어야 하는 반면, COA는 (제 경험상) 아마존 측에서 확인 가능한 필수 항목들이 기재 되어있다면 통과 됩니다. COA에 명시 되어야하는 항목들은 아래 URL에서 확인 가능합니다:https://www.inorganicventures.com/parts-certificate-analysisCOA는 통상적으로 표로 제작이 되며, 1~2 페이지 내외로 모든 내용이 서술 가능합니다.제조사로부터 MSDS 또는 COA 서류를 발행해달라고 하면 웬만한 제조사들은 바로 이해하고 발행해줍니다. 한 가지 조심해야 하는 것은, MSDS 또는 COA 서류를 발행 받을 때 반드시 발행자가 아마존에 등록한 상품 리스팅의 상품명/브랜드명/제조사명 등과 일치해야 하며, 발행 날짜는 6개월 이내이어야 하는 것입니다.4. 누구에게 제출하는 건가?MSDS는 제품 리스팅 후 FBA에 재고를 보충하는 과정에서 만약 MSDS 또는 SDS 자료를 제출해야 하는 품목인 경우 (화장품, 배터리가 들어있는 제품, 등) 적색 메시지로 오류가 뜹니다. 그러면 아마존 SDS Upload Tool을 이용하여 해당 제품의 ASIN 번호를 입력 후 서류를 PDF 파일로 업로드하면 됩니다.COA는 입점 후 카테고리 승인을 받을 때 제출하는 서류이기 때문에 오히려 MSDS 보다 먼저 준비해야 하는 항목입니다. 서류 제출 방법은 카테고리 승인을 받을 때 보이는 업로드 툴로 바로 업로드 하면 됩니다. 뷰티 Topical 제품의 경우 1차 카테고리 승인을 위해 제조사와 거래한 내역을 증빙하는 세금계산서/거래명세서 3장 (또는 제조사가 직접 판매하는 경우, 제조업이 명시된 사업자등록증 사본)이 필요합니다. 그 이후에 2차 카테고리 승인을 할 때 제출하는 것이 COA/GMP/FDA 서류입니다. 2차 안정성 승인 자료 업로드까지 전부 카테고리 승인 절차에 다 업로드툴이 있기 때문에 별도로 다른 메뉴에 접속하여 업로드할 필요가 없습니다.마치며…이렇게 화장품을 판매하는 아마존 셀러들을 위해 MSDS, COA/GMP/FDA 자료 소개 편이 끝났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이 글의 주제는 제 글의 댓글 중에 MSDS에 대한 글을 올려달라고 요청하신 분이 계셔서 정하게 되었습니다. 이렇듯이, 여러분들 중에 아마존 판매에 궁금한 부분이 있으시면 댓글로 주제를 남겨주세요. 간단한 주제는 제가 덧글로 답변해드리겠지만, 위 글처럼 다소 설명이 필요한 주제는 이렇게 별도로 칼럼을 포스팅 해드리겠습니다.컨택틱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62길 11, 8층 (역삼동, 유타워) 대표 전화: 02-538-3939 해외 부서: 070-7771-1727 영업 부서: 070-7771-1728 이메일: [email protected]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8OxbQGAnMqWGpGj5weLcZA홈페이지: https://www.kontactic.com
조회수 3534

워크로그 개발기

저는 야놀자 CX 서비스실의 API 파트에서 백엔드(90%)와 웹 프론트엔드(10%) 프로그래머로 일하는 송요창입니다.개정된 근로기준법에 따라 2018년 7월 1일부터 300인 이상 규모 기업인 경우주 40시간(최대 52시간) 근로합니다. 이에 따라 야놀자에서도 업무 집중도 향상과 함께 업무 시간을 명시하는 방안이 논의되었습니다. 이런 배경 속에서 만들어진워크로그개발 경험을 이야기하겠습니다.개인의 업무 시간 작성근로 시간이 기존 대비 단축되면서 각 개인의 업무 시간을 기록하고 기준 근로 시간을 초과하였을 때 이를 소진하도록 하는 방향이 결정되었지만 어떤 도구를 사용할지가 문제였습니다. Timing, TMetric, 출퇴근 기록기 알밤 등 다양한 도구를 사용해서 각자 기록을 시작했습니다.1차 시도 - Workflow + Alfred 활용그러던 중에 캘린더를 이용해서 출/퇴근 기록을 남기고 슬랙(Slack)으로 메시지를 발송하는 방법을 CX 서비스실 강미경 님이 공유합니다.캘린더와 - 유료인 경우 - 슬랙 모두에 기록이 남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용하기 쉽습니다.iOS 앱인 Workflow를 이용해서 캘린더에 이벤트를 등록하고 슬랙으로 메시지를 전송.데스크톱이나 노트북은 Alfred의 Workflows 기능으로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Workflow + Alfred로 워크로그를 기록하는 단점개인적으로 편리했지만 CX 서비스실 내부로 전파하여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었습니다.안드로이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경우 Workflow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아이폰을 쓰더라도 유료로 판매되는 Workflow를 사지 않으면 쓸 수 없습니다.Alfred를 쓰더라도 Power Pack을 구매한 사용자만 Workflows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2차 시도 - 슬랙봇 활용위에서 언급된 문제를 해결하고 구성원 누구나 추가 앱 설치 없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슬랙봇에 주목합니다. 캘린더가 아니라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서 개발하면 어떨지 논의했습니다.늦은 저녁(대략 23시부터 03시)에 Firebase 실시간 데이터베이스(Realtime Database)와 Firebase 클라우드 함수(Functions)를 활용해서 단순한 슬랙봇을 만들었습니다.슬랙을 실행한 뒤 슬래시 커맨드(slash command)로 /wl 출근을 입력하면 출근 로그가 추가되고 완료 메시지를 수신합니다.슬랙의 3초 이내 응답 요구단순한 기능이었지만 슬랙봇을 활용해서 워크로그를 작성하는 동료가 조금 늘었을 때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했습니다.슬랙의 슬래시 커맨드는 3초 이내로 응답할 때 완료 메시지를 노출합니다. 3초를 초과하면 아래 메시지를 노출합니다.Firebase 클라우드 함수로 작성한 코드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단순한 로그 데이터와 사용자 요청에 대한 기록을 모두 완수한 후에 응답을 보내도록 했습니다. 이 부분에서 응답 지연이 발생합니다.기록은 된다고 변명해봤지만, 사용자가 기록 여부를 알 수 없으니 재시도하는 횟수가 늘어났습니다. 중복된 데이터를 삭제 요청하는 사용자가 늘었습니다. 이런 불편을 겪고 초기 사용자가 이탈했습니다.위 문제를 제외하고도 다수 사용자의 특정 기간 내 로그를 모두 살펴보기에 슬랙봇은 그다지 좋은 도구가 아니었습니다.제가 잘 못 쓴 것이지 슬랙봇에게는 죄가 없습니다.3차 시도 - 웹페이지 도입앞서 말한 문제가 대두하기 전 다수의 로그를 살펴보기 위해 웹페이지를 제작 중에 있었습니다. 프로그래밍에는 야놀자 앱 하이브리드에서 다뤄본 React.js 외에 최근 소개받은 razzle, After.js를 사용했습니다(이에 관한 회고는 아래서 짧게 다룹니다).Firebase 실시간데이터 베이스에 쌓인 로그를 Firebase 클라우드 함수로 제작된 API로 사용자별, 일자별로 불러서 표시하는 정도로 개발 착수.웹페이지로 조회 기능을 만든 시점과 맞물려 슬랙봇이 무용지물이 되었습니다. 로그인 기능을 제작하고 웹페이지에서 워크로그를 추가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기록과 조회가 웹페이지로 대체 된 것입니다????????.Firebase 인증은 정말 편리합니다.대형 이벤트이렇게 만들었지만 떠나버린 사용자를 돌아오게 만드는 일은 불가능했습니다. 저를 제외하고 몇몇 분들만 사용하는 소소한 서비스로 사라질 예정이었습니다. 그런데 CX 서비스실 실장이신 하희진 님이 전격적으로 CX 서비스실 전 구성원이 워크로그를 통해 기록을 남겨달라고 요청하셨습니다. DAU가 10배는 급상승했습니다(1~2명에서 20명 이상으로). 많은 트래픽????이 들어오니 부족한 기능과 어설픈 기록 시스템 등이 문제가 되기 시작합니다.엎친 데 덮친 격으로 초과 근무 차감이란 주 기능 오픈에 대한 관리자(희진 님)와 사용자의 요구가 커졌습니다.할 일이 넘쳐난다.DAU 20의 공포요구사항을 분석하고 구현하면서 미비한 규칙을 관리자와 자주 논의했습니다. 논의 결과에 따라 메뉴가 생겼다가 사라졌다가를 반복해서 사용자의 혼란이 가중되었습니다. 아직 제작되지 않은 관리자 기능 때문에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수정하는 일도 빈번했습니다.