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홈

인터뷰

피드

뉴스

조회수 1820

잔디 ‘이모티콘’의 아버지, 디자이너 David과 함께 하는 맛있는 인터뷰

잔디 이모티콘 디자인하면 빼놓을 수 없는 디자이너BX디자인팀 David을 만나다 반갑다, 데이비드 초이. 오늘 우리가 온 맛집은 어떤 곳인가? 꽤 유명한 집인 것 같다David: 반갑다. 맛있는 인터뷰를 평소 즐겨봤는데 나도 꼭 해봤으면 싶었다. 깊은 감사를 표하고 싶어 평소 즐겨 찾는 ‘역삼역 맛집’으로 왔다. 잔디 사무실 건너편에 있는 이곳의 이름은 ‘호타루’다. 일식 전문점으로 늘 먹어도 질리지 않는다. 명성이 자자해서 그런지 점심시간에는 조금 일찍 나와야 먹을 수 있다. 잔디는 어떻게 지원했나?David: 대학에서 시각 디자인과 애니메이션을 복수 전공했다. 자연스레 졸업 후, 디자인 회사나 애니메이션 회사 지원을 생각하던 중 두 분야 업무를 모두 할 수 있는 곳은 없을까 고민하게 되었다. 그러던 중 잔디 BX(Brand Experience)팀의 채용 공고를 보았다. 메신저 형태의 업무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이기 때문에 이모티콘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 업무를 해볼 기회가 있을 거라 생각해 지원했다.▲ 캐나다 곰들이 연어를 즐겨 먹는 이유를 알 것 같다.여담이지만 디자이너라 그런지 디테일을 많이 본다. 잔디의 채용 공고 포스터는 다른 회사보다 더 정성을 다한 우주의 기운이 느껴져 지원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우주의 기운을 담아 잔디에서 맡은 역할을 소개해달라David: BX 팀에 소속되어 온라인 광고, 일러스트레이션, 이모티콘 등 다양한 크리에이티브 작업을 하고 있다. 최근 이모티콘 작업을 하고 있는데 이전에 발표했던 Day and Emily 세트에 이어 신규 이모티콘 세트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 자리를 빌려 잔디 블로그 독자들에게 처음 공개한다. 오! 그렇지 않아도 Daivd이 작업한 이모티콘이 인기가 많다. 새로 나오는 이모티콘에 대한 설명을 부탁한다David: Day and Emily 이모티콘은 ‘캐릭터를 만들어야지!’라는 일념으로 제작되었다면 새로 나오는 이모티콘은 업무 커뮤니케이션에서 적절하게 쓸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하겠다는 생각으로 만들었다. 물론, 잔디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부합한 이모티콘을 만들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최근 카카오 프렌즈나 라인 프렌즈 등을 보면 캐릭터 사업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주요 전략으로 자리 잡은 것 같다. 전공자가 보기에 어떻게 캐릭터/이모티콘이 브랜드 연상까지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하다David: 음. 잔디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싶다. 우리 브랜드의 에센스는 ‘Lively Collaboration Enhancer’이다. 풀어보면 ‘Lively=유쾌한’, ‘Collaboration=팀워크’, ‘Enhance=개선하다’ 인데, 각 단어에 담긴 의미와 연관 키워드를 도출하고 모으면 MBTI로 하나의 인격체를 설정할 수 있다.▲ 곧 출시 예정인 잔디 신상 이모티콘 (메이드 바이 데이비드 초이)잔디 브랜드 에센스에서 추출할 수 있는 의미와 키워드를 조합하면 유쾌하고 친화력 있는 미래지향적 성향이 나오는데, MBTI에서는 ESTP(모험을 즐기는 사업가)와 매칭된다. 원피스 루피 같은 캐릭터라고 보면 이해가 쉬울지 모르겠다. 아무튼 이런 성향을 캐릭터/이모티콘에 녹아냄으로써 우리 브랜드가 갖고 있는 성격, 방향을 시각적으로 담아내 유저와 소통할 수 있다. 어릴 적 내 자아붕괴에 일조하던 MBTI가 캐릭터에 이용되다니 참신하다. 다른 질문을 하고 싶다. 좋은 이모티콘이란 무엇이라 생각하는지?David: 좋은 이모티콘. 어려운 질문이다. 개인적인 생각이나 이모티콘은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에서 그들이 원하는 적절한 감정 표현을 제공하고, 대화를 풍성하게 만들어야 한다. 잔디 이모티콘도 제작 초기 단계부터 사람들이 직장 내에서 표현하고픈 감정을 리서치했었다. 또한 잔디 유저를 대상으로 ‘감정표현 공모 이벤트’를 통해 참신한 아이디어도 얻고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는데 주력했었다. 이모티콘 말고 다른 이야기를 해보자. 이전 맛있는 인터뷰이였던 Harry가 남긴 질문이 있다. 잔디 멤버 중 남들 몰래 연애를 잘할 것 같은 사람은?David: 세일즈 팀의 Scott. 무언가 치밀하고 완벽주의자 같아 사내 연애를 해도 몰래 스르륵 잘할 것 같다. 스르륵.. 쉬는 날엔 무엇을 하는지?David: 이것저것 하는 편이다. 집에서 독서하거나 맛집, 전시회, 여행 다니는 걸 좋아한다. 피규어나 팬시용품에 관심이 많아 홍대 상상마당이나 오브젝트도 자주 가는 편이다. 그리고 힙합 음악 듣는 걸 좋아한다. 앞으로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David: 이모티콘을 더 집중해 연구해보고 싶다. 메시지 커뮤니케이션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해 왔듯 이모티콘도 함께 변화해 왔다고 본다. 따라서 이모티콘 분야는 앞으로도 많은 변화가 있을 거라 생각한다. 개인적인 목표라면 실제로 만나 대화하는 것 이상으로 풍부하고 다양한 감정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이모티콘을 만들어 보고 싶다. 마지막 질문이다. 다음 맛있는 인터뷰 대상자에게 하고 싶은 질문이 있다면?David: 예상컨대 다음 인터뷰이 분은 회사에서 어마무시한 존재감을 갖고 있는 분이 될 것 같다. 그분에게 어울릴만한 질문을 하고 싶다. ‘전생에 공주 또는 왕자였을 것 같은 사람은?’ ..고맙다.. 엄청난 질문이다 David: ^^#토스랩 #잔디 #JANDI #디자인 #디자이너 #디자인팀 #팀원 #팀원소개 #팀원인터뷰 #인터뷰 #조직문화 #기업문화 #회사문화 #사내문화
조회수 3445