무엇보다 갑자기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질문이 쏟아졌습니다. 주 40시간을 어떻게 측정할지, 초과근무시간의 근거나 법정 휴식시간 발생 요건 등 대부분은 규칙에 관한 질문이었습니다. 30분 안에 같은 질문을 5번 듣고 동일하게 답변하는 헤프닝도 있었습니다.???? 어디서 많이 본 모습인데? 바로 IT산업 전체에서 자주 일어나는 일입니다.점진적 개선우선 비슷한 질문을 모아 FAQ 페이지를 개설했습니다(우리 PO가 자주 하는 업무라서 배운 풍월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지나치게 사용자 기능을 제한하여 CS가 늘어난 측면이 있어서 규칙이 확정된 부분만 사용자 기능 제한을 풀었습니다.금주 내의 로그는 언제든 추가 및 수정할 수 있도록 변경했습니다.누적된 초과시간은 금주 중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변경했습니다.한 주가 끝나면 잘못된 로그가 있는지 검사한 뒤 로그 수정 후 초과시간 확정하는 일은 하고 있습니다.배포되는 버전마다 변경사항을 문서에 남기고 전체 사용자에게 공지했습니다.차감 기능은 자투리 시간과 CX 서비스실 구성원의 배려로 개발하였습니다.다행히 6월에 태어난 둘째가 새벽 4~5시면 한 번씩 울어서 알람 없이 기상할 수 있었습니다????.개인 회고워크로그를 제작하면서 크게 2가지를 느꼈습니다.미비한 요구사항 분석은 개발 비용을 상승시킨다하나의 요구사항은 여러 기능을 필요로 합니다. 자세한 분석 없이 뇌내 망상으로만 개발에 착수했더니 구조를 변경하느라 시간을 많이 소모했습니다.초과 시간을 예로 들면 우선 차감 메뉴를 만들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차감에 근거가 되는 누적 시간이 없습니다. 그럼 누적을 기록할 수 있는 모델을 제작합니다. 1일 8시간 기준으로 기록하도록 개발합니다. 주 40시간이 넘을 때 초과 시간이 발생하는 규칙이라서 1주일 단위로 마감하는 방식으로 변경합니다.이렇게 우왕좌왕하며 개발하니 밀고 나가는 힘이 약했습니다. 프로덕트 개발 시 PO가 이 부분을 많이 돌봐줘서 기본 없는 프로그래머가 되었습니다(????).개발은 50%. 운영이 나머지 50%다마이너 버전이라도 개발을 완료하고 배포할 때마다 한고비 넘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지만 진짜 서비스가 단단해지는 것은 사용자를 만날 때부터였습니다.사용자는 관리자보다 인내심이 없습니다. 개선 사항을 슬랙을 통해서 말해주고, 잘못된 기록이 있으면 수정을 요구했습니다. 이상한 규칙이 발견될 때마다 피드백이 왔습니다. 정당한 요구와 피드백이지만 1인 개발자가 감당하기는 벅찬 부분이 있었습니다.피드백을 정리해서 수정할 부분을 JIRA에 정리하고 작업하기를 반복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초기보다 더 다듬을 수 있었습니다.저는 근무시간 중에만 CS 대응을 했음에도 피곤했습니다. 이런 일을 매일 매시간 겪고 있는 야놀자 PO와 IT 업계 동료들은 정말 대단한 사람입니다. 이 자리를 빌려 다시 한번 존경합니다.개발 관련 회고(신약???? 임상 결과)토이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회사에서 사용하는 기술 외에 새로운 기술을 다뤄봤습니다. React.js와 함께 엄청나게 사랑받고 있는 vue.js가 아닌 이유는 개발 시간이 촉박해서 공부할 시간이 없었다고 핑계 대봅니다.razzle + After.js = ????React.js를 사용할 때 주로 Next.js를 사용해왔지만 이번에는 razzle과 After.js를 사용했습니다.razzle은 create-react-app처럼 React.js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도록 초기 구성을 도와줍니다. React.js 외에도 Vue, Angular, Preact, Elm 등을 지원합니다.After.js는 Next.js처럼 서버사이드 렌더링을 지원합니다. Next.js와 다르게 React Route 4를 이용해서 라우팅을 지원합니다.사용해본 소감은 razzle이 아무런 설정도 하지 않도록 도와주고 있어서 편리했습니다. TypeScript 도입도 예시가 있어서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코드 수정 후 웹페이지를 다시 로딩하는 핫 리로드(hot reload)도 잘 작동합니다. After.js는 서버사이드 렌더링 시 getInitialProps 를 사용할 수 있어서 Next.js에 익숙한 저에게 편리했습니다. 무엇보다 Next.js처럼 route를 변경하기 위해서 next-route에 의존하지 않아서 편리했습니다(대신 React Route를 의존합니다).저처럼 프로젝트 셋업을 어려워하는 초심자에게 유용합니다(검색할 때 사례를 더 많이 찾으려면 Next.js가 더 유리합니다).배포는 초기에 Aws의 beanstalk을 활용하다가 Zeit가 운영하는 now로 변경했습니다. Node.js나 docker에 익숙하고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cli)를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면 사용할만 합니다. 리전이 모두 해외라서 응답속도가 빠르진 않습니다.Zeit는 Next.js 프레임워크를 제작한 회사입니다.도움 주신 분???? 아이디어와 기획에 도움을 주고 사용자가 돼주신 R&D CX 서비스실 강미경 님???? 제보에 적극적인 R&D CX 서비스실 노현석 님DAU를 비약적으로 높여주신 R&D CX 서비스실 하희진 님미약한 사용성과 구린 UI임에도 잘 사용해주고 계신 R&D CX 서비스실 모든 구성원!!공감의 ????????! 눈물 흘리는 역할로 열연해주신 R&D UX/UI팀 김하연 님이 글을 리뷰해주신 유관종 님, 노현석 님, 구본한 님무엇보다 이런 프로젝트가 가능하도록 도와준 R&D CX 서비스실 내 API파트 전원에게 ????‍ 감사합니다.참고한 자료https://medium.com/evenbit/building-a-slack-app-with-firebase-as-a-backend-151c1c98641dhttps://api.slack.com/slash-commandshttps://firebase.google.com/docs/database/web/start#야놀자 #개발자 #개발팀 #문제해결 #버그수정 #백엔드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회수 1629

Y, 옐로스토리 레뷰 1주년 기념 행사를 찾아가다

옐로스토리의 마이크로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레뷰(Revu)’가 태국 진출 1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출시 1년 만에 현지 시장에 안착하며 동남아 시장 확대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한 레뷰! 그들의 Birthday Party가 태국 방콕에서 열린다는 소식을 듣고 저 Y가 해외 취재에 나섰습니다!  지난 금요일 저녁, 태국 방콕에서 레뷰의 1주년 기념 행사가 열렸습니다. 한국에 옐로스토리의 콘텐츠 마케팅 플랫폼 ‘위블’이 있다면 동남아시아 시장에는 레뷰가 있죠! 레뷰는 인플루언서에게 서비스와 상품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상품에 대한 경험을 콘텐츠로 만들어 공유하는 플랫폼입니다. 지난해 6월 현지시장에 론칭 후 짧은 시간 6,000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월 50건 이상의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정말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런 의미 있는 자리에 저 Y가 빠질 순 없겠죠?행사 시작 전! 참석자들이 포토타임 후 삼삼오오 모여 네트워킹 시간을 보내고 있었습니다. 저 Y도 서둘러 자리에 앉아 행사를 기다렸어요:)옐로스토리 장대규 대표와 YDM Thailand Alt65 체크 MD옐로스토리 장대규 대표와 YDM Thailand alt65의 체크 MD가 무대에 올라 환영사로 행사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지난 1년간의 레뷰의 성과부터 주요지표를 공유한 후 한국의 '위블'도 간략히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왼) CLEO 수피차 솜다리 (오) GMM Grammy 타미 타미욘크 모모 디렉터)이어 태국 대표 여성 매거진 ‘CLEO’의 수피차 솜다리 AE와 태국 최대 엔터테인먼트 그룹 ‘GMM Grammy’의 타미 타미욘크 모모 디렉터가 특별 강연이 시작됐습니다. 