스포카 한 산스 웹폰트로 사용하기

스포카 비주얼 디자인팀은 스포카 한 산스를 판올림한 두 번째 버전을 배포했습니다. 스포카 한 산스2.0에 관한 몇 가지 단편적 사실들 포스트에 이어 이 글에서는 스포카 한 산스를 웹페이지에 사용하고자 “커스텀”한 부분을 소개하고 스포카 한 산스 웹폰트 사용시 권장하는 방법을 알립니다.웹페이지에서 사용할 때를 고려한 변경사항먼저, 웹페이지 사용을 염두한 변경사항에 대해 소개합니다. 스포카 한 산스는 웹폰트로 많이 사용하기에, 웹에서 UI와 함께 쓰이는 상황을 필수로 고려했습니다. 스포카 한 산스2.0에 관한 몇 가지 단편적 사실들에 자세한 디자인 변경사항에 대해서 소개했는데, 해당 포스트에서 소개하지 않은 변경사항을 적어봅니다.1. “더보기”나 “뒤로” 레이블과 함께 쓰는 화살표 아이콘을 폰트 파일에 추가했습니다.고대 문자 등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는 특수한 글리프 공간에 임의로 다른 글리프를 넣을 수 있습니다. 이를 Private Use Areas, 줄여서 PUA라고 부릅니다.버전2에는 이 PUA에 “더보기”나 “뒤로” 레이블과 함께 쓰는 화살표(Caret) 글리프를 넣었습니다.왼쪽, 오른쪽 화살표를 각각 U+E000, U+E001에 할당했습니다. UI를 구현하면서 보통 화살표 아이콘을 이미지나 SVG를 만들어 CSS로 처리하곤 하지만, PUA에 넣으면 마치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처럼 아이콘을 넣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작업품이 덜 들고 경제적입니다.폰트는 UI 요소로써 쓰입니다. 당연하게도 UI 요소인 폰트 완성도를 높이면 UI의 정교함도 올라갑니다. 어떤 웹 페이지에서는 종종 오른쪽 부등호(>) 글리프를 넣어 이 아이콘을 대신합니다. 하지만 이 방식을 사용하면 해당 글리프의 표준 의미와도 일치하지 않고, 디자인 완성도가 약간 떨어집니다. 부등호 글리프 모양들은 수학기호 표기를 위해 만들어졌기에 아이콘 형태와는 거리가 멀기 때문입니다.이 방식이 편리하고 경제적이라면, 모든 모양 아이콘도 다 폰트에 넣으면 좋으리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형태가 조금 복잡한 아이콘을 폰트에 넣고 힌팅 정보를 따로 입력하지 않으면1작은 글자 크기에서 모양이 일그러집니다. 아이콘을 어느 크기이든 명료하게 보여주려면, 폰트 힌팅까지 전부 고려해야 합니다. 모든 아이콘을 PUA에 추가하는 방식은 효과에 견줘 공수가 너무 많이 든다고 판단해 화살표 글리프만 PUA에 추가했습니다.이 왼쪽, 오른쪽 화살표 모양은 폰트 굵기별로 다른 굵기를 지정했습니다. 얇은 스타일에서는 얇게, 두꺼운 스타일에서는 굵게 보여줍니다.사용방법은 간단합니다. HTML 문자 엔티티를 마크업 코드에 넣는 방법대로 왼쪽 화살표는 , 오른쪽 화살표는 <을 HTML문서에 작성합니다./* 왼쪽 화살표 */ < 뒤로 가기 /* 왼쪽 화살표 */ 더 알아보기 > 위 코드를 스포카 한 산스를 불러오는 웹페이지의 HTML파일에 적어 넣으면 아래처럼 보입니다.< 뒤로 가기더 알아보기 >2. 서브셋에는 한글 완성형 글꼴에 추가 글자 224자를 더했습니다.스포카 한 산스를 배포하고나서 부족한 글자에 대한 제보가 꾸준히 들어왔습니다. 한글 완성형 2,350자는 1987년 규격화된 표준입니다. 굉장히 오래전에 지정된 표준이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글자가 없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우리는 사용성을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지 고민하다가 노민지, 윤민구 님이 작성하신 논문인 “KS 코드 완성형 한글의 추가 글자 제안”을 발견했습니다. 스포카 한 산스 두 번째 버전 서브셋은 이 논문의 제안 안을 따라 KS 완성형에 추가 글자 224자를 더해 총 2,574자를 제공합니다.3. 서브셋 폰트 파일을 만드는 스크립트를 제작했습니다.서브셋 폰트 파일을 만드는 스크립트가 저장소에 반영되었습니다.2 이후 오리지널 파일을 수정하더라도 쉽게 서브셋 폰트 파일로 만들 수 있습니다.서브셋 폰트 파일을 만드는 스크립트 build_subset 파일의 작동 방식을 간단히 소개합니다.이 스크립트는 subset 폴더 내에 위치한 glyphs.txt를 읽어서 서브셋을 만듭니다.한글 폰트의 경우 glyphs.txt 파일에는 완성형 2,350자와 위에 언급한 추가글자 224자, 그리고 각종 필수 약물이 적혀있습니다.U+2603(눈사람 기호), U+E000과 U+E001(왼쪽, 오른쪽 화살표) 글리프는 스크립트에 하드코딩 했습니다. PUA를 더할 때는 스크립트를 직접 수정합니다.용량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힌팅 정보, 이름 등의 메타정보를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옵션을 설정했습니다.이전에 스포카 한 산스와 글꼴 경량화 포스트에서는 GUI로 경량화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작업을 해보니 커멘드라인으로 스크립트를 돌리는 것에 익숙하다면 이쪽이 훨씬 간편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3 또한, 커멘드라인 툴에 익숙하지 않은 디자이너라도, 프로그래머 도움을 아주 조금만 받으면 쉽게 서브셋 폰트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혹시 스포카 한 산스를 일부만 서브셋으로 만들고 싶다거나 다른 폰트를 서브셋으로 만들기 원한다면 위 스크립트를 활용해보세요.스포카 한 산스 웹폰트 사용 가이드라인다음으로, 스포카 한 산스를 웹폰트로 사용할 때 권장하는 두가지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1. 스포카 한 산스 서브셋 파일을 직접 CDN에 올려서 사용하세요.스포카 한 산스 공식 웹페이지에서 설명한 웹폰트 사용법대로 쓰시면 폰트를 불러오는 속도가 다소 느립니다. Rawgit이라는 무료 CDN을 사용했기 때문인데요, 무료로 파일을 불러오는 대신 조금 느립니다. 내부에서 테스트해 본 결과 폰트를 불러오는 시간이 짧게는 2초에서 길게는 20초 이상 걸리기도 했습니다.이런 불편한 점을 해결하려면 회사의 경우는 자사의 CDN에 파일을 올려서 서브하는 방식을 추천합니다. 어떤 CDN은 비용을 내야하는 경우가 있겠지만 일단 속도가 무척 빨라지기 때문에 웹 페이지의 성능이 좋아집니다. 참고로, Cloudflare에는 개인이 이용할 수 있는 무료 플랜도 있습니다.2. 웹페이지에서 폰트 로딩이 되기 전까지 아무것도 안 뜨는 현상을 해결하세요.웹페이지에서 글자가 아무것도 뜨지 않는 현상은 한국어 웹페이지를 접속하는 모든 사람이 한 번쯤 겪어보았을 것입니다. 이 현상은 한글 웹폰트를 불러올 때 흔하게 일어납니다. 이는 한글 웹폰트 용량이 영문 웹폰트에 비해 아주 무겁기 때문인데요. 이러한 현상을 FOIT(Flash of Invisible Text)라고 부릅니다.해외에서 웹폰트를 사용한 한국 웹페이지에 접속한다거나, 무척 느린 인터넷 환경에서 용량이 큰 한글 웹폰트를 불러올 때 이 현상은 빈번하게 목격됩니다. 스포카 한 산스를 사용한 웹페이지에서도 FOIT 현상이 자주 나타났습니다. 최근에 Woff2 파일을 가장 먼저 불러오도록 CSS의 @font-face 방식을 바꾸는 Pull Request가 저장소에 반영되고 나니 폰트 로딩 속도가 월등하게 개선되었습니다. 로딩 속도와 FOIT 발생빈도는 반비례합니다.아까 언급했다시피 각자의 CDN에 올려 폰트 로딩 속도를 빠르게 변경하면 이 현상을 피할수 있습니다만, 확실하게 하기위해서는 폰트를 불러오는 동안에 다른 폰트를 보여주는 비동기 로딩 방식을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스포카 기술블로그에서는 FOIT를 방지하기 위해 웹폰트 로더, 그 중에서도 비동기 로딩 방식을 사용해서 FOIT를 방지합니다.4사용방법 안내는 아래 포스트를 소개하는 것으로 대신합니다. 폰트를 불러오는 동안 깜빡이는 현상에 관해 구체적인 내용을 읽고 싶거나, 폰트 로딩에 대해 더 알아보려면 한 번쯤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폰트 로딩 방식에 관해 자세히 정리한 글입니다.FOUT, FOIT, FOFT웹 폰트를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기법 - 캐시 안정성 증가, 글꼴 깜빡임 현상 제거나눔고딕 구글 웹폰트(Webfont) 사용하기마치며스포카 한 산스를 공식 배포하고 1년이 조금 넘었습니다. 그간 분에 넘치는 관심과 성원에 감사합니다. 그동안 우리팀에서 작성한 스포카 한 산스 관련 웹페이지를 첨부하며 이 글을 마칩니다.스포카 한 산스 공식 웹페이지스포카 한 산스 2.0에 관한 몇 가지 단편적 사실들스포카 한 산스와 글꼴 경량화폰트 힌팅은 말 그대로 힌트를 말합니다. 외곽선을 렌더링 할때 필요한 추가 정보인데요, 이 정보가 부족하면 작은 글자 크기나 해상도에서 깨져 보일 수 있습니다. FreeType 라이브러리의 힌팅과 커닝 항목도 참고해보세요. ↩이 스크립트는 스포카 제품팀 팀장인 김재석 님이 작업해주셨습니다. ↩개인 사이드프로젝트인 한글 웹폰트 글꼴보기집을 만들 때는 Fonttools 같은 도구를 살펴보았습니다. ↩스포카 기술블로그에는 default.html의 헤더에 해당 스크립트를 넣었습니다. ↩#스포카 #디자인 #디자이너 #폰트 #인사이트 #경험공유 #후기 #일지
조회수 1396

나는 자격이 있는가

별거 아닌 걸로 자격 운운하는 것이 우스운 일이겠지.스타트 업하는데 무슨 자격 따위가 있겠냐마는...창업의 나락(?)에서 기어올라오려면뭔가 준비해 놓고 떨어져야 하지 않을까?냉철하게 한 번 씹어보자고.자격이라는 말은 좀 자극적인가 싶다.하지만 조금은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 길이라서마음에는 안 들지만, 자격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나 홀로 하다가 망하는 거면,굳이 이런 이야기가 해당되지 않는다.그러나, 스타트업은 조금 이제 막 굴러간다 싶을 때,돌아보면,나 혼자가 아니라 여럿이 얽혀있는공동체 운명이 되어있기에기본적인 것은 염두에 두고,각오를 단디 해야 한다.잃을 것이 없을 때는 두려움이 없다.이것도 해보고, 저것도 해보고...투입한 자금도 그다지 많지 않고,나 혼자 처리 가능한 업무들과공간도 무상으로 이용하다 보면,창업이란 게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구나라는착각에 빠져들게 된다.친구들이 삼삼오오 모였을 때,아직 월급이란 제도가 생기지 않았을 때,우리끼리 떠들고,우리끼리 고민하고,우리끼리 스케줄을 정할 때는리스크라는 것에 실감하지 못한다.그러다가...부담스러운 비용이 투입될 때가 발생한다.다들 식대와 차비를 자체적으로 부담하기 어려워진다.외주 또는 협력업체에 지불해야 할 비용이 청구되고,우리끼리는 도저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우리끼리는 아이디어가 좋다고 생각했는데전문가들에게 물어보니 기술적으로 예상치 못한 난관이 있다.고객들에게 물어보니 별로 필요성을 못 느낀다.어디서부터 잘못됐나이제 우린 무얼 해야 하나이제 우린 어디로 가나?1. 자금을 쉽게 구할 수 있을 거라 맹신하지 마라.개발기간을 얼추 산정해보니한 두 달 만에 해결될 일이 아니다.어디에 물어보려고 해도 아는 사람이 없다.누굴 데리고 오려해도 이미 주니어급 이상의경력자들은 눈 씻고 찾아봐도 없다.더 솔직하게 말하면,데리고 올 돈이 없다.돈만 있으면 다 해결될 것 같지?은행에 가보고 얼마나 대출이 가능한지 알아보고 와봐.기술보증기금이나 신용보증기금 가서보증한도가 얼마나 나오는지 상담해보고 와봐.중소기업 진흥공단에서 나오는 저금리 융자는신청하면 다 줄 것 같지?정부지원금이라는 것이 몇 번 사업계획서 관련 강의 듣고,문서로 긁적긁적 이면 짜잔~ 하고 나올 것 같지?투자라는 것은 더 어려워.IR(investment Relationship)이라고 불리는투자설명회는 쉽게 할 수 있을까?그것도 경쟁하고, 선별되어서 간신히 자리에 오르는 거야.그래!그 자리에 올라가서 멋들어지게 사업을 소개하고발표를 끝냈다고 치자."이 아이디어 대박 날 것 같아요. 내가 투자할게요""언빌리버블~! 얼마 필요해! 우리가 찜할게"영화를 너무 많이 본건 아닌지 생각해봐.그런 일은 없어.적어도 그 자리에서 투자가 결정 나거나개런티 해주는 일은 없단 말이야.가뭄에 콩 나듯 3개월(이것도 사실 매우 드문 케이스고),빠르면 5개월(이것은 꽤 준비가 잘 된 케이스고),보통은 7개월 정도 서로 조율하고, 수정하고, 협상하면서진행되는 게 투자야.이것도 투자에 관심이 있어서 후속 미팅(following)이 이어지는 경우고,일반적으로는 단발성으로 끝나는 경우가 더 많아.투자자나 심사역인 분들 명함 좀 모아 왔다고 안도의 한 숨을 쉬는 바보짓은 하지 마.하루에도 그런 명함은 수십 장씩 뿌리 고다녀.네가 받은 그 명함은 그중 하나 일 뿐이고,내일이면 기억에서 가물가물해질 거야.아니,어쩌면 오늘 저녁을 먹다가잊어버릴 수도 있어.2. 시간은 그래도 흘러간다.돈만 그런 것 같아?시간도 그래.예상했던 시제품/베타 서비스는항상 시간을 어기는 법이지.(내가 보는 내 제품과 고객이 보는 내 제품의 간격은 크거든)고쳐야 할 것이 개발과정이 진행될수록늘어나거든.그리고 그 난이도는 더 높아지고,비용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재미있는 것은 창업하고 나면,이상하게 공휴일이 많다고 느껴진다.징검다리 연휴, 긴 명절, 심지어 선거로 인한 임시공휴일까지...직장 다니거나 학생일 때 그렇게 환호하던 휴일이창업하면 몰려서 오는 것 같단 말이야.그리고 그렇게 해서 발생하는 시간의 딜레이는누구에게 하소연할 수도 없어.그리고 미팅을 예로 들까?미팅을 시간 정해서 진행해야 돼.안 그러면 기약 없이 늘어지게 되고,쓸데없는 말이 더 많아져.미팅에 목적을 확실하게 안 정해 놓으면,돌아가는 길에 깨닫게 될 거야.의미 없는 미팅이었고 시간 낭비였다는 걸.그렇다고 시간이 딜레이 되는 걸 당연하다고 생각하면 안 돼.그 차이를 줄이려고 노력하고, 가급적이면 시간의 한계점은 꼭 지키려고 해야 되지.문제는 나도 계속 이 부분에 대하여 잔소리 듣고,나름대로 신경 쓴다고 하는데도딱 맞추기 쉽지 않다는 거야.그럴수록 더욱더 신경 써야 하는 끊임없는 숙제랄까?3. 시작보다 중요한 것!어떤 회사가 성공할 것 같아요?아이디어가 신박한 회사?팀 빌딩이 환상적인 회사?투자를 받은 회사?고리타분하게도...나는 관리가 잘 되는 회사가 성공할 거라 생각해.처음 무언가 일으키는 것은 사실 어렵지 않아.창업보다 수성이 더 어렵고,뜻을 세우는 것보다 뜻을 지켜가는 게 어려운 거야.새해만 되면 우리는 다짐을 하잖아.근데 그것을 지켜나가고 수행하는 것이 더 어렵잖아.창업자가 일만 벌여놓으면그 회사는 결과가 없어.완성하고, 이어나갈 역량이 안되면,그럴 수 있는 동료를 영입해야 해.정말 힘든 거야.재무관리, 인사관리, 연구관리, 생산관리...뒤에서 받쳐주지 않으면, 회사가 지탱하지 못해.그래서 회사에는 안사람이 필요해.대표가 바깥을 헤집고 다녀도,동료들이 안에서 기본기를 단단하게 다지고 있어야그 성과들로 대표는 다시 밖으로 나돌 수 있어.인프라도 마찬가지야.명함 받고, 인사 나누고, 미팅 한 번 하기는 쉬워.그 인연을 계속 이어가면서사업적으로 서로 교류가 지속되도록관리하는 것이 절대 쉬운 일이 아니야.하물려, 전시회에서 잠시 잠깐 만난 바이어들에게후속 메일 보내고, 가끔씩 메일 보내는 것도해를 거듭할수록 많은 업무량이 되거든.창업한 후, 특히나 최근에 나는 강하게 느껴.고맙기도 하고, 미안하기도 하고...관리적인 측면에서 나는 참 부족한 사람이거든.4. 돈을 잘 쓰는 사람인가?돈을 막 쓰는 사람이랑은 달라.제대로, 적재적소에 사용하고,그 이상의 가치를 만들 수 있느냐야.대표가 되면,다른 팀원들보다 비용 지출이 커져.외근도 잦고, 미팅이 많아지거든.주말에도 일하다 보니 기본적인 비용이 더 들지.그리고 해외도 몇 번씩 돌아다니게 되면서생각 외로 비용이 들어가.나처럼 용돈을 받아 생활하는 가장의 경우에는특히나 빈궁하게 살게 되거든.회사 자금을 끌어오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알기에쉽사리 법인카드를 긁기 힘들어져.일단은 개인적으로 소모되는불필요한 소비를 줄여야 해.그리고 회사 돈은적어도 생산성 있는 소비에는 지출이 필요해.대표들은 생산비용에는 관대한 경향이 있어.그나마 연구비 정도까지 관대한 분은 더 적지.마케팅 비용?무료로 마케팅할 수 있다는 말에 환호하지.더러 그런 케이스가 있지만,우리는 마케팅 비용에 대하여 개념을 정리할 필요가 있어.사실 제일 두리뭉실한 비용이라...선뜻 지출을 결정하기 쉽지 않지.그런데 제품/서비스는 알려져야 구매가 일어나.마케팅에 비용을 안 쓰면 어떻게 알릴 거야?마케팅의 콘텐츠는 대중들에게 소비되는 거야.그 소비가 제품을 알리고, 브랜드를 알리고,우리를 알리고, 판매로 이어질 거야.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쌓이고, 조금씩 퍼져나가다 보면 말이야.그렇다고 무작정 쏟아붓지는 말자고.잘 쓰는 것이 중요한 거지막 쓰는 것과는 다른 거니까.5. 사과할 줄 아는 사람인가?대표는 미안하다고 말하면 안 된다고 컨설팅해 준 분이 있어.내 귀가 막혔는지 여전히 공감은 못 해.잘못한 것이 있으면 사과해야 한다는 게 내 지론이거든.일견 사과를 하지 말라는 속뜻은 알겠어.대표가 사과를 자주 하면, 미안한 마음에 다른 보상을 상대방에게 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경계겠지.하지만 그렇기에 더욱 사과하는 게 맞다고 봐.사과는 하되,협상과는 별개라고.잘못에 대한 사과와사과의 의미로 협상을 상대방에게숙이고 들어가는 것을 혼동하면 안 돼.공(公)과 사(私)를 구분하라고들 하잖아.대표가 신이 아닌 이상사과할 일이 있으면 사과해야지.그게 대표의 리더십에 상처가 된다고 생각하면 그게 더 이상한 거야.회사의 대표니까 쉽게 사과하면 안 된다가 아니라회사의 대표니까사과할 때는 사과해야 된다가 맞지 않을까?코딱지만 한 스타트업에서목까지 굳어버린 대표를어느 누가 좋아하겠어?작은 스타트업의 강점은신속함과 유연함이라고 하는데...잘못을 빨리 인정하고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해나가는 것! 그게 신속함과 유연함이야.나는 정말 허물이 많은 사람이야.덜렁덜렁거리고, 세심하지 못한 사람이야.지금 나열한 대표로서 자질들이사실은 나에게 많이 부족한 능력들을나열한 거야.그래.내 이야기야.그러고 보면,이런 자질이 의심되는 사람인데용하게 스타트업을 하고 있지.그래서 많이 돌고 돌아,시행착오가 빈번하지.주위에 내 뒤치다꺼리한다고피곤해하는 사람들이 한 둘이 아니야.그러니까 너는 그러지 말라고.이 글을 쓰고 있고,또 몇 번을 다시 읽는 너는 앞으로더 발전하고,더 성숙하고,더 고쳐지라고...공개적으로 부끄러워하고,공개적으로 인정하고,공개적으로 사과하고...공개적으로 앞으로더 나아지는 사람이 되겠다고선언하라고 이 글을 쓰는 거야.너는 애당초 스타트업 대표로서자격이 없는 사람인데...널 이끌어주는 사람들에게늘 감사하고, 고마워하며 살아가라고.내가 나에게 보내는 멘토링을자주 꺼내보면서 마음에 깊이 새기도록 해.#클린그린 #스타트업 #창업자 #창업가 #마인드셋 #조언
조회수 1242

전문가만 아는 페이스북 광고디자인 제작법 TOP 5

페이스북 광고를 하는 것은 쉽지만 잘 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리고 매일매일 더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더 많은 광고주들이 페이스북 광고의 잠재력을 깨닫고 뛰어들면서 경쟁이 더 치열해져 광고가 금방 돈 낭비로 바뀔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으로 많은 광고를 해봤지만 아직도 제가 만든 새로운 캠페인들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그러나 결국, 페이스북 광고의 성공은 두 가지 중요한 요소로 정의됩니다. 1. 제품에 대한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관심을 끌어 모을 수 있는 훌륭한 디자인 2. 리타겟팅(특정 웹사이트 내에 행동을 보인 유저들에게 다시 광고를 노출 시키는 것) 사용자들을 설득시켜 여러분의 비즈니스에서 전환을 이루어낼 훌륭한 페이스북 광고 디자인을 만드는 효과적인 방법론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항상 다양한 디자인을 테스트해라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그 어떤 가설도 지레짐작하지 마세요. 항상 모든 항목을 테스트하세요. 여러분의 기존 페이스북에 대한 지식이나 경력에 관계없이, 항상 광고의 디자인과 대상을 모두 테스트하세요. 새로운 캠페인을 만들 때마다, 적어도 4개 이상의 다른 페이스북 광고 디자인을 생각해 내고 각각의 광고를 테스트해보세요. 예를 들어 서로 두 개의 다른 텍스트를 가지고 두 개의 다른 이미지를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이미지 2개 x텍스트 2개=4개의 베리에이션)AdEspresso라는 기업은 일러스트레이션을 자주 사용합니다. AdEspresso 페이스북 페이지에 있는 포스트들은 각각의 개성있는 디자인을 가지고 있고, 광고에도 잘 사용하고 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전략이 다소 빗나갔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당 비용: 1,816원                                             다운로드당 비용: 3,385원 위 자료를 보면, 사람이 들어간 사진 이미지 광고가 AdEspresso가 자주 사용하는 일러스트레이션 광고보다 거의 두 배나 더 효율이 좋았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모든 것을 시험해 보세요.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던 아이디어도 괜찮습니다.  텍스트와 이미지를 다양하게 베리에이션하여 광고 피로도를 줄이고 광고 효율을 감소시키는 게재 빈도를 줄여보세요.   2) 사용자 페르소나를 제작하라   대부분의 기업들은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고객세그먼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잠재고객 페르소나를 만들게 되면, 여러분의 페이스북 광고 디자인 역량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잠재고객들에게 전반적으로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먼저, 각 잠재 고객 유형별로 개인 정보를 기록합니다.  남자인지 여자인지, 하는 일은 무엇인지,  잠재 고객들이 여러분의 제품을 사용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인지.. 잠재고객 페르소나를 생성한 후에는 그들의 문제를 직접 해결해줄 수 있다는 내용의 페이스북 광고를 디자인하세요. 여기 두 가지 'Adespresso'광고가 있습니다. 하나는 스타트업들을 타겟으로 하고 다른 하나는 미디어 대행사를 대상으로 합니다. Startups는 최대한 빨리 성장하고자 하는 고객의 욕구를 강조합니다.  에이전시들은, 페이스북 광고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강조합니다. 3)고객 후기를 활용해라   소비자 구매 결정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요소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바로 '두려움' 입니다.사람들은 돈을 잃는 것과 잘못된 선택을 하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당신의 제품을 선뜻 사는 것을 두려워 할 것 입니다. 이것이 바로 무료 상품들이 효과적인 이유입니다. 하지만 돈에 관한 이야기에 국한되지는 않지요.  공짜 = 무위험 = 무부담 물론, 저는 여러분의 제품을 무료로 나눠 주어야 한다고 말하는게 아닙니다. 저는 단지 여러분이 페이스북 광고 디자인에 고객 후기를 추가함으로써 고객들의 우려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는 것입니다. 꼭 특정 좋은 리뷰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대규모 사용자 기반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Dropbox의 광고로 예를 들면, Dropbox는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광고에서 여전히 100,000개 이상의 기업이 Dropbox에 의존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특정 좋은 리뷰가 없더라도, 대규모의 통계적 수치로 자신들의 강점을 강조하는 것이지요. 사용자들이 이 광고를 보고 어떻게 반응할까요? 10만개의 기업들이 사용하고 있다니요! 모든 사람들과 그 주변사람들이 Dropbox를 사용하고 있다면, 거기에는 무슨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곧 그 제품은 좋은 제품임에 틀림없고, 이 많은 사람들의 선택이 모두 틀릴 일 없으니 제품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질 것 입니다. 4) 사용자들이 특정 행동을 유도할 만한 장치(CTA)를 사용해라 페이스북 광고에 특정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장치(CTA)를 추가하는 것은 클릭율을 높이거나 광고의 매력을 높이지 못할 수도 있지만 전반적인 전환 속도를 향상시키고 전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좋은 CTA는 광고마찰을 줄여 주기 때문입니다.  만약 사용자가 당신의 광고의 CTA를 클릭하고 당신의 랜딩 페이지에 도착한다면,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할지 생각하는 시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습니다.  사용자는 이미 랜딩페이지에 도착해서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알고 있을 것이고, 의도한 행동을 빠르게 수행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eBook다운로드하기', '상담신청하기'와 같은 CTA를 광고를 통해 유도하였기 때문입니다.   5) 일관성을 유지해라 CTA처럼 일관성은 마찰을 줄이고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완료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만약 누군가가 당신의 광고를 클릭한다면, 그것은 그들이 당신의 이미지와 메시지, 그리고 당신이 제공하는 것을 맘에 들었기 때문입니다. 클릭한 후에는 광고에서 본 것을 보강하는 랜딩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광고를 보강하는 랜딩 페이지에는 광고와 동일한 이미지와 표현을 사용하고, 단지 당신의 제품과 그들이 왜 그것을 사야 하는지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세요. 사람들은 웹 사이트를 몇 초 만에 보고 결정합니다. 바로 한 눈에 읽히지 않으면 사용자들을 잃게 될 것 입니다.  페이스북에서 빨간 운동화 광고를 보고 클릭했는데 랜딩페이지의 운동화 중 빨간 신발이 없다면 아마 사용자는 바로 떠나게 될 것 입니다.                             오피노 자세히 보러가기
조회수 792