이들은 긍정적인 온라인 콘텐츠 제작하는 방법과 온라인 콘텐츠에 적합한 사진 촬영 노하우를 공유했는데요, 많은 참석자들의 눈이 초롱초롱하게 빛나는 순간이었습니다!위너는 과연...? 두근 두근!이어진 럭키 드로우 시간! 모두가 두근두근하는 마음으로 호명을 기다렸는데요, 현지 뷰티 체험권, 뷔페 이용권 등의 상품을 손에 쥔 진정한 위너들! Y는 아쉽게도 실패했답니다ㅠㅠ(왼) 베스트 리뷰어 (오) 대상 수상자 누피포그리고 기다리던 대망의 시상식:) 레뷰 출시부터 지금까지 가장 우수한 활동을 보여준 인플루언서 들이 선정됐는데요, 대상을 비롯해 신인상, 운영진상, 현지 클라이언트가 직접 뽑은 리뷰어 5명 등 총 8명이 ‘베스트 리뷰어’의 영광을 안았습니다!영광의 대상! 주인공은 바로바로 누피포였습니다! 누피포는 태국시장에 레뷰가 출시되면서 다양한경험을 할 수 있었다며, 이를 통해 얻은 경험과 정보를 좋은 콘텐츠로 만들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습니다! 본인 패션에 자신있는 모두가 베스트 드레서!모두가 즐거운 베스트 드레서 타임! 이 날의 베스트 드레서는 누구였을까요? 쟁쟁한 인플루언서들이 한 자리에 모인만큼 그 우열을 가리기가 쉽지 않았는데요, 이 구역의 베스트 드레서는 나야나 나야나! 다양한 이벤트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빠져 있다 보니 어느새 애프터파티 시간이 다가왔습니다! YDM 주요 임직원들과 레뷰 회원 및 클라이언트, 인플루언서들은 삼삼오오 모여 교류하고 소통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앞으로도 인플루언서들의 영향력은 점점 커질 텐데요, 그들이 국경을 넘어 세계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기를 기대합니다:)
조회수 1400

3월에 다녀온 여름나라 코타키나발루 3박5일 이야기 (3)

 패션블로그 웹뜰입니다어느새 웹뜰 10주년 워크샵을 다녀온지 한달이란 시간이 지나버렸네요 3월에 다녀온 여름나라 코타키나발루 3박5일 웹뜰 해외워크샵 마지막 이야기를 들고 왔습니다. 둘째날 워크샵을 마치고 세번째날은 오전에는 호텔에서의 자유시간이였습니다. 전날 워크샵으로 늦게까지 달린 웹뜰 직원들이 충분히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시간이였어요 늦잠도 좋지만 일단 조식은 챙겨서 먹어야 하니깐 일어나 조식뷔페로 갔습니다. ㅎㅎㅎ 역시 어제 달려서인지 어제보다 많은 직원들이 보이지 않네요 식사를 하면서 수영장쪽을 보내 오늘도 날씨가 끝내줍니다. 정말이지 코타키나발루에서 계속 날씨가 좋았던거 같아요 웹뜰의 직원들의 워크샵이라 날씨운이 따라 준 것 같습니다. 날씨도 좋고 수영장도 예쁘고 자유시간이니 조식을 먹고 수영을 해보기로 합니다. :)조식을 먹고 배도 부르겠다 산책 겸 마젤란수트라하버리조트를 돌아 다녀봤습니다. 정말 안 예쁜 곳이 없는 마젤란수트라하버네요 구석구석 어디가도 인생샷스팟!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사진찍고 놀다가 다시 리조트 방으로 돌아가서 수영복 갈아입고 수영장으로나왔습니다. 파란하늘에 파란 수영장 물 꺄!! 너무너무 예쁘네요 야자수까지 있으니 이국적인 느낌 물씬 수영장에선 역시 썬베드죠 ㅋㅋㅋ 수영보다 썬베드 썬베드에서 요렇게 요렇게 다들 아시죠? 요 허세샷 다들 찍어보셨을꺼예요 ㅎㅎ 수영장에서 수영도 하고 인생샷도 찍어보고 즐거운 오전시간을 보냈습니다. 마젤란수트라하버 골드카드 혜택으로 리조트 안에서 점심도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점심은 피자또는 파스타 중에 골라서 먹을 수 있었는데요 피자도 파스타도 다 맛있었어요 샐러드와 후식으로 과일까지 나오더라구요 수영하고 먹으니 더 꿀맛! 접시를 싹싹 비웠습니다. 세번째날의 오후 일정은 반딧불 투어였습니다. 반딧불 투어는 묵고 있는 마젤란수트라하버리조트에서 버스로 한참 나가야한다고 하더라구요 호텔로비에서 단체사진 한장 남기고 버스를 타고 갔습니다. 가는 중간에 휴게소라기보단... 음 화장실을 가기위해 잠시 들린 곳이라고 하는게 더 맞을 것 같습니다. 간이 매점같은곳이 있어서 간단하게 요기를 할 수도 있었습니다. 화장실은 좀... 열악했어요 물론 비용도 지불해야하고 비용 지불도 했는데 그다지 깨끗하지는 않았더라는.. 역시 어딜 가봐도 한국이 젤 깨끗한거 같아요  ㅎㅎ제가 좋아하는 옥수수도 있어서 옥수수를 사서 다른 직원과 나누어 먹었습니다. 역시 옥수수는 꿀맛이엿습니다. 넘나 맛있어서 버스에서 냄새 풍기는지도 몰랐네요 그리고 곧 도착한 식당입니다.  이 식당 뒤쪽으로 강이 흐르고 있고 배를 탈수 있는 곳이 있는데 그곳이 바로 이따 저녁에 저희가 반딧불 투어를 할 곳이라고 합니다. 식당 안쪽 인테리어는 이런 모습.. 말레이시아는 중국의 영향을 꽤나 많이 받았다고 하더니 이 식당도 흡사 중국 식당 같은 모습이네요 지금 든든히 먹어야 반딧불투어를 할때 배고프지 않다고 합니다. 반찬의 가지수는 여러가지 나쁘지 않습니다. 다만 양념에 향신료가 너무나도 듬뿍 들어가있어 입맛에 안 맞아 저희 직원들 중 대부분은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했네요 식사를 하는 웹뜰 직원들을 위해서(?) 인지 아니면 원래 시간마다 정기 공연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막간을 이용해서 공연을 보여주는 원주민들 나름 임팩트있게 공연을 보여주고 홀연히 떠나더라구요 ㅎㅎ식당에서 밥을 다 먹고 또 차로 10분정도 이동해서 저녁노을을 보러 갔습니다. 이름모를 해변가였는데 풀어놓은 소랑 말, 그리고 개까지... 해변에 응가를 싸놓아서 발밑을 정말 조심히 걸어야했습니다. 그래도 노을지는 해변에서 각자의 인생샷과 웹뜰 직원단체로 인생샷을 건질 수 있어 너무 좋았던 곳 이였습니다. 그리고 다시 식당쪽으로 돌아가서 반딧불투어!반딧불이는 빛에 민감하기때문에 사진은 찍지 못하였습니다. 역시 가장 아름다운 자연은 눈으로 즐기는게 가장 아름답게 즐길 수 있더라구요 숲따라 흐르는 강을 배타고 가면서 까만밤 수많은 별들 그리고 크리스마스트리처럼 반짝이던 반딧불이들까지너무나도 낭만적이였던 반딧불이 투어였습니다. 반딧불이 투어를 마치고 다시 숙소로 돌아온 웹뜰 직원들 저녁식사가 부실하여 허기졌을 직원들에게 한국에서 가지고온 컵라면과  맛있는 간식을 준비해주신 대표님 짱짱! 너무나도 감사합니다. 그리고 마무리로 조니워커블루라벨과 시원한 음료까지!셋째날 밤도 불태워 보았습니다. 그리고 넷째날 아침이 밝았습니다. 오늘은 체크아웃을 하기 전까지 자유시간으로 주어진 날각자 시내투어나 키나발루산 트레킹 그리고 마젤란수트라하버 투어 등으로 시간을 보냈습니다. 마젤란수트라하버리조트는 어제 오전에 즐겼으니 오늘은 시내투어를 해보았습니다. 시내로 가는 셔틀버스는 마젤란수트라하버리조트에서 시간마다 있었습니다. 저희는 일찍 서둘러서 조식먹고 10시차를 타는 거루~!셔틀버스는 티켓을 구매해야지 이용이 가능하구요 리조트앞 셔틀버스타는 곳에서 표를 구입할 수 있었습니다. 표는 3.2링깃으로 약 1달러정도의 금액을 내면 됩니다. 조금 기다리자 수트라하버라고 쓰여진 버스가 왔네요 저희말고도 다른 한국인 관광객과 타국의 관광객들이 버스를 많이 이용하더라구요 셔틀버스를 타고 시내로 들어가자마자 젤 처음에 보이는 이마고쇼핑몰에서 내렸습니다. 가장 최근에 지어진 력셔리한 쇼핑몰이라고하네요 약간 백화점 같은 느낌의 쇼핑몰이였어요 시원하고 깨끗하고 좋더라구요 백화점 느낌인 만큼 물건도 좋긴했지만 비싼 기분도 있어서 일단 여기저기 둘러보다가 나갔습니다. 그리고 밖으로 나와서 하염없이 시내를 걷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택시나 그랩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해도 되었지만 일단 코타키나발루 자체가 크고 넓은 편도 아니고 일단 걸으면서 시내를 구경하는것도 좋을것 같아서였습니다. 날씨는 덥긴했지만 그래도 한국의 한여름 40도를 육박하는 조금만 서 있어도 타 들어가는 듯한 더위는 아니였던 날이여서 걷기 좋았습니다. 걸어 다니며 여기저기 쇼핑몰도 구경하고 이국적인 풍경도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햇습니다. 더워서 시원한 망고쥬스라도 사먹고 싶었는데 길에서 파는 쥬스는 안보이더라구요 어느정도 돌아다니다가 KK플라자 지하로 갔습니다. 