육아도 경력이 될 수 있을까?

과거의 오늘을 보여주는 한 SNS에서 5년전 내가 쓴 글을 만나게 되었다. 5년전 나는 출산을 3개월 정도 앞둔 임산부였고, 아프리카에서 돌아와 간신히 얻은 일자리를 포기한 경력중지상태였다. 글에는 당시 내가 느낀 불안함과 무기력함이 가득 담겨 있었다. 어떻게 잊을 수 있을까. 나는 그때의 내 마음이 너무나 또렷하게 기억이 난다. 아이를 만나는 것은 기대되는 일이고 축복임이 분명했지만, 내 마음 한 구석에는 ‘나는 이제 끝났어’ 라는 절망감이 늘 공존했었다.그렇게 출산 후 아이를 기르다가, 처음으로 용기를 내어 지원한 서류가 통과하여 면접을 보러 가던 날도 기억이 난다. 오랜만에 입은 정장 바지는 지퍼가 도무지 올라가지 않았고, 결국 수습할 수 없는 삐죽삐죽 잔디머리를 한 채로 면접을 보러 갔었다. 붙고 안 붙고를 떠나 그것은 나의 투쟁이고 오기였다. 아직 나는 살아있다는 외침임과 동시에, 지금이 아니여도 좋으니 언제라도 다시 용기를 내기 위한 예방주사 같은 도전이었다. 하지만 면접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나는 우울했다. 출산 후 아이를 키우는 동안 내가 얼마나 사회와 동떨어지게 되었는지를 온몸으로 느꼈기 때문이었다. 나는 확실히 긴장했고 위축되어 있었다. 누가 묻지도 않았지만, ‘사실 나는 아이를 키우는 엄마예요’ 라고 이야기를 해야 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 후로 꽤 오랜 시간, 나는 내가 가진 모든 능력이 모두 사라져 버린 것 만 같다는 생각에 몹시 큰 불안을 느꼈다.사실 한 회사를 운영하는 대표로 살고 있는 지금도, 여전히 나는 위축되는 마음을 종종 느끼곤 한다. 아이에게 예기치 못한 변수가 생길 때, 엄마이기에 어쩔 수 없는 시간의 제약을 느낄 때, 저녁에는 아이를 돌보느라 전화를 받을 수 없을 때.. 사회생활을 어렵게 하는 순간을 마주할 때 마다, 다른 보통의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보다 항상 어딘가가 부족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그런데 우리는 정말 엄마가 되면서 모든 능력이 멈추거나 사라지게 된걸까?  곰곰히 생각해보면 그렇지 않다. 과거의 내 모습을 생각해보면 오히려 지금의 나는 여러모로 깊고 넓어져있음을 느끼게 된다. 엄마라는 역할이 개발시킨 능력이 참 많다.이전에는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을 수용하는 것이 참 힘들었지만 이제는 거의 다 견딜만하다는 생각이 든다. 아이의 울음소리 짜증소리 엄마미워 라는 그 땡깡을 하루에도 수십번 참아낼 만큼 인내력을 가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또 하루에도 수백번씩 무언가를 요구하는 아이를 키워내며 동시에 살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일을 처리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전의 나는 다른 사람의 감정에 이렇게 까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었지만, 이제는  내 감정을 처리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물론이고 아이에게 공감하고 민감해지려고 노력하게 되었다. 하기 싫으면 대충하거나 회피했던 내가 엄청난 책임감이 생겨, 아이 우는 소리에 벌떡벌떡 깨며, 졸린 눈을 비비며 아이를 돌보는 초능력도 갖게 되었다.그뿐인가? 아이를 키우며 어떤 어려운 일도 도망가지 않고 해결해보려고 노력하게 되었으며, 아이의 눈짓과 몸짓을 표정을 보며 왜 그렇게 하는지 눈치챌 만큼 엄청난 센스도 보유하게 되었다. 돌이켜 보면 엄마가 되기 전에는 도저히 할 수 없었던 많은 일들을 이제 나는 할 수 있게 되었다. 엄마로 살면서, 나는 이전보다 더 시간을 아끼며 집중하는 지혜를 갖게 되었다.그러고 보면, 엄마로 보낸 시간도 우리에겐 경력이다. 우리는 멈추지 않았고 사라지지 않았다. 아이를 돌보는 정신 없는 일상에서도 우리는 성장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었다. 확실히 우리는 이전의 우리가 아닌 것이다. 우리가 엄마로 살면서 갈고 닦은 많은 능력은 엄마로서 뿐 만 아니라 어느 곳에서 어떤 일이든 할 수 있을 만큼 유용한 것이다. 회사라는 조직과 업무에 적응할 수 있는 기회와 용기가 우리에게 주어진다면, 조금만 가정과 일을 함께 해나갈 수 있는 환경이 주어진다면, 우리는 엄마경력기간 동안 갈고 닦은 모습을 발휘하며 일할 수 있을 것이다.나는 이제 엄마를 경력으로 부르기로 다짐했다. 아직은 사회가 엄마와 경력을 같은 선 위에 두지 않지만, 그렇게 부르고자 하는 작은 노력들은 반드시 필요하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메시지를 만들어 가고자, 소셜벤처 몇 곳이 함께 엄마경력자인 여성들을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하려고 한다. 엄마라는 역할 안에 있는 나를 발견하게 하고 세상과 연결되는 과정을 만들어가며, 작지만 의미 있는 메시지를 사회에 전달해보고자 한다. 사소해 보이는 작은 움직임들이 모여, 엄마라는 역할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들이 모여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게 되길 기대해본다.#그로잉맘 #경단녀 #경력단절여성 #엄마도경력이다 #일하는엄마 #육아와일 #스타트업CEO #기업문화 #여성복지
조회수 931