지하에 마트에서 기념품을 사기위해서죠 여기가 한국인지 말레이시아인지 ㅋㅋ 한국말로 쓰여진 네이버추천 카야잼이라는 표시 그리고 한국어를 유창하게하는 직원덕에 쇼핑을 잘 할 수 있었습니다. 지인들에게 줄 망고젤리와 달리치약등을 사서 이제 배가 고프니 근처 현지 맛집 식당까지 다녀왔답니다. KK마트에서 거의 근처에 있는 유잇청이라는 코타키나발루 맛집입니다. 네이버에 검색해보면 나오는 맛집이라서 그런지 손님들이 대부분 한국 손님이였답니다. 가게도 넓은 편이고 회전율도 좋아서 살짝 대기하고 바로 자리에 앉을 수 있었습니다.  저희는 국수 카야토스트 그리고 사태라는 말레이시아식 꼬치구이까지! 골고루 시켰습니다. 밖에서 돌아다녀서 시원한 음료가 땡껴 콜라도 시켰구요 현지식 음식이라 향신료 듬뿍이지만 향신료에 대한 거부감 거의 없는 저희는 아주 맛있게 싹싹 먹었답니다. 마젤란수트라하버 리조트로 돌아갈때도 셔틀을 이용해도 되지만 시간이 좀 많이 남아서 택시를 타고 편하게 갔습니다. 택시가 엄청 오래된 차라 에어컨이 안나와서 좀 덥긴했네요 ㅎㅎ 이번엔 키나발루산 트레킹을 한 팀의 사진을 소개시켜드리겠습니다. 키나발루산 트레킹은 막 걸어서 트레킹을 하는 느낌이라기 보단 차를 타고 이동하는 시간이 훨씬 많아서 힘들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키나발루산으로 가는 도중 마을이 있어 시장에 들려 열대과일 구경도 하구요 코타키나발루 까지와서 열대과일중 왕자라는 별명을 지닌 두리안도 안먹어볼수 없겠죠 냄새는 썩은 양파냄새 가 나서 냄새만 맡으면 못먹을 것 같았지만 의외로(?) 너무 맛있어서 다들 잘 먹었답니다. 특히 여직원들이 더 잘먹었다는 소리가 ㅎㅎ 산으로 가는 길에 만난 시원하게 흐르는 계곡물 날이 더워서 계곡물에 풍덩하고 싶은 심정을 뒤로하고 다시 키나발루 산으로 갑니다!가는 길에 히비스커스 꽃도 만났습니다. 히비스커스 꽃 말로만 듣고 말린걸 차로만 마셔봤지 이렇게 눈으로 보는건 다들 처음약간은 무궁화를 닮은 붉은 꽃잎이 너무나도 매력적인 꽃이였답니다. 그리고 울창한 열대 우림까지! 역시 자연이 젤 아름답고 위대한 것 같습니다. 키나발루 산에 올라오지 않았다면 이런 광경을 어디서 볼 수 있었을까요 키니발루산 캐노피 흔들다리도 건넜습니다. 총 4번정도 건너는 거 같은데 흔들흔들요거 은근히 덜덜 떨리더라구요 무서워서 아래를 보지도 못하고 앞만 보고 건넜답니다.  이렇게 자연풍경에 빠져서 길을 열심히 걷는 사이에 키나발루산 정상이 눈앞에 똭~!! 구름위로 보이는 산 정상에 다들 입이 똭~!!어찌나 아름다운 풍경인지 자연은 정말 위대하네요 동남아시아의 최고 높은 산이라고 들었던거 같습니다. 정상까지 갔다오려면 1박2일이 걸린다고 하더라구요 일부러 키나발루산 트레킹을 하려고 오는분들도 있다고 합니다. 저희는 정상까지는 가지 못하고 여기서 기념촬영을 하고 이제 다시 숙소로 돌아갔습니다. 시내투어팀도 키나발루산 트래킹 팀도 모두 숙소에서 잠깐의 휴식을 취하고 이제 짐을 모두 가지고 오후 6시 퇴실을 합니다. 원래 마젤란수트라 하버 퇴실시간은 11시인가 그랬던거 같은데 저희는 골드카드 혜택으로 레이트체크아웃이 가능해서 6시까지 일정을 즐기고 조금이라도 쉬다가 나올수 있어 좋더라구요 퇴실하고 시내에 나와서 야시장 구경을 하는 시간이 주어졌습니다. 야시장에서 가이드님께서 1링깃짜리 코코넛주스나 망고주스를 사주었습니다. 기대하고 먹었는데 시럽이 좀 섞여있는 맛 ㅎㅎㅎ100% 과즙은 아니라 조금 실망했지만 그래도 나름 맛있게 잘 마셨습니다. 이따 몇 시까지 어디로 모이라고 말한 뒤 이제 각자 야시장 구경 오전에 나왔을때의 시내와는 좀 다른 모습이네요 오전은 더워서 였을까요? 오전엔 사람이 많이 보이지 않았는데 오후가 되니 사람들도 많이 보이고 여러가지 장사들이 나와서 인지 좀 더 활기 띈 모습이였습니다. 그래도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절대 혼자는 다니지 말고 가방은 꼭 앞으로 매고 다녀야 한다고 가이드님께서 신신당부하였답니다. 야시장의 꽃은 역시 열대 과일이죠 ㅎㅎㅎ맛보라고 맛만 보라고 자꾸 말하는 동남아 상인들맛보고 어떻게 안 사냐구요! 저희 밥 먹구 공항가야해서 과일은 못사요 쏘리~야시장구경은 근처의 수공예시장도 구경해봅니다. 우리나라 남대문이나 동대문 시장 정도 되는 느낌의 가게가 빼곡히 자리 잡고 있었구요 여기가 기념품 사기에는 야시장보다 좀 더 볼거리도 많았습니다. 다만 너무너무너무너~~~무 더워서 오래 있지는 못하고 후딱후딱 보고 딱 사야 할 것만 사가지고 나왔네요 저는 여기서 지인에게 줄 드림캐쳐를 샀답니다. 물론 공항에서도 팔지만 여기서는 흥정도 가능하고 더 싸게 살수 있었습니다 :D야시장 구경이 모두 끝나고 이제 저녁먹을 시간 만나는 장소로 다들 시간 맞춰서 잘 와서 식당으로 이동! 무브무브코타키나발루에서의 마지막 저녁식사는 씨푸드였습니다. 뭐 씨푸드 하면 다들 떠올리는 바닷가재 킹크랩 왕새우등의 요리는 아니였지만 생선과 생선탕수, 크림새우, 오징어튀김등 그래도 씨푸드는 맞았네요 마지막 식사이니 만큼 다들 맛있게 잘 먹었답니다. 그렇게 식사를 모두 마치고 이제 공항으로 이동!3박5일간의 짧고도 긴 여행이 끝이났네요 워크샵으로 코타키나발루를 다녀오게 되다니 정말 웹뜰 직원이여서 행복하고 즐거운 시간들이였답니다. 다녀와서 힐링의 시간이 되었던거 같아요 함께한 10년보다 함께할 10년에 더욱 기대감을 가지며 일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담번에 또 즐겁고 재밌는 소식으로 찾아뵐께요 웹뜰의 워크샵 첫번째 이야기와 두번째 이야기는 아래 참고하시면 됩니다:)[웹뜰 창립 10주년 해외워크샵] 3월에 다녀온 여름나라 코타키나발루 3박5일 이야기 (1)[웹뜰 창립 10주년 해외워크샵] 3월에 다녀온 여름나라 코타키나발루 3박5일 이야기 (2)#코타키나발루 #워크샵 #해외워크샵 #웹뜰 #웹뜰워크샵 #마젤란수트라하버 #키나발루산 #인천공항 #이스타항공 #시내투어
조회수 5161

유명기업 채용 면접 전에 결산 보고서를 꼭 보아야 하는 이유

 오늘은 스타트업에서 약간 벗어나, 증권사 재직 시절에 느꼈던 것을 써보려고 한다. 증권사에 있던 시절, 취직을 준비하는 대학 후배들의 상담을 꽤 많이 받았었다. 그리고 나는 지망하는 기업이나 이유를 말해오는 후배들에게 늘 한 가지 질문만을 던졌다. '그래서 유가증권보고서는 읽어봤니?' 유가증권보고서, 한국식으로 하면 결산 리포트, 실적 보고서, 사업 보고서 등에 해당하는 이 자료들은, 사실 너무나도 '좋은' 것들이다. 지금부터 이것들이 왜 좋은지를 전하고자 한다.1. 사실 기업은 투자자에게 거짓말을 할 수 있다 우리는 '기업' 또는 '회사'라는 조직에 알게 모르게 부정적인 이미지를 투영하는 경향이 있다. 거짓말쟁이, 사기꾼, 돈에 눈이 멀어 인륜을 저버리는 집단. 우리가 "XX기업이..."라고 시작하는 뉴스가 나오면 "내 저런 놈들일 줄 알았어!"라고 외치는 이유다. 물론 기업은 거짓말을 할 수 있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얼마든지 거짓말을 하고싶어 한다. 그러나 그 거짓말이 들킬 경우, 목숨을 주고도 바꿀 수 없는 신용이라는 것을 가장 먼저 잃게 된다. 상장폐지나 벌금, 영업정지 같은 건 신용의 추락에 비교하면 사실 사소한 것이다. 그래서 제대로 된 기업은 거짓말을 할 수 있지만 하지 않는 쪽을 택한다. IR자료는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문서 중 하나이다. 투자자들, 달리 말하면 기업의 일부를 소유한 사람들에게 현재 기업의 상황이 어떤 지를 보고하는 자료이기 때문이다. 다시 바꾸어 말하면, IR자료에 거짓을 말하는 기업은 자기 가족을 속여 보증을 세우는 가장이나 다를 바 없다. 그래서 IR자료는 믿을 수 있다.2. 잠긴 빗장을 푸는 마법의 열쇠 당장 생각나는 기업 하나를 떠올려 보자. 만약 그 기업이 KOSPI, KOSDAQ, TOPIX, NYSE 등등, 어떤 증권시장에라도 상장되어 있다면, 그 기업은 한 겹 내지는 두 겹의 성문을 열 수 있는 열쇠를 던져놓은 것이다. 물론 그 성문을 열었을 때 눈앞에 지문인식 센서가 있거나 할 순 있지만, 대부분의 구직자들이 한 겹의 성문도 뚫지 못하고 나가떨어지는 걸 생각하면 굉장한 기회가 열린 것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다소 과장된 표현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효과는 확실하다. 어떤 기업의 한 사업부가 적자를 냈다고 가정하자. 그 기업이 꽤나 유명하다면, 온갖 포털의 경제뉴스란에 원인을 말하는 기사들이 줄지어 올라올 것이다. 해외 경쟁업체 A사와의 가격경쟁에서 밀렸다, 국내의 수요가 준 것이 큰 영향을 끼쳤다, 중국과 미국의 무역전쟁에 따른 심리적 위축이 컸다....