크로키닷컴을 소개합니다 #6

크로키닷컴 6번째 인터뷰!오늘은 지그재그 앱 개발을 담당해주시는 앱 개발자 연미님, 하경님과 함께 현재 채용 중인 [안드로이드/iOS 개발자] 포지션 및 지그재그 앱에 관해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hapter 1. 저를 소개합니다!Q. 연미님, 하경님 안녕하세요! 이번 인터뷰이로 선정되신 소감과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하경 저는 입사하기 전에 저희 파트 형준님 인터뷰(3편)를 봤었는데 되게 인상 깊었거든요. 그래서 제가 면접을 볼 때도 그 얘기를 했던 게 엊그제 같은데.. 제가 어느새 인터뷰를 하고 있는 모습을 보니 신기하고 뿌듯하네요. (웃음)연미 저는 앱 개발뿐만 아니라 다른 포지션에 대해 도움이 되는 정보를 드릴 수 있게 돼서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초대해주셔서 감사해요!하경 저는 iOS 개발을 주로 하고 있는 김하경이라고 합니다. iOS를 하다가 최근에는 조그만 것들부터 안드로이드도 시도해보고 있어요. 이번에 저희 지그재그 결제 서비스인 Z결제 소속으로 들어가게 되었는데요, 커머스 앱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리뷰 서비스 개발을 맡게 되었어요. 한동안 굉장히 바쁘게 일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연미 저도 하경님과 같이 앱 개발을 하고 있는 손연미입니다. 저는 지그재그 서비스의 초반부터 안드로이드/iOS 개발을 모두 해왔는데, 요즘은 안드로이드 쪽에 좀 더 집중해서 하고 있어요. 이번에 저는 지그재그 서비스를 폭풍 성장시킬 그로쓰팀의 일원으로 들어가게 되었는데요, 유저의 사용성뿐만 아니라 또 다른 시야에서 서비스의 성장을 같이 일궈낼 예정입니다. (앗, 그러면 하경님이 입사 8개월 만에 연미님의 품을 벗어나게 된 건가요?)하경 네 맞아요. 저희가 이번에 처음으로 떨어지게 되었는데 약간은 두렵네요.연미 혹시 괴롭히는 사람 있으면 말하세요. 제가 혼내줄게요!오늘도 평화로운 지그재그 팀Q. 하경님은 지그재그로 이직을 하고 싶으셨던 이유나 계기가 따로 있으셨나요?하경 저는 예전에 정말 소규모의 스타트업에서 처음 iOS 개발을 시작했었어요. 심지어 같이 일하는 동료도 iOS 개발이 처음이었다 보니 같이 배워가는 입장이라 어려운 점이 많았고, 항상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계속 검색에 의존하여 개발을 하다 보니, '더 좋은 코드를 짤 순 없을까?' 하는 욕구가 있었는데 우연히 지그재그의 글을 보게 되었어요. 지그재그 기술 블로그나 브런치 글들을 보면 아시겠지만, 성장이라는 문구가 되게 많이 나오거든요! 그게 저에게 굉장히 매력적이었어요. 채용 공고에도 같이 성장하고 싶은 팀원을 구한다고 적혀있길래 망설임 없이 지원했습니다. 저는 그때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고 항상 성장하고 싶어요.(실제로 입사하시고 나서 겪어본 지그재그는 어떤가요?)하경 전 직장과 비교했을 때 저에게는 지그재그가 큰 회사로 느껴졌어요. 그러다 보니 왠지 이미 굳어진 정책 안에서 정해져 있는 일만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이 있었는데, 실제로 겪어보니 전혀 아니었어요. 매우 빠르게 성장하며 끊임 없이 변하고 있고, 이것 저것 새로운 걸 많이 시도해보는 게 신기했어요. 코드 리뷰도 처음 입사했을 당시에는 모든 코드에 대해 서로 꼼꼼히 리뷰한 후에 배포가 가능해서 그 과정에서 정말 많이 배울 수 있어서 너무 좋았는데, 최근에는 작은 부분에 대해서는 코드 리뷰를 거치지 않고 담당자가 빠르게 배포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부여하고 있어요. 이렇게 자율적으로 맡게 되니, 코드에 대한 책임감이 더 커지고 공부도 더 열심히 하게 되는 것 같아요.Q. 연미님은 지그재그 서비스 초기에 합류해서 지금까지 함께하고 계신데요! 처음 합류하시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연미 이전 회사에서는 주로 파견을 나가서 근무한 적이 많았어요. 그러다보니 제가 애정을 담아 지속적으로 키워나갈 수 있는 서비스가 없는 점이 항상 아쉬웠어요. 그래서 그런 서비스를 만들어나가는 사람들을 만나 함께 발전시켜나가고 싶다는 생각을 늘 했었는데, 운이 좋게도 지그재그 팀을 만나게 되었네요.(합류를 결정하실 때, CTO 상민님과 함께 일을 해보고 싶었던 마음도 한 몫(?) 했다고 들었어요!)연미 제 주변에서 상민님은 천재 개발자라고 불렸어요. 그러다 보니 저도 상민님과 함께 일하면서 배우고 싶었고, 같이 파이팅해보고 싶다는 의지가 매우 강했어요. 그렇게 합류한 이후 지금까지 상민님과 함께 개발을 하면서 정말 많이 배웠어요. 그리고 상민님과 저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비슷한 부분이 있는데, 그래서 더 편하게 좋은 팀워크를 유지해올 수 있었던 것 같아요. 둘 다 말수가 적은 편이라 업무에 필요한 말만 간단히 주고 받는 편인데, 그게 오히려 서로에게 편하게 느껴진다는 것? (웃음)천재 개발자 상민님의 기술 블로그 놀러 오세요! https://devblog.croquis.com(하경님께서 이전에 코드 리뷰에 대해 언급해주셨는데요, 연미님은 개발팀의 문화로 자리 잡은 코드 리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연미 개발자들에게 코드 리뷰는 책임감이고, 방향성이고,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이라고 생각해요. '우리는 코드로 얘기한다.'고 생각하는 개발자들이 모여있기 때문에, 서로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코드를 짰는지 공유하고, 미처 발견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면 같이 해결해보고 하는 거죠. 같이 sync를 맞추고 신뢰를 쌓아가는 과정이랄까요? 다른 인터뷰에서도 다른 분들이 말씀하시긴 했지만, 우리 지그재그 팀은 다들 서비스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더 나은 서비스를 만들고 싶어하는 사람들이라서 이런 문화를 매우 선호하고 환영합니다!Chapter 2. 업무와 일하는 방식Q. 오늘은 지그재그 팀이 목적 조직으로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한 그 첫 날인데요, 이 변화에 대해 두 분이 기대하는 점 또는 걱정되는 점이 있다면요?연미 작년에 인원이 많이 늘었고 회사도 커지면서 각자의 R&R이 명확해지다 보니 '함께 한다'는 느낌이 조금 약하게 느껴졌었어요. 그런데 목적 조직은 모두 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으쌰 으쌰 하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을 덜 하게 되지 않을까 싶어요. 다만 조직개편 후에 놓치지 않도록 신경써야 되겠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각 프로젝트팀의 목적 범위 외의 부분인 것 같아요. 주요 프로젝트 목적에 너무 치중하다보면 다른 부분에서 소홀해질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어떻게 대비할 것인지 생각해두면 좋을 것 같아요.하경 우선 업무에 보다 집중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된 것 같아 기대가 됩니다. 그리고 개발자는 개발팀, 디자이너는 디자인팀 이렇게 각자의 팀에서 협업을 진행했었는데, 이제는 같이 한 팀이 되어 하나의 목적을 달성해나가게 되었으니 커뮤니케이션이 훨씬 더 수월해진 것 같기도 하고요. 그리고 그럴 일은 절대 없게끔 할테지만, 각 팀의 목적이 훨씬 뚜렷해진 만큼 만에 하나라도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된다면 제가 너무 우울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해요. 반드시 달성하고 싶어요!Q. 지그재그 앱의 역사를 함께 해오셨는데, 새로운 기술이 도입될 때마다 적용시키는 과정이 궁금해요. 연미 인원이 늘기 전까지는 새로운 기술들에 대해서 시도를 많이 못해봤던 것 같아요. 1년 전부터 팀원이 늘어나게 되면서는 레거시를 바꾸는 작업을 계속 진행하고 있어요. 서비스 초기에 적용된 기존의 기술들을 계속 사용하기보다는 새로 합류하는 팀원들의 의견을 많이 들어보고 적용하려고 하고요. 예전 버전에서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를 하고 있다고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하경 우리 지그재그 팀원분들은 기술 그 자체이신 분들이 굉장히 많거든요. 다른 팀원들이 새로운 기술을 접목해서 우리 서비스에 득이 된다면 새로운 기술은 언제든 배우고 싶어요. 물론 서비스의 안정성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접목해보기 전 새로운 기술에 대한 충분한 공부가 선행되어야 하는 건 필수라고 생각해요!(새로운 걸 배운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닌데요..!)하경 어렵지 않아요. 되려 재밌어요! 새로운 걸 배운다는 게 제가 개발을 하는 데 있어서 활력을 불어넣어주는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기존에 하던 대로만 개발을 해오다 보면 지루해져서, 새로운 걸 시도해보곤 한답니다.연미 학습 속도가 정말 빨라요. 뚝딱 하고 만들어내시거든요.하경 아니에요..(부끄) 재밌어서 하다 보니 그렇게 되었네요.빛의 속도 하경님!Q. 서비스 초기부터 앱 파트를 이끌어오신 연미님! 성과를 이루기 위해 해왔던 업무 방식이나 프로세스가 있다면 어떤 것인가요?연미 저는 업무에 대한 흥미도가 성과 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태스크의 담당자를 정할 때에는 그 태스크에 관심이 있고 하고 싶어하는 팀원이 있는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편이에요. 만약 지원자가 없는 업무라면 그땐 팀원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팀의 상황에 따라 분배를 하긴 하지만요. (웃음)그리고 2019년 초반에는 앱 파트 팀원이 총 3명이었는데요, 그땐 집중 프로젝트라는 것을 적용해봤어요. 각자 하나의 프로젝트를 맡아서 본인이 주도적으로 타 팀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게끔 해본 거였는데, 결론적으로는 팀원 분들이 좋아하셨어요! 책임감도 키울 수 있었고, 비즈니스적인 측면에서도 성장할 수 있었다고 생각해요. 내 프로젝트다!라는 생각이 있다 보니까 아이디어도 내보고, 의견 전달도 많이 하면서 진행될 수 있어 좋았습니다 .하경 집중 프로젝트를 통해 미리 경험을 했어서 그런지 이번에 목적 조직에 들어간 게 어색하지 않은 것 같아요. 이미 그 방식에 적응되어 있는 것 같거든요.Q. 하경님은 작년 제1회 지그재그 배 해커톤에서 1등을 하셨어요! 그때 만드신 프로젝트 '휴가봇'이 회사에서 실제로 활용되고 있는데, 기분이 어떠세요?하경 작년 추석쯤에 해커톤을 했었는데요, 뭘 만들어볼까 하다가 회사 생활하면서 작은 부분이지만 불편하게 느껴졌던 부분을 개선해보고 싶어서 만들게 되었어요. 이름은 달비 휴가봇이고 같은 Dev.팀의 우식님과 만들었는데, 이게 이렇게 큰 영향을 끼치게 될 줄 몰랐어요! 사실 지금도 계속 사용 중이니 계속 기능 업데이트를 위해 공부를 하게 되고요. 그래서 신기하기도 하고 뿌듯하기도 하답니다. 원래 쓰던 기술이 아닌 새로운 기술을 배우면서 만들어봤던 프로젝트라서 더 재밌었고, 만약 개발에 지루함을 느끼신 분이라면 이런 프로젝트도 시도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연미 새로운 기술을 쓰다 보면 시야가 넓어지거든요. 정말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하경 그리고 달비 휴가봇을 같이 만들어주신 우식님께도 감사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지금까지도 얼떨결에 같이 개발을 하고 계시거든요..(웃음)Chapter 3. 저희 공고를 소개합니다!Q. 현재 채용 중인 [안드로이드/iOS 개발자] 얘기를 해볼까 해요. 어떤 앱 개발자를 찾고 있는지 말씀해주시겠어요?연미 일단 현재는 경력이 3년 정도는 있으신 분을 찾고 있어요. 아무래도 계속 새로운 작업들이 진행되고 있기도 하고 새로운 기술을 계속 적용하며 함께 업데이트를 해나가실 분을 모시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경력은 있으시면 좋을 것 같아요.그래서 Dev.팀이 이번에 인턴쉽을 진행했을 때에도 앱 개발 분야는 별도로 접수를 받지는 않았는데요,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저희도 인턴이나 신입 개발자분들도 모시고 싶어요!하경 개인적으로 바라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서비스에 대한 애정이나 관심이 있으신 분이면 좋겠어요. 저랑 같이 텅장을 만드실 분이랄까요.. (웃음) 장난이고요, 애정과 그 서비스에 쏟는 열정은 비례하다고 생각하거든요.연미 사용자가 지그재그 앱을 어떻게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지 같이 고민해주실 분을 찾고 있어요. 그리고 채용 공고 내에 우대사항으로 적힌 부분은 정말 우대사항이기 때문에 해당 기술을 알고 계시면 더욱 좋겠지만 모르셔도 괜찮아요. 들어오셔서 같이 배워나가시는 분들도 많이 계시고, 또 필요하면 팀 내에서 개발 스터디를 직접 오픈하실 수도 있고 이미 활발하게 진행중인 스터디에 참여하실 수도 있으니까요.하경 아! 그리고 서로에게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팀원분을 모시고 싶어요. 앞에서 말씀 드렸던 코드 리뷰 같은 경우에도 서로 코드를 공유 하면서 모르는 기술도 알 수 있게 되고, 몰랐던 문제점을 알아갈 수 있으니 각자의 발전에도 도움이 되거든요! 저희 팀에서 자체적으로 OOP스터디도 진행했었는데, 같이 배우고 공유하면서 회사와 개인의 발전에 목표를 가지실 분이었으면 좋겠어요!Q. 지그재그의 예비 지원자에게 전하는 메시지!연미 지그재그 팀은 사업적인 측면에서도 그렇고,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성장 가능성이 무한해요. 아무래도 새로운 시도를 할 때 오픈 마인드이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팀원의 성장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지원을 해주기 때문에 회사와 함께 발전하고 싶으신 분들은 맘껏 지원해주셨으면 좋겠어요.하경 주저하지 마시고 지원해주셨으면 좋겠어요! 전 개인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회사에서 일하다 보니 제 자신이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변해가는 걸 느꼈는데요, 그게 되게 회사에서 재밌게 일할 수 있게 해주는 것 같아요.Chapter 4. 마무리Q. 2020년 두 분의 목표가 있으신가요?하경 2019년에는 개인적으로 이사를 하게 되면서 인테리어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고, 특히 제가 청소에 빠지게 됐어요. 부모님이 보시면 어이없어하시겠지만. (웃음) 다른 것에 좀 더 포커싱이 가있었다 보니 개발 공부를 많이 못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올해엔 공부를 열심히 할 생각이고, 마인드도 바꿔보려고요! 더 긍정적인 마인드!연미 저도 비슷한데, 개발자로서의 역할을 더 강화하고 싶어요. 저의 테크니컬한 부분을 더 발전시켜보려고요. 개인적인 목표는.. 내 집 장만입니다.하경 그거.. 작년 목표 아니었나요..?(웃음) 저는 건강관리도! 점심마다 샐러드를 먹고 있는데요, 공개적으로 말해두면 더 열심히 지키지 않을까 싶어 추가로 말씀드려봅니다.Q. 다음으로 인터뷰를 진행했으면 하는 팀이 계신가요? 궁금한 팀이 있으면 말씀해주세요!하경 저는 Relations팀이요. 전반적인 채용을 담당해주셔서 그 과정도 궁금하고, 이번에 팀 인원도 두 분 더 합류하셨는데 어떤 변화들이 생겼는지 궁금해요.연미 저는 3PL분들이요! 각자 프로젝트마다 어떤 방식으로 업무를 진행해가실 예정인지, 주간 미팅 때 공유해주시긴 했지만 좀 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과 비전이 궁금해요. 이 인터뷰가 성사되고 많은 분들께 읽혀진다면, 각 팀의 목표에 공감하시는 좋은 분들이 많이 합류해주시지 않을까요! (*3PL은 지그재그의 새로운 프로젝트팀 리더 세 분을 의미합니다!)지그재그에서는 안드로이드/iOS 개발자를 포함하여 활발하게 채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그재그 팀과 함께, 수면 아래 숨겨진 가치를 찾아내는 경험에 동참할 팀원을 꼭 모시고 싶습니다 :-) 궁금하신 점은 언제나 [email protected] 또는 http://facebook.com/zigzagcareer로 연락 주세요!지그재그 [안드로이드/iOS 개발자] 포지션을 소개합니다!이런 일을 합니다.안드로이드, iOS이런 분을 모십니다.안드로이드iOS이 중 하나라도 가능하시다면 더더욱 좋아요 :)공통안드로이드iOS지원 방법채용 절차혜택과 복지   더 많은 공고는 채용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채용 사이트 바로가기
조회수 1847