문제는 이 뉴스들이 다 맞을 수도 있고, 다 틀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오늘 내가 약속시간에 늦은 것은, 늘 같은 시간에 타던 버스가 그날만 늦게 와서일 수도 있고, 5분만 더 자겠다고 욕심을 부렸기 때문일 수도 있고, 유난히 화장이 안 받아서 눈썹만 30분째 그렸기 때문일 수도 있다. 여기서 중요한 건 남들이 어떻게 생각하느냐가 아니라, 내가 어떻게 생각하느냐이다. 사업 보고서, 결산 보고서 등을 보면, 결산 결과에 대한 그 기업의 관점이 어떤 지를 바로 알 수 있다. 국내 굴지의 대기업인 모 회사는, 5년째 마이너스 이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XX 사업부에 대해 실적 발표 자료에서 다음과 같이 평하고 있다. '신모델의 출시 시기가 2분기로 결정됨에 따라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 '신모델 부재에 따른 매출 감소, 재료비 압박 등 이슈에도 불구하고 OOO 디자인 강화를 통한 원가 구조 개선 노력 등으로 전분기 대비 적자폭 축소' 이 기업은 매출이 줄었지만 그 나름의 타당한 이유가 있었으며, 적자가 났지만 지난 분기보다 적자폭이 줄었으니 그래도 선방했다는 관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업 보고서를 보면, 국내외의 시장 여건이나 원가 절감 요소, 경영 상황 등에 대해 회사의 입장을 말하고 있다. 다시 말하지만, 이 문서들에는 거짓말을 해선 안된다. 기업이 생각하는 시장 상황과 타개책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문서인 것이다. 그들 자신이 느끼는 그대로를 보는 만큼 상대를 깊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세상에 또 어디 있겠는가?3. 당신이 내일 만날 사람의 3/4은 '나와 같은 의견을 가진 사람은 없을까'하며 필사적으로 찾고 있다 앤드루 카네기의 말이다. 그리고 이 뒤에는 '이 염원을 들어주는 것이 남의 호의를 사는 비결이다'라는 말이 이어진다. 이 글을 읽는 당신이 위에서 언급한 국내 굴지의 대기업에, 하필이면 5년 연속 적자를 내고있는 XX 사업부에 지원하여 면접 기회를 얻었다고 하자. 그런데 면접관이 이런 질문을 한다. "본인의 경험이나 경력이 우리 회사가 겪고 있는 어려움에 어떤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당신은 말한다. "XX 사업부가 5년 연속 적자라는 뉴스를 봤습니다. 저는 해외 원자재 가격의 상승이 그 원인이라고 생각하고, 저의 해외 유학이나 해외 생활 경험이 이러한 원자재 조달 루트의 다양화에 기여하여 가격 경쟁력 확보에 도움을 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당신이 '잘 대답한 것 같아'라며 안도의 한숨을 쉬고 있을 때, 갑자기 옆 자리에 앉은 친구가 손을 든다. "저는 XX 사업부의 적자가 지속되고 있지만, 전년 동기 대비 적자폭이 줄고 있는 점을 생각하면 개선이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특히, 새 모델의 출시가 연기되었는데도 이런 성과라면, 새 모델이 출시될 경우 더 큰 효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대학시절 마케팅 동아리에 있던 경험을 살려서, 이 모델의 마케팅이나 기획 면에 도움을 드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축하한다. 당신은 지금 다른 회사에 가서 면접을 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얻었다. '귀하의 능력은 뛰어나나 아쉽게도 당사의 방향과 맞지 않아...'라는 정성 가득한 메세지를 받게 되는 것은 덤이다. 물론 면접관의 생각이나 판단이 꼭 결산 자료에 나온 것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고, 사실 자기 회사 IR자료를 꼼꼼하게 읽어보는 사람도 별로 없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은 결산 결과가 나왔을 때 그것을 전 임직원에게 전파하고, 앞으로의 사업 방향이나 힘을 주어야 할 분야에 대해서 공유한다. 우리가 결산 보고서에서 읽은 그 내용은 면접관도 비슷하게나마 접했을 가능성이 매우 큰 것이다. '나는 당신과 같은 방향을 바라보고 있어요'라는 메세지를 심어주는, 아니 심어줄 수 있다는 가능성만으로도, 면접 전에 IR자료를 읽어볼 가치는 충분하다.4. 믿고 거르는 회사를 판별하는 방법 이건 조금 어려울 수도 있다.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캐쉬플로우의 의미를 읽을 줄 아는 정도의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산 보고서에서 발견한 숫자 하나가 당신의 커리어를 좌우할 수도 있다는 건, 일단 사실이라고 생각한다. 우선, 최근 3년간의 자료 정도는 죽 놓고 훑어보는 게 좋다. 연결재무제표는 어려울 수도 있으니, 단일 재무제표만 놓고 보아도 좋다. 중요한 건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다. 가정법을 너무 자주 쓰는 것 같은 느낌이 좀 들지만, 어쨌든 W라는 회사가 있다고 치자. W사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적자로 돌아섰고, 올해에도 적자폭은 그다지 변하지 않았다. 대차대조표상 고정자산은 줄어들었고, 유동부채는 늘었으며, 캐쉬플로우에서 투자로 인한 현금흐름이 -2500백만원에서 +2500백만원이 되었다.  W사는 어떻게 될까? 길어봐야 3년 이내에 이 회사는 매각수순을 밟거나 도산하게 될 것이다. 사실 은행의 여신업무를 담당하는 사람들이 가장 집중적으로 보는 것이 이 세 가지 지표이다. 우리가 여신담당 은행원 수준의 지식을 갖출 순 없겠지만, 숫자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으로도 이런 불량기업을 피해가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W사는 사실 설명을 위해 대충 지어낸, 아주 알기 쉬운 케이스이지만, 생각하는 방향은 크게 다르지 않다. 대차대조표상 고정자산이 줄고 유동부채가 늘었다는 말은 건물이나 땅, 설비를 팔아서 단기적으로 돈을 융통했다는 뜻이다. 투자로 인한 현금흐름이 0이거나 오히려 플러스라는 것은 새로운 설비 투자나 R&D에 전혀 돈을 쓰지 못하는 상황이라는 뜻이며, 영업이익의 적자폭은 변하지 않았다지만, 이 회사가 새로운 성장동력을 얻거나 기적의 한 수를 두어 회생할 확률은 한없이 0에 가깝다. 운도 노력하는 사람에게나 따라주는 것이다. 이 회사는 지금 억지로 숨만 붙여놓은, 굉장히 위중한 상태이다. 만약 당신이 W사에 채용되어(채용을 진행할 수나 있을 지 의문이지만) 출근하게 된다면, 어느 날 아침 사무실이 풍비박산나고 채권자들이 몰려들어 아우성을 치는 모습을 보게 될 것이다. 그 전에 슬슬 월급이 밀리기 시작하며 음습한 기운이 사무실에 감도는 것을 볼 수도 있다. 믿고 거르는 회사를 믿고 거르기 위해서도, IR자료는 큰 도움이 된다.5. 기업은 거짓말'은' 하지 못한다 다시 거짓말 이야기로 돌아왔다. 이 단락에서 말하는 것들을 실천할 수 있다면, 아마 금융업계 경력이 있거나 관련 자격증을 따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는 사람 정도는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여기서부터는 사실을 판단하는 능력도 중요하지만 날카로운 감각이 조금씩 중요해지는 시점이다. 이 단락은 그냥 '이런 것도 하네' 정도로 보면 될 것 같다. 기업은 투자자에게 거짓말을 하지 못한다. 했다가 걸렸을 때 잃는 것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상엔 자기합리화라는 것이 존재한다. 저 위로 다시 올라가서, 국내 굴지의 대기업을 또 끌고 내려와 보자. 해당 회사는 '신모델의 출시가 늦어져 매출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그런데 새 모델이 출시된다고 매출이 늘 거라는 보장은 사실 없다. 모 회사가 만약 가구 회사라면, 침대의 신모델이 나왔다고 폭발적인 판매량을 기록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업계의 특성과 시장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이 기업이 어떤 스탠스를 취하고 있는 지 살펴볼 수도 있다. '진실을 말하고 있다'와 '거짓을 말하고 있지 않다'는 전혀 다른 것이기 때문이다. 