어니스트펀드를 어니스트펀드답게 만드는 것들

2016년 7월 말 제대 후 곧바로 떠난 유럽 여행 중에 한국에 있는 친구로부터 카톡이 왔다. 한 핀테크 스타트업에서 인턴을 구하고 있는데 한 번 지원해보라는 내용이었다. 유럽 한복판에서 복학과 인턴 사이에서 고민을 하다가, 스위스에서 인턴 지원서를 작성하여 회사로 보냈다. 귀국한 날, 인생 처음으로 양복을 샀으며 그다음 날 면접을 보러 갔고, 2016년 9월 내 첫 직장 어니스트펀드 성장전략실에서의 인턴 생활이 시작되었다.금융회사와 스타트업의 Identity를 모두 가지고 있는 어니스트펀드에서 6개월간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는데, 이 배움은 어니스트펀드가 아니라 다른 회사에서 일했다면 절대로 얻을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인턴 생활을 마무리하는 이 시점에 이번 브런치 글을 통해 내가 어니스트펀드에서 느끼고 배운 것들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다.1. 자발적인 동기에서 나온 열정어니스트펀드의 하루는 언제나 열정적이다. 어쩌면 스타트업의 ‘열정’은 굉장히 진부한 이야기일 수 있지만, 나는 어니스트팀이 가지고 있는 열정에는 남다른 것이 있다고 생각한다. (어니스트펀드의 팀원들은 흔히 회사를 어니스트팀이라고 부른다) 한 에피소드를 통해 그 열정을 설명해보고자 한다.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에, 어니스트펀드에서는 직함을 쓰지 않고 영어 닉네임을 통해 소통하는 문화를 채택하고 있음을 밝힌다.인턴 생활을 시작한 초기, 하루는 회식을 마치고 우리 집과 가까운 곳에 사는 포세이돈의 차를 얻어 타고 귀가했던 적이 있었다. 포세이돈이 은행에서 근무하셨던 경험을 전해 듣던 와중에, 어니스트팀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는데 포세이돈은 나에게 아래와 같은 질문을 하였다.“알렉스는 왜 우리 회사의 많은 분들이 어니스트펀드에서 일하고 계시다고 생각해요?”그 당시 나는 바로 이렇다 할 답변을 내놓지 못하였다. 다른 좋은 곳에서도 충분히 잘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 왜 이곳에 모여 계신 것인가라는 질문만이 내 머릿속을 맴돌았다. 조금 기다리시더니 이내 곧 나에게 답변을 주셨다.“우리 회사에서 하는 일, 그 자체를 정말 좋아하고 즐기니까 그런 게 아닐까요?”어찌 보면 별 이야기가 아니었지만 나는 약간의 충격을 받았다. 보통 ‘회사’와 ‘일’은 그다지 긍정적인 의미로 수용되기보다는 빨리 해치워야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은데, 포세이돈의 답변은 그 보편적인 관념에 반대되었기 때문이다.밤낮없이 치열한 대화가 오고가는 성장전략실의 회의이후 어니스트팀 속에 있으면서 구성원 모두가 프로페셔널한 정신을 가지고 있고, 금융업의 새로운 분야를 열어가는 것에 자부심을 느끼며, 자신의 일을 즐기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자연스럽게 일에 대한 열정으로 표출되었고, 어니스트펀드의 형광등은 밤늦게까지도 꺼지지 않았다. 또한 어니스트펀드의 회의실은 밤낮없이 치열한 대화가 오고 가는 곳이었고, 사무실은 언제나 집중하는 분위기로 압도되어 있는 곳이었다.모든 팀원들 한분 한분과도 좋은 이야기를 많이 나누었지만, 나는 특히 디자이너 토니와 했던 이야기가 인상 깊었다. 토니가 나에게 항상 했던 이야기는 바로 어니스트펀드라는 금융회사에서 자신의 분야와는 거리가 멀기만 했었던 금융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일하면서, 금융업의 디자인을 알아가는 즐거움이 크다는 것이었다.대출과 투자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어떠한 디자인에 주목하는가? 어떠한 글씨체, 글씨 크기, 아이콘의 모양, 색깔, 어떠한 화면 구성이 금융소비자들의 눈을 사로잡을 수 있을까? 이러한 이야기를 할 때, 내가 마주한 토니의 얼굴에서 나는 언제나 즐거움과 열정을 동시에 볼 수 있었다.'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이기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지금껏 내가 본 어니스트팀의 열정은 모두 즐거움을 그 원천으로 두고 있었다. 나는 이것이 바로 어니스트펀드가 단기간에 탁월한 성과를 내며 성장할 수 있는 근본적인 원동력이라고 생각한다.제품개발팀의 Agora 회의그렇다면 '그 즐거움은 어디서 오는가'에 대한 답은 무엇일까? 나는 어니스트펀드가 빠르게 성장하는 만큼 직원들 개인들도 같이 성장하는 구조가 갖춰져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개인적으로 사람들이 보통 즐거움을 느끼는 순간이 자신의 어떠한 상태가 개선되고 있음을 느낄 때라고 생각한다.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스스로가 변화하고 있을 때 우리는 개선이 된다고 생각하며 이는 곧 우리가 '성장'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어니스트팀 개개인이 자신이 속한 직무에서 개인의 성장을 일구고 있듯이, 나 또한 비약적인 성장을 할 수 있었다. 63빌딩으로 첫 출근을 하던 때와 지금을 생각하면 나는 내가 원하는 대로 변화했고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된 것만 같은 느낌을 지울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제부터 내가 성장할 수 있게 어니스트펀드가 제공해준 기회에 대해 이야기해보겠다.2.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의 제공6개월 동안 내가 인턴으로서 했던 업무를 살펴보면, ‘과연 다른 회사에서는 이런 수준의 업무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인턴에게 줄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든다.사실 나는 어니스트펀드에서 인턴 생활을 하기 전에, 엑셀과 파워포인트를 다루는 것조차 익숙하지 않았던 갓 제대한 복학예정 대학생이었다. 그랬기 때문에 변화와 성장의 속도가 빠른 어니스트펀드에서의 첫 달은 적응하기 쉽지 않았지만, 그 순간들을 이 악물고 버텨내고 회사에 적응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나에게 주어진 업무들은 그 양이나 질을 생각했을 때 매우 파격적이었다고 생각한다. 얼마나 파격적이었는지를 하나의 일화를 통해 설명하도록 하겠다.하루는 어니스트펀드의 대표인 루피가 이야기할 것이 있다며, 회의실로 나를 이끌었다. 루피가 꺼낸 말은 다음과 같았다.“알렉스, 지금 우리 회사에게 필요한 3가지 일이 있는데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이 과제들을 직접 해결해보면 정말 좋을 것 같아요. 첫 번째는……”루피가 내게 제안했던 3가지 업무에 대해서 상세하게 밝힐 순 없지만, 인턴 생활이 끝날 때까지 나는 3가지 업무 중에 2가지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사실 다른 회사에서는 대표가 직접 나서서 인턴에게 특정 프로젝트를 제안하는 것은 매우 놀라울 일이지만, 어니스트펀드에서는 그다지 놀랄만한 일은 아니었다. 덕분에 나는 전략 관련 단독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었다.나의 자리에는 항상 온갖 자료를 검토하며 보고서를 썼던 흔적이 남아있다하지만 기회를 준다고 해서 모든 것이 해결되지는 않는다. 역량에 초과하는 일을 무작정 던져주는 것은 오히려 그 사람의 부담감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사실 전략 관련 단독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은 나에게 매우 벅찬 일이었다. 여러 자료들을 검토하고 거기에서 얻은 정보들을 요약 및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내가 결국 말하고자 하는 주제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는 일은 대학생이 작성하는 리포트와는 비교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내가 이러한 난관에 부딪쳤을 때, 조목조목 도움을 준 분은 바로 나의 사수인 마커스였다. 전직 컨설턴트였던 마커스는 전략을 짜는 프로젝트가 통상적으로 진행되는 절차, 구글에서 자료를 찾는 방법, 자료들 중에서 유의미한 정보를 뽑아내는 법, 그 정보들을 보기 쉽게 보고서로 작성하는 방법까지 전반에 걸쳐 피드백을 주셨다. 나 또한 이에 호응하여, 늦은 밤까지 회사에 남아 자료들을 읽고 또 읽고 정리하고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어니스트팀 전체에게 최종 보고서를 공유이 과정에서 나는 하루하루 내가 변해가는 것을 느꼈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가 완성되기까지의 시간은 오래 걸렸을지라도 기업의 전략 업무의 한 사이클을 제대로 완결할 수 있었다. 이렇게 나는 내 인생 첫 직장에서 내 인생 최초의 리포트를 작성하여 어니스트팀 전체에게 공유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나에게 있어, 어니스트펀드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그 기회를 통해 내가 성장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회사였다.어니스트펀드의 문화 강령인 ‘Honest Manual’ 4번에는 이런 원칙이 있다."4. 개인의 성장과 계발은 월급만큼이나 끊겨서는 안 됩니다. 성장이 없을 때는 리더에게 책임을 묻습니다."우리가 흔히 집단에 속하여 생활을 하다 보면, 정해진 규칙이 무의미해지는 경우가 많다. 가령, 대학교 동아리에서 수요일 오전 10시까지 활동에 참석하라는 구체적인 약속도 제대로 지켜지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하물며 ‘성장’에 끊김이 없어야 한다는 추상적인 원칙이 지켜지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많은 사람들이 동의할 것이다.그러나 나는 인턴생활을 마치며 내가 성장을 했다는 것을 나 스스로 느끼면서, 위의 원칙이 말뿐만이 아니라 실제로 회사 내에서 실행으로 옮겨지고 있음을 몸소 체험하였다. 이러한 원칙이 준수될 수 있는 이유는, 대표인 루피와 나의 사수 마커스를 포함한 어니스트팀 전체의 노력이 뒷받침되기 때문이다. 단적으로, 성장전략실의 시나몬이 내가 인턴생활을 마무리하며 그동안의 감회와 배운 것들을 정리하고 이를 회사의 얼굴인 브런치에 글로 게재하는 기회를 마련해줘서 나의 인턴 생활을 정리해볼 수 있게 한 것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생각한다.이어서 여러 팀원 분들이 제공해주신 ‘성장’의 기회를 통해, 내가 인턴 생활 동안 깨달았던 2가지 인사이트를 소개하고자 한다.3. 절차적 지식의 중요성나는 확실히 어니스트펀드에서의 인턴 생활을 통해 많은 것들을 배우고 느꼈지만, 그중에 내가 가장 중요한 인사이트라고 생각하는 것이 바로 절차적 지식의 중요성이다.