앞서 말한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캐쉬플로우 세 가지를 보며 보다 논리적이고 정확한 분석을 할 수도 있다. 증권사 재직 시절 연수를 받으러 갔을 때, 밑도 끝도 없이 재무제표를 던져주고 '이 기업에 대해서 논해라'라는 과제를 받은 적이 있다. 그리 큰 자랑은 아니지만, 대강 10개 중 8~9개의 기업을 이름까지 다 맞춰내었던 기억이 난다. 8개였나 9개였나는 잘 기억이 안 난다. 만약 9개라면 좀 더 내 콧대가 높아지겠지. 여튼 여기서 하고 싶은 말은 자기 자랑이 맞지만, 또한 숙련된 사람이라면 그것만을 가지고도 이 기업이 어떤 기업인가, 무엇을 하는가, 최근 상태는 어떤가를 알아낼 수 있을 정도로, 기업의 모든 것을 낱낱이 파악할 수 있는 것이 IR 자료라는 뜻이다. 더 팀스는 채용을 '끌리다, 만나다, 일하다'의 세 단어로 규정한다. 그리고 '채용에 설렘을 더하다'라는 캐치프레이즈도 즐겨 쓴다. 여태 신나게 복잡한 말 늘어놓고 갑자기 뭔 소리냐는 생각이 들겠지만, 난 이 캐치프레이즈들을 아주 좋아한다. 유가증권보고서를 앞에 놓고 기업에 대해 하나하나 알아가던 그 때의 설렘, 그 때의 흥분이 되살아나기 때문이다. 나는 스타트업이 아니더라도 채용에 설렘을 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마치 기업과 소개팅을 하듯이, 기업에 대해서 알아보고, 기업의 마음에 들기 위한 노력을 한다. 당연히 내가 마음에 안 드는 기업을 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IR자료는, 기업이 소개팅 상대라고 했을 때, 말하자면 어릴적 편식하던 음식이 무엇인가까지 시시콜콜하게 알아낼 수 있는 상당히 좋은 방법이다. 모든 IR자료는 딱딱하고 어려운 문장의 나열에, 알 듯 모를 듯한 단어와 수많은 숫자들이 어지러이 오간다. 처음 보는 사람은 대체 무슨 말을 하는 건지 이해도 제대로 못 할 정도다. 하지만 매력적인 사람들은 대부분 어렵지 않던가. 우리가 사람의 마음을 얻기 위해 그 사람을 연구하듯, 기업의 마음을 얻기 위해 기업을 연구하는 것도 그리 나쁘지 않을 것이다.#더팀스 #THETEAMS #IR자료 #면접 #꿀팁 #취업준비
조회수 1061

여정의 시작

2012년 5월 13일 오후미국에서의 지루한 어학연수를 견디지 못하고 있던 나에게 메세지가 하나 도착했다.'서영아! 미국에서 언제 돌아오니?나 너한테 말할게 있어~'같은 동아리 출신, 스타트업이라는 업계에 먼저 뛰어든 한 언니의 메세지였다.그 때의 이 짧은 메세지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5년 간 여정의 시작이 될 줄 누가 알았을까?+2012년 5월 당시, 위제너레이션은 fundly.com 과 같은 크라우드펀딩에 스타와 기업을 붙이겠다는 컨셉으로만 존재하고 있었다. 유펜 출신의 선후배가 모여 3명 정도로 창업팀이 꾸려졌으나 (초반에 성대 선배님이 한 분 계셨지만 서비스 런칭 전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러 떠나야만 했다), 창업 경험이 있거나 경영학 배경인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관련해서 어떠한 도움이든 필요한 상황이었던 것 같다.물론 인생의 어느 지점에서는 분명 사업가가 되겠다고 생각해왔지만,1) 스물넷의 어린 나이 (하긴 요즘 창업하는 사람들을 보면 어린 나이도 아닌 것 같다) 2) 학교를 졸업하지 않은 점 3) 외국계 기업 취업을 고려하고 있었던 점 등을 고려해볼 때, 나는 "일반 취업은 포기하고 창업을 하겠어!"라는 굳은 결심을 가지고 위제너레이션을 시작한 것은 아니었다.다만 내가 어학연수를 하기로 한 1년만이라도, 정작 경험해보니 별 알맹이가 없었던 영어 공부라는 경험이 아닌, 좀 더 흥미롭고 내가 성장할 수 있을 만한 일에 도전해보고 싶었을 뿐이었다.+대화를 주고 받던 언니에게 이메일 주소를 전달했고, 언니가 소개해 준 창업팀에서 당시 대표를 맡고 있던 분에게 긴 이메일이 왔다. '20대들이 주도하는 소셜기부 업체 위제너레이션'홈페이지에 다양한 모금 캠페인이 게시되며, 캠페인 기간은 2주씩. 각 캠페인마다 응원하는 유명인사와 기업이 함께 참여하여 일반인에게 기부금을 모금한다.위제너레이션의 수익은 일반인 모금액이 아닌 기업 기부금의 20%를 홍보비로 받는다.나중에 가서는 이게 얼마나 말도 안되는 생각인 줄을 알게 되었지만... 어쨌든 그때로써는 그런 사업의 현실성보다는 1) 아이비리그 출신(이면 무조건 잘하는 줄 알았어)과 함께 일하는 경험 2) 기부라는 사회적기업의 성격(내 인생의 미션과 일치하는)3) 연예인과 함께 한다는 컨셉 자체의 신선함 등이 먼저 다가왔다.사랑에 빠진건가. 뭔가 마음에 들기 시작하면 뭘해도 다 예뻐보이는건지, 당시 창업팀이 나에게 보내왔던 자료들도 부족한 게 한두가지가 아니었는데 그런 부분들도 미워보이는 게 아니라 "오, 내가 가면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많겠구나" 라는 기쁨으로 다가왔다. (제안서를 논문 쓰듯이 써서 보낸 걸 보고도 "내가 가면 제안서를 고칠 수 있겠어"처럼 개 긍정적인 사고방식.......)그렇다. 뭐가 씌여도 단단히 씌였다. (순siri는 아니고요..)총 1년으로 예정되어있는 어학연수가 진행된 지 3개월만에, 도로 귀국을 결심한 것이다. 어학연수가 흔하지 않았던 고향 분위기 탓에, 부모님을 얼마나 설득해서 왔던 연수였나. 그런데 어이 없게도 (자기 돈도 아닌 주제에) 그 돈을 환불받고, 부모님 몰래 한국으로 돌아와 잘 알지도 못하는 창업팀에 같이 투자하며 조인을 하다니.나는 현실적이지 못했다.그리고 비현실적이었던 그 때의 결정이 만들어 온 (+만들고 있는) 내 스타트업의 여정의 이야기를 지금부터 시작해보려 한다.#라이비오 #스타트업 #창업 #창업가 #창업자 #히스토리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회수 6250

삼분의일 매트리스 질문 TOP 5

요즘 아침부터 밤까지, 주중 주말 구분 없이 많은 분들에게 매트리스 관련 질문을 받고 있습니다. 향후 매트리스 구매를 생각하시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될것 같아서, 많이 받는 질문 TOP 5를 정리해봤습니다.1위 : 폴리우레탄 폼 매트리스가 뭐야?2위 : 그게 뭐가 좋아?3위 : 안좋은점도 있지?4위 : 너희 제품은 뭐가 특출난데?5위 : 적정 가격은 얼마야?폴리우레탄?폴리우레탄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머리속에 드럼통과 해골이 생각난다.그런데 사실 폴리우레탄은 이미지와는 달리 수술용 거즈와 메디폼의 원료가 되는 매우 안전한 석유화학 물질이다. 반드시 알아야할 특징은, 위 모식도처럼 soft 와 hard segment로 결합된 형태여서 soft 와 hard 비율을 조절하면 로드 블록부터 매트리스까지 다양한 물성의 물질을 만들 수 있다. 현대 화학의 만능 레시피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아직까지 고품질 폴리우레탄 제조 기술은 우리나라가 중국보다 앞서 있다. (몇개 남지 않았다..)폴리우레탄에 기체를 불어 넣으면 발포되면서 스펀지 같은 폴리우레탄 폼이 만들어 진다. 삼분의일은 다양한 물성의 폼을 조합해서 누웠을때 'magic moment'를 제공하는 매트리스를 만들고 있다.놓치면 안되는 포인트 한가지 더! 라텍스와 폴리우레탄은 전혀 다른 물질이다. 라텍스는 고무나무 원액으로 만든다. 라텍스의 장단점은 검색해 보시기 바란다. 확실한건 세계적 흐름은 라텍스에서 폴리우레탄으로 넘어왔다. (핑클vs트와이스 정도의 비유가 적절하겠다.)장점스프링 매트리스는 스프링 간격을 '0'으로 만들 수 없다. 따라서 누웠을때 스프링 매트리스면의 곡면은 몸의 곡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는 공간이 생긴다. 반면, 폼 매트리스는 몸의 굴곡과 0.1%의 빈틈조차 주지 않는다. 여기서 완벽한 포근함과 지지감이 나온다. 관절 마디마디, 근섬유 가닥가닥이 느낀다.몸의 곡면과 매트리스 표면이 피부처럼 밀착되면서, 몸의 튀어나온 부분은 잘 감싸주고 들어간 부분은 채워주게 된다. 그 결과 몸에 생기는 압점이 현저하게 적어진다. 특히 옆으로 주무시는 분들 주목! 새로운 신세계를 만날 수 있다.단점그렇다 단점이 없을 수 없다.상식처럼 알려진 폼 매트리스의 단점은 3가지이다.냄새, 열기, 답답함.1) 냄새폴리우레탄이 갓 생산되면 퀴퀴한 냄새를 풍긴다.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라 불리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그 원인이다. 1주일 정도 지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지지만, 후각이 예민하신분은 분들에게는 분명 불편한 요소이다. 유명 T사의 경우 이 냄새로 인해서 소비자와의 분쟁도 있었다. (참조 : https://news1.kr/articles/?2737094)2) 열기폼은 열을 머금고 가두는 성질이 있어서 스프링 매트리스보다는 쉽게 더워진다. 여름 열대야 시즌에 문제가 된다. 삼베와 같이 시원한 소재로 커버를 씌우면 되지만 확실히 스프링 매트리스보다는 덥다.3) 답답함T사의 제품을 예를 들자면, 포근함이 과한경우 한없이 꺼지는 기분을 답답해 하는 분들이 종종있다.삼분의일 제품 기획 방향폼 매트리스의 장점과 단점이 정의되었으니, 삼분의일이 해야 할 일은 명확했다.단점을 '제거'하고 장점을 '극대화'시키는 것.단점 제거1) 냄새 제거개인적으로 냄새에 민감하기에 큼큼한 냄새를 완벽히 제거하고 싶었다. (나도 고객임.) 냄새 제거를 위해서 30년 경력의 공장장님과 유럽 최고급 폼 매트리스 공정을 참고했다. 해결책은 간단했다. 폼을 강한 열풍으로 가열해서 속에 있는 VOC 분자들을 활성화시켜 폼 깊숙이 숨어있는 VOC 분자들을 표면으로 끄집어내고 강력한 바람으로 VOC 분자들을 날려 보내는 공정을 추가하면 된다. 역시 말은 쉽다.론칭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공정을 새롭게 추가한다는 것은 무리였다. 하지만 집중과 집착은 항상 불가능해 보이는일을 가능하게 한다. 정식 출시를 꽤나 여유있게 앞두고 VOC 제거 설비 추가를 마무리했다. 공정을 거친 폼에 아무리 코를 파묻고 킁킁대봐도 뽀송뽀송한 냄새밖에 나지 않았다. 특유의 큼큼한 곰팡이 냄새 OUT 성공!VOC 제거 공정 설비2) 열기 문제가장 어려워 보이는 이 문제는 쉽게 해결했다. 삼분의일 제조공장에서 일반 메모리폼보다 통기성이 20배나 높은 폼을 만드는 독자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통기성이 20배 높다는 것은 열 배출 능력이 20배 더 뛰어나다는 의미이다. 이 폼을 우리 제품 최 상단 레이어로 채택했다. 더위 문제 해결!삼분의일 IR자료의 한면을 가져왔다.3) 답답함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무려 6개월이 걸렸다. 개개인의 잠기는 정도에 대한 선호도가 조금씩 달랐기 때문이다. 하지만 역시 세상의 모든 현상은 정규분포를 따른다. 테스트 인원수가 늘어날 수록 sweet spot 범위가 드러났다. 7cm 였다. 이 이상 파묻히면 답답해 했고, 이 이하로 파묻히면 좀 더를 원했다. 7cm를 유지하기 위해 두번째 레이어에 경도가 높은 3cm 고밀도 폼을 추가했다. 체중에 의해서 어느정도 파묻히다가 두번째 레이어에 '딱' 걸리면서 7cm 정도에서 파묻힘이 멈추게 된다. 정확히 '딱' 원하는 만큼의 파묻힘 발견!장점 극대화처음부터 이 얘기를 쓰고 싶어서 손가락이 근질근질했다. 몸에 꼭 맞는 폼 매트리스에 누웠을 때의 느낌은 마치 물 위에 두둥실 떠있는 기분이 든다. 물침대의 묵직한 출렁임이 아니라, 카푸치노 위의 거품처럼 가뿐한 두둥실 기분이다.우리는 물 위에 떠있는 느낌이 나는 폼 매트리스 조합을 찾는것을 목표로 세웠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조합을 테스트해봤지만, 그 느낌에 좀처럼 가까워지지 않았다.(원래 이부분에 자세한 레시피에 대한 언급을 했다가, 노하우 유출이라는 얘기를 듣고 지웁니다. )고객분들중에 궁금하신 분들은 저한테 개인적으로 물어봐주세요!틀을 깨는 시도는 가끔 의외의 결과물을 가져다준다.별의 별짓을 다할때도 우리를 믿어준 공장장님께 감사드린다.Pricing얼마가 적당하냐고 묻는 질문이 제일 난감했다.답을 하자면 폼 매트리스는 2개의 큰 덩어리에 의해서 결정된다.1) 브랜드2) 폼의 품질브랜드 가격은 브랜드의 역사와 1년 광고 예산에 의해서 결정되고, 폼의 품질 가격은 폼의 내구성과 안전성에 의해서 결정된다. 내구성을 위해서는 40kg/m^3 이상의 밀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안전성은 유해물질 검출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폼의 품질에 대한 의구심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세계적으로 공인된 CertiPUR 인증을 받았는지 확인하면 된다. (참조 : http://www.europur.org/)CertiPUR  인증 기준- 수은, 납, 카드뮴 등의 중금속을 포함하지 않음- 유럽연합(EU) 법률에 명시된 발암성 또는 알레르기성 염료를 포함하지 않음- 프탈레이트 카소제를 포함하지 않음- 암을 유발하거나 유전적 손상을 초래하는 성분을 포함하지 않음-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낮은 배출량삼분의일 매트리스 요약출시에 맞춰서 받게된 CertiPUR 유럽 인증- CeritPUR 유럽 인증 마크 국내 획득 (쿨폼, MDI 폼)- 평균 밀도 : 50kg/m^3- 두께 : 25cm- 동일 품질 대비 1/4 가격 : 80만 원대 (queen size)- 기존 폼 매트리스의 단점은 제거하고, 장점을 극대화 한 well-made mattress#삼분의일 #제품소개 #매트리스 #고객대응 #고객만족 #고객가치
조회수 1972

효과적인 회사 홍보를 위한 지속가능한 방법

행사 당일 이미나 이사님의 포스팅오랫만에 포스팅이네요. 작가의 서랍에 많은 재료들을 놔두고 실제로 쓰지 못하고 있는 현실ㅠㅠ..아무튼 3월 14일에 재미나고 유익한 홍보 토크에 다녀왔습니다. 정보 공유해보겠습니다 !일단 speaker이신 유명한 이미나 이사님과 임원기 기자님 두 분은 제가 페이스북에서 늘 포스팅으로 어깨 너머 정보를 받아봤었구요. 실제로 만나뵈니 영광이였습니다. -이미나 이사님▷꼬날이 간다 https://brunch.co.kr/@kkonal▷꼬날의 PR 현장 이야기. http://kkonal.com▷Facebook. http://facebook.com/kkonal▷Instagram. http://instagram.com/kkonal -임원기 기자님 (꼬날 이사님과 13년째 베프)▷Blog. http://limwonki.com/ (300명 이상의 창업자 인터뷰)▷네이버 프로필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edgestorynet/ (사내 벤처)토크가 진행되었던 순서로 정보들을 차례대로 정리해볼게요.이미나 홍보 이사님 토크로 먼저 시작되었습니다. 주니어때 3~4년간 홍보에 대한 지식을 전문적으로 습득하기 위해 많이 고생을 하셨다고 했습니다. 사비를 들여가며 홍보 관련된 강의도 들으러 다니고 하셨다네요. 근데 막상 제일 도움이 되었던 것은 기자들이 이렇게 홍보하는게 좋더라 라는 곳에서 많은 인사이트를 얻으셨다고 합니다. 이사님은 많은 업계의 다양한 분들을 만나뵈면서 영감을 받는데 특히 창업자들을 만나면 홍보에 관련된 비슷한 고민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하십니다. 그래서 이번 토크에서 창업자들만이 모인 토크 모임이였던 것 같앴어요.어떤 일을 하나, 무슨 생각으로 하나기자분이랑 미팅이 많고 핀테크 포지셔닝(lendit)이니깐 IT,금융,증권 이렇게 다양한 기자분들을 만나뵌다고 하시네요. 오히려 기자분들을 만나뵜을 때는 업계에서 일어나는 일을 많이 전해주는게 좋은데 그럴려면 많은 정보를 취득해야되고 이사님 같은 경우에는 많은 스타럽 관계자들 만나면서 그 소스들을 얻는다고 합니다.내가 생각하는 PR기업이 기업 활동과 관련있는 공중(web pubilc)들과 관계를 구축,유지,발전시킴으로써기업 경영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하는 모든 활동.이라고 말씀하시면서 요약하시기를 홍보는 친구 만들기이다. 라고 하셨습니다. 알리기는 아니라고 말씀을 하셨죠. 친구가 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일어난다고 하셨습니다."어 미나가 랜딧에 있네? 랜딧이 어떤 걸 하는 회사지? 랜딧이 보니깐 좋네? 페북에 알려볼까? 도와주고 싶은데..? " 이런 프로세스를 거치면서 결국 관계가 형성되고 바이럴이 형성되는 것이죠.이는 샤오미의 창업자 레이쥔이 참여감에서 말했던 논리와도 상당히 일치합니다. 사용자와 친구가 된다는 것은 이제 단순히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감을 구매하는 시대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즉 기자 혹은 언론 매체와 친구가 된다는 것은 이제 단순히 알리는 역할을 하고 끝이 아니라 참여감을 형성하는 시대라고도 볼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그리고 재밌는 그림을 비유로 PR을  설명해 주셨는데 오른쪽 위에 있는 PR그림을 보면 남자가 여자한테 사랑을 한다는 그림이 아니라 여자가 "쟤가 너 엄청 사랑한대" 라고 얘기를 하고 있는 모습이네요.