교육학 이론에 따르면, 지식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뉘는데 이를 각각 선언적 지식(declarative knowledge)과 절차적 지식(procedural knowledge)이라고 부른다. 선언적 지식은 ‘무엇이 어떠하다’는 정적인 형태의 지식이다. 이를 익히기 위한 학습 목표는 ‘~을 안다’의 형태로 표현되고 주로 암기와 이해를 통해 획득된다. 예를 들면, 조선 22대왕 정조의 업적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정조에 대한 선언적 지식 덕분이다.이와 달리, 절차적 지식은 ‘무엇을 어떻게 수행하는가’에 대한 지식으로 동적인 형태를 갖는다. 절차적 지식에 대한 학습 목표는 ‘~을 할 수 있다’의 형태로 표현되고 실제로 행동으로 옮겨보는 과정에서 이를 습득하게 된다. 예를 들면, 자전거를 타거나 테니스를 칠 수 있는 사람은 이 두 가지 활동에 대한 절차적 지식 덕분이다.자전거를 탈 줄 아는 것은 대표적인 절차적 지식이다내가 절차적 지식에 주목하는 이유는 우리가 결국 무엇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어떠한 무엇을 알아내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아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본질적으로 모든 것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절차적 지식은 회사의 업무에서 더 중요하게 부각되는데, 거의 모든 업무들이 절차적 지식의 영역을 통해 해결되기 때문이다.내가 어니스트펀드에서 일하면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 절차적 지식은, 바로 ‘Google’을 이용하여 나에게 필요한 정보를 찾는 방법을 아는 것이었다. 어떤 사람들은 Googling은 누구나 하는 쉬운 일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으나, 업무는 질적 완벽성도 중요하지만 신속성도 중요하기 때문에 어떻게 Google을 이용할 것인가는 중요한 절차적 지식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업무를 하면서 겪은 에피소드를 통해 Googling에 대한 절차적 지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인턴 생활 막바지에, 나는 회사 소개 페이지를 기획하는 업무를 맡게 되었다. 회사 소개 페이지는 대개 그 회사의 철학을 소개하는 공간으로 쓰인다. 물론 어니스트펀드가 추구하는 바에 대해 이해도가 높았을 무렵이었으나, 나는 도대체 내가 알고 있는 어니스트펀드의 철학을 어떻게 풀어낼지 갈피가 잡히지 않았다.나는 우선 Googling을 통해 회사의 비전을 작성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이에 따라 업무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여기서부터 Googling이라는 절차적 지식이 매우 중요하게 쓰이는데, 나는 우선 Google 검색창에 ‘company vision’을 검색하였다. 이는 Google에 존재하는 수많은 회사의 비전에 대한 정보들이 대략적으로 무엇이 있는지 감을 잡기 위한 것이었다. 수많은 웹페이지들이 검색된 가운데, 나는 Business Dictionary의 ‘Definition of company vision’,  Harvard Business Review(HBR)의 ‘Building your company’s vision’, GE의 ‘Mission, Vision & Strategy’ 이 세 가지 웹페이지를 열었다. 그 이유는 어떤 것을 검색할 때 항상 이에 대한 ‘정의, 실행 방식, 레퍼런스(참고자료)’ 이 세 가지를 알아야 업무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GooglingBusiness Dictionary의 정의에 따르면, 비전은 중장기적인 목표를 의미하며 기업의 현재 업무에 대한 지침으로서 기능한다고 소개되어 있었다. 나는 이를 통해, 회사의 철학을 소개하는 것에 있어서 비전은 하나의 재료이며 단기적인 목표를 의미하는 다른 개념어가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HBR에서는 회사의 비전 수립을 위한 방법론으로 Strategical Planning이란 이론을 설명하고 있었다. 이 이론에 대한 설명을 읽은 후, 나는 회사의 철학이 장기적인 비전-중기적인 미션-단기적인 액션플랜 3단계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나는 이 Strategical Planning이 내가 찾은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고, 이를 다시 Google로 검색하였다.그 결과, 어떤 한 웹사이트에서 Strategical Planning과 관련하여 ‘VMOSA’라는 개념을 찾을 수 있었다. VMOSA는 Vision, Mission, Objective, Strategy, Action Plan을 의미하는 것으로 회사의 철학을 5가지 과업의 층위로 나누어 분류한 체계이다. 이 개념을 토대로, 이전에 찾아 놓았던 GE의 회사 소개 페이지 레퍼런스를 확인하여 우리 회사 철학의 가이드라인으로 삼는 것에 대한 적정성을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VMOSA가 적절하다고 판단되었고 나는 내가 이해하고 있는 어니스트펀드의 철학을 그 개념에 맞추어 정리하였고 단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업무를 완수할 수 있었다.이러한 경험에서 보듯, 회사의 업무과정에는 원래 알지 못하는 것들의 답을 효율적으로 구해야 하는 과정이 반드시 포함되어 있다. 사람들이 모든 것들에 대해 알 수 없기 때문이다. 회사의 철학을 소개하는 페이지를 구성하는 것을 난해한 일이라고 보긴 어렵지만, 나는 그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해 스스로 질문하고 답을 구해가는 과정이 나를 성숙시키고 나를 그 분야의 전문가로 만들어주는 유일한 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어떻게 엘론 머스크(Elon Musk)는 우주로 쏘아 올릴 로켓을 만드는 스페이스X를 창업할 수 있었겠는가? 정답은 간단한 것 같다. 지금껏 로켓을 쏘아 올린 회사를 만드는 방법이 존재한 적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 방법을 알아낼 절차적 지식을 갖추었기 때문이다.4. 소통의 기술내가 어니스트펀드에서 일하면서 스스로 가장 부족하다고 느꼈던 것은 바로 소통의 기술인데, 두괄식으로 주장을 이야기하고 반드시 그 근거를 이야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내가 이 소통의 기술이 부족하다고 느낀 이유는 논리적으로 글 쓸 때와는 다르게, 나는 ‘생각나는 대로 말하기’에 익숙했기 때문이다. 실제 회사에서 일을 할 때에는 소통의 신속성과 명확성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나의 소통 방식이 업무과정에서 큰 방해 요소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예를 들자면, “제가 회의에 참석을 하다 보니 시간이 없어서…… 주신 일을 다 못 했는데…… 어쩔 수 없었던 상황이었습니다.”라고 이야기한다면 상대방의 입장에서 그래서 결국 어떻게 해달라는 것인가라는 의문이 들 것이다. 이것이 바로 생각나는 대로 말하는 것의 폐해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게 주신 일을 처리하기 위해 시간을 좀 더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왜냐하면, 제가 갑작스럽게 회의에 참석을 해서 업무 처리 시간이 지연되었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해야 명확하고 신속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명확하고 신속한 의사소통의 중요성실제로 나의 사수였던 마커스와 일을 하던 도중에, 이러한 소통방식으로 인해 마커스가 나에게 내가 말하고자 하는 의도를 되물어 본 적이 많았다. 나는 갑작스럽게 사수로부터 ‘왜 그렇게 생각하느냐?’, ‘그래서 결국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 무엇이냐?’라는 질문을 받으면서 당황했었고 그럴 때마다 나의 말하는 방식을 두괄식으로 바꾸어야 하겠다는 필요성을 더 절실하게 느낄 수 있었다.이러한 두괄식 구조에 의한 소통이 중요한 이유는, 나의 주장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과 더불어 그 주장의 맥락을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회사 내에서 업무를 하면서 발생하는 모든 언행은 탁월한 업무 수행을 위한 목적을 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나의 언행은 모두 그러한 맥락 위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업무의 전반을 이끌어 나가고 있는 시니어와 같은 팀의 구성원들이 그 맥락을 이해하고 있어야 최고의 결과를 낼 수 있다. 맥락의 공유가 실패하면, 내가 공들여했던 몇 시간의 일이 큰 의미가 없는 것이 되어버려 업무의 신속하고 정확한 처리가 물거품이 되기 때문이다.이러한 절차적 지식과 소통 방식에 대한 깨달음뿐만 아니라, 수없이 많은 것들을 배웠던 인턴 생활이 드디어 막을 내렸다.5. 어니스트펀드에서의 인턴을 마치며약 6개월간의 어니스트펀드에서의 긴 여정을 마치고, 2017년 3월에 다시 학교로 돌아간다. 어니스트펀드에서 맷집을 제대로 키워서 그런지 학교로 돌아가서 겪게 될 진로 고민과 나에게 주어질 여러 가지 과제들을 해결해 나가는 것이 그 전과는 다르게 크게 부담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어니스트펀드는 나를 강하게 만들어준 곳이었으며, 아무것도 갖춘 것이 없어도 뛰어들어서 하다 보면 결국 해낼 수 있다는 마인드를 가질 수 있게 해주었다.인턴 생활 마지막 날 아침내가 한 학기를 늦추면서까지 스타트업에서 일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의아해하였지만, 6개월이 지난 지금 나는 그때 복학이 아닌 인턴이라는 도전을 선택했던 나에게 칭찬을 해주고 싶다.내가 훗날 대기업에서 일하고 있든지, 작은 규모의 회사에서 일하고 있든지, 아니면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있든지에 관계없이, 어니스트펀드에서의 인턴 경험은 앞으로 나의 인생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확신한다. 이러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신 모든 어니스트펀드 팀원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다.마지막으로 브런치 글을 마무리하면서, 나와 비슷한 연령대의 친구들에게 짧게 이런 질문을 던져보고 싶다.“청년 실업률이 치솟고 있는 요즘, 안정을 찾는 것도 좋고 이것저것 따져가며 사는 것도 좋지만 한 번쯤 새로운 혁신이 꿈틀거리고 있는 곳에 들어가 보는 것은 어떠한가?”“그리고 그곳에서 어쩌면 예상치 못하게 정말 많은 것들을 얻을 수도 있지 않겠는가?”#어니스트펀드 #인턴 #후기 #경험공유 #기업문화 #사내문화 #조직문화 #인턴생활
조회수 10246