참 적절한 비유이긴 한데요. 저는 생각하기론 이제는 시대가 marketing, PR, AD, branding 모두 경계없이 저렇게 가야되지 않나 생각합니다. 이렇게 바이럴을 설계하고 끊임없이 실험하는 조직이 엄청난 힘을 가질거라고 생각합니다. 광고와 마케팅과 브랜딩과 홍보를 따로 힘을 들이지 않고 제품 속에 이야기를 집어놓고 바이럴 요소들을 감성적, 테크니크적으로 설계해서 바이러스처럼 번지게 하는..3 steps다음과 같이 스텝별로 접근(1>2>3)을 하시라고 조언 주셨습니다. 스텝 1에서 이메일과 전화번호를 최대한 많이 모으라고 주문하셨고 언론사에 직접 전화해서 기자를 소개시켜달라는 것이 효율적인 것 같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메일만으로는 효율이 없을 거다고 하셨죠.이미나 이사님 같은 경우에는 네이버 / 액셀을 열고 자기 카테고리에서 가장 잘하는 회사를 찾고그 회사의 기사 신문/기자 쭉 찾아서 리스트업 하셨다고 하네요.지속적인 홍보 루프를 만드려면 대표가 처음에 만나는게 제일 좋다고 하셨습니다.만나면서 '관계'가 시작되는 것인데 만나서 우리를 잘 설명하고 그 뒤를 기약할 수 있는 무엇인가를 만들어야 된다고 하셨습니다.이제 토크를 정리하시면서 홍보담당은 조직의 마이크예요. 들고 읽을 스크립트는 우리 모두에게서 나와요.하셨구요. 어떤 사람이 홍보 담당을 하기에 적절한가?에 대한 질문은읽고 쓰는데 훈련이 되어 있는 사람. 신문을 읽는 걸 좋아하는 사람. 예민하고 섬세한 사람. 사람들 많이 만나다야되니 친절한 사람. 창업자와 잘 맞을 것 같은 사람. 이라고 답변해주셨습니다.이제 한국경제신문 임원기 기자님 토크입니다. 기자님이 몇 가지 사례에서 이 토크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다고 하십니다.1)현대 스튜디어 블랙에 있다가 우연히 스타트업 창업가들이 "어떻게 하면 신문 기사를 낼 수 있을까?" 에 대해서 얘기를 하고 있는데 언론에 대해서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고 합니다.2)친했던 친구가 하나의 보도 자료 때문에 회사의 생존을 결정짓는 오도가 있었다고 했는데요. 여기에 대한 대응 기사를 썼어야 됬는데 그때 기자님이 친구분에게 질문했던 것은 "이런 걸 믿고 말할 수 있는 기자가 누가있냐?" 질문에 아무도 없다라고 말했다고 했답니다. 5년 동안 사업했는데 도대체 어떻게 언론 구축해온거냐 물어보니 그냥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보도자료 뿌리고 그런 관계였다고 하셨다며 창업자들이 언론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다고 하셨죠.그러면서언론사는 무엇인가?(보도할 만한 가치가 있는)사실을 찾아서 전달, 분석, 논평하는 기업.가치라는 기준은?1. 정보2. 문제 또는 주장3. 감동 또는 공감4. 풍성한 스토리5. 사회적 의미가 있는 이슈라고 말씀을 해주십니다.기자들은 소스를 어디서 구할까?1. 현장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장을 직접 가야되고 사람을 만난다. sns도 현장이다.)2. 다른 뉴스3. 책이나 보고서4. 전화나 메일, 메신저 등5. 소문> 이런 것들을 통해 제일 먼저 확인하는 것은 '사실' > 그리고 이게 보도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를 따진다고 하십니다.소개/이메일/전화/메신저/네트워킹파티 이렇게 만나게 된다고 하시구요.누구를 만날까보다 < 무엇이 기사가 될까? 에 더 집중하신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기사의 조건에는 다음과 같이 요소들을 보게 되구요.1. 시장성2. 비전3. 히스토리 4. 창업동기5. 숫자기자들이 창업자를 만날 때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이 사람이 '사기꾼'일까? 라고 합니다.  그래서 제일 많이 보는게 authenticity (uncover your true self) 진정성이라고 하셨구요. 만남에서 이런 진정성을 검증(?)을 하기 위해선 여러가지 질문을 던져야 되고 이것이 기자가 꼼꼼하게 여러 질문들을 하는 경우가 생기죠. 그러면 불편해하는 창업자들도 있다고 하네요. 나는 회사를 얘기하러 왔는데 왜 이렇게 다른 것들을 묻느냐는 식입니다.제일 많이 받는 질문들은?1. 자료를 냈는데 왜 기사가 안 나오지?2. 인터뷰를 했는데 왜 기사가 안 나오지?3. 기자를 만났는데 왜 기사가 안 나오지?4. 홍보 담당자가 있는데 기사가 안나가지?질문을 바꿔보시라고 합니다. 기사를 어떻게 낼 수 있을까? how ? (x) >>>>>> why & what 그러면 기자들이 찾아올 것이라고 합니다. 왜 기자들이 이런 기사를 써야되는지 그것을 고민하고 그걸 통해서 어떤 효과/영향력이 있는지 체크해서 그 뚜렷한 why,what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십니다.언론사에 그냥 직접 전화하시면 왠만하면 잘 연결시켜준다고 하시네요. 이미나 이사님도 되게 이렇게 많이 하셨다고 하구요. 토크는 여기서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다음은 질문이 오갔던 것들 중에서 중요한 부분들을 요약하는 것으로 포스팅을 끝내겠습니다.이미나 이사님-기사 효과 측정과 필요성> 측정 & 퍼포먼스 체크가 필요하다. 꼬날의 뉴스도 그런 차원에 시도였다. BIT.LY를 통해 성과들을 측정/개선을 하고 근데 보통 정성적인 느낌으로 많이 이런 효과들이 체감되기는 한다.-피칭 메일 어떻게?50명 정도는 개인적인 얘기를 담아 다르게 따로 다 보낸다. 그리고 큰 토픽을 먼저 훑어주고 우리 서비스를 집어넣는게 더 효율적이다.-스토리텔링사실 렌딧은 P2P로 대부업이다. 그렇기 때문에 창업자가 누구고 어떤 스토리를 가지고 있고 어떤 가치관으로 어떤 생각으로 이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어필이 될 필요가 있다.-기자들의 커스터마이징기자들마다 선호하는 커뮤니케이션 채널,토픽들이 다 달라 리스트업을 해서 커스터마이징 할 필요가 있다.임원기 기자님-기사 배포에 대한 오류스타트업은 보도 자료가 나올거라고 그냥 아예 생각하지말고 그게 쌓이면서 기자가 찾아가는 거라고 생각하는게 더 좋을 것 같다. 기자도 메일 보긴 본다. 몇백만명 사용자, 몇십만 다운로드. 그러나 그런 스타트업의 성장이 지속적이고 쌓이게 되면 알아서 찾아가는 거다.-기사가 나가고 난 뒤에 정정 요청기사가 나갔는데 막상 생각했던 것과 다르거나 수정이 필요할 때는 수정이 되어야 하는 '이유'를 기자들에게 잘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자들의 보도 윤리라는 것이 있다. 만약에 어떤 회사가 팩트적으로 파산할 위기에 있어도 그 회사에 파산 내용을 보도하면 안된다. 더 빨리 파산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런 관련된 맥락으로 기사가 실제로 배포됬을 때 왜 그것이 다시 수정해야되는지에 대해서 클리어하게 소통해준다면 기자도 들어줄 것이다.-대표와 홍보 담당자는 둘이면서 한 몸인 것큰 조직일수록 특징이 홍보의 수장이 사장과 직속이다. 가장 친밀하다. 보고 체계도 없다.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것은 기업의 관계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정부의 관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이 된다.정리하며..PR과 언론의 성격에 대해서 많이 생각해볼 수 있는 토크 강연이였습니다. 스스로 이 토크를 요약해본다면 다음과 같을 것 같습니다.1. 진정성있게 사업을 시작하고 운영하자. 진실하면 알아서 찾아올 것이다.2. 모든 관계는 결국 참여감을 통해 효율이 높아지고 효과가 누적된다.3. 채용은 팀원이 필요할 때 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해야되는 것처럼 PR(관계 구축) 또한 매일 하는 여정에 있다.#페오펫 #peopet #스타트업 #마케터 #마케팅 #인사이트 #경험공유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