취준생들에게만 속 시원히 답해 주는 "kt 채용 10문 10답"

사상 최악의 취업난 속, 매년 채용 시즌이 되면 취업준비생들의 마음은 무거워집니다.마음은 급한데 직무, 스펙, 자기소개서, 면접 등 준비할 것은 산더미인데 정작 신뢰할 정보들은 찾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kt 채용 10문 10답을 준비했습니다! kt 채용에 관심 있는 취준생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핵심적인 궁금증들을 모아 풀어드립니다. 1. kt의 직군과 직무는 어떻게 나뉘나요? ▶kt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IT기업인만큼 다양한 직군과 직무가 있습니다. 매년 영업마케팅, 네트워크, R&D, 보안, IT컨설팅 등 다양한 직군과 직무에서 채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kt는 지원자가 직무와 관련된 어떤 역량을 갖고 있고, 어떤 노력을 해왔는지를 중요하게 보고 있습니다.  2. kt의 신입 채용 방식은 무엇이며, 규모는 어느 정도인가요?  ▶ 상/하반기 각 1회씩 년 2회 정기 공채를 진행합니다.최근에는 경진대회나 공모전 수상자 등 IT/R&D분야 우수인재 선확보를 위해 수시채용도 도입했습니다.상/하반기 1회씩 진행되는 정기 공채는 일반전형 외에도 kt스타오디션, 달인채용 등의 열린채용을 병행하여 스펙보다 실무역량과 열정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는 전형도 진행합니다.kt만의 독특한 전형방식인 kt스타오디션은 입사지원서만으로 표현하기 힘든 직무에 대한 열정과 kt에 대한 로열티를 오프라인에서 표현하는 현장면접으로 수도권을 비롯 전국 각지의 현장에서 채용담당자가 직접 지원자를 만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 우수자는 그 어렵다는 서류심사를 면제해 준다는 사실입니다. 어떠세요? kt스타오디션, 한 번 참여해보고 싶지 않으신가요?  3. kt 공채 절차를 알려주세요!  ▶ 기본적으로 서류전형을 거쳐 kt종합 인적성검사를 시행한 후, 1차면접(직무)과 2차면접(인성)을 진행합니다. 이와 별도로 2013년부터는 스펙초월 전형인 kt스타오디션을 통해 서류전형을 대체하기도 하고 달인채용이나 인턴십을 통해 직무역량이 검증된 지원자들에게 전형상의 혜택을 주기도 합니다.     4. 서류, 면접 등 전형 절차 별 주의점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아무리 담대한 사람이라도 취업 또는 채용전형 앞에서는 긴장되고 경직되기 쉽겠죠. 하지만 채용전형은 지원자들의 단점을 찾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어떠한 장점이 있는지 우리기업과 얼마나 잘 맞는지를 보려는 것이기 때문에 지나치게 긴장하는 것은 자신의 장점을 보여주는데 방해가 될 뿐입니다.지원한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어떤 것들을 준비해 왔는지, 또 본인이 어떤 장점과 색깔을 가진 사람인지 잘 표현한다면 어떤 채용전형과정에서도 큰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기억해 주세요, 지원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이것을 준비해 왔다!’ 자신 있게 말하는 당당한 태도가 중요하다는 것을요.  5. 어학, 학점 등 스펙은 어느 정도 보는 편인가요?▶ kt는 스펙을 보는 기업입니다! 놀라셨죠? 하지만, kt가 말하는 스펙은 학점, 어학점수 등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원한 직무와 관련하여 어떠한 경험을 쌓아왔고 어떠한 노력을 했는지 보여줄 수 있는 열정형 스펙을 봅니다. kt는 실제로 학점이나 어학에 대한 제한이 없고, 인턴 지원서의 경우, 이름과 연락처 등의 최소한의 기본정보와 자기소개서만 기재하게 되어 있습니다. 지원한 직무와 관련한 역량을 갖추기 위한 노력과 경험을 가지고 있다면 kt를 위한 스펙으로 충분합니다. 믿기 힘드시면 지원해 보시길 강추합니다!  6. 서류 작성에서 지원자가 가장 주의하고 조심해야 할 부분은 무엇일까요? ▶첫째는 지원한 직무와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지원서를 작성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kt는 직무와 관련 없는 무분별한 스펙은 원하지 않습니다. 수십 개의 자격증과 시험점수가 있어도 직무와 연관이 없다면 kt에겐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둘째는 자기소개서를 충실히 작성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kt는 자기소개서를 채용담당자가 직접 읽어보는 기업입니다. 각 항목에 해당되는 본인의 장점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충실히 기재해 주세요.  셋째는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지만 솔직하게 작성해야 한다는 겁니다. 요행히 서류심사에서 통과되었다고 하더라도 자기소개서의 모든 내용은 면접과정에서 반드시 검증되므로 본인의 경험을 지나치게 과장되게 서술하거나 없는 경험을 쓰는 것은 정말로 금물입니다.  7. 전공 연관성은 얼마나 필요한가요? ▶ 채용공고 상에 잘 나타내주지만 기본적으로 모든 분야가 전공무관입니다. 기술관련 직무의 경우, 관련 전공을 우대하기는 하지만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본인의 전공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느낀 점 등을 지원직무와 연결하여 활용할 수 있거나 실제로 지원한 분야와 관련된 경험을 쌓아왔다면 전공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8. 면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이고 면접 방식은 어떻게 되는지요? ▶ kt의 채용 또는 면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지원한 직무에 대해 어떻게 준비해왔는가 그리고 어떠한 열정을 가지고 있는가 입니다. 면접을 진행하다 보면 면접과 관련해서 지나칠 정도로 트레이닝되어 오는 지원자들이 많은데 그러한 모습은 오히려 지원자의 진면목을 가리게 되어 독으로 작용될 수 있다는 점. 그래서 kt는 지원자 여러분의 진짜 모습을 보기 위해 면접 방식을 대폭 변경하고 강화했습니다. 어떻게 바뀌었는지는 면접과정에서 확인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9. kt에도 인턴제도가 있나요? 있다면 어떻게 운영되나요?▶ kt 인턴십은 상반기 대졸공채와 동시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2차 임원면접을 제외한 나머지 채용프로세는 대졸공채와 동일합니다. 이는 지원자에게 단순한 회사/직무경험 제공이 아닌 향후 kt에 입사할 우수인재를 선확보하고 검증해보는 채용연계 인턴십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인턴이 되면 약 8주 간 지원직무와 관련된 경험을 쌓게 되고 인턴이 끝난 뒤에 인턴기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평가하여 차기 대졸공채 시 혜택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평가결과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우수한 인턴은 1차면접 면제 등 차별화된 혜택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10. kt의 인재상은 무엇인가요? 어떤 인재를 뽑으려 하는지요? ▶ 한마디로 kt의 핵심가치인 “Global No.1 kt” 달성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kt가 원하는 인재인데요, 이에 맞는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kt는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재, 벽 없이 소통하는 인재, 고객을 존중하는 인재, 기본과 원칙을 지키는 인재 등 4가지 인재상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물론 인재상의 모든 부분을 완벽히 가지고 있는 사람은 없겠죠. 다만 위 4가지에 해당되는 본인의 장점 외에 본인이 부족한 부분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장점을 인정하고 늘 배우고 성장하고자 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채용을 진행하다 보면 “열심히 하겠습니다.”, “잘 하겠습니다.” 라는 말로 열정을 표현하는 지원자들이 참 많습니다. 하지만 kt에서 원하는 열정은 “무엇을 위해 어떻게 준비해 왔습니다.”  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열정입니다. 그 열정은 짧은 기간에 의도적으로 학습된 것이 아니라 긴 시간을 통해서 체화되고 준비된 살아있는 열정 아닐까요?    지금까지 취준생들이 kt채용을 준비함에 있어 가장 궁금해 할 내용을 살펴보았는데요, 정기공채도 있지만 수시채용인 kt스타오디션, 달인 채용, 인턴십 전형 등이 있다는 점에서 kt가 소위 열정형 스펙과 같이 다양한 능력을 가진 인 재를 채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이 느껴지시나요?  kt 채용에 도전할 수많은 취준생 여러분들의 건투를 빕니다.  (본 포스팅은 2014년 kt의 채용과정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015년의 채용과정은 회사의 정책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kt #kt채용 #인재상 #공채 #10문10답 #기업문화 #취준생 #꿀팁 #kt공채
조회수 1617

기업을 친구처럼 - 대화의 #기술

추석. 사랑하는 가족들과 함께 하는 시간들. 세상 모든 이가 가족처럼 편하고 허물없을 테면 좋을 텐데... 현실은 어색하고 낯선 인연과도 부대끼며 살아가는 세상이다.나와 친근하게 대화할 누군가. 그게 사람이 아니라도 편하다면? 누군가 나를 대신해 필요한 정보를 찾아주고 비교해주고 알려준다면? 전화나 대면에서 마주치는 어색한 느낌은 없애고, 문자 대화(채팅)를 통한 서비스라면 쉽고 간편하지 않을까!이러한 역할로 요즘 주목받고 있는 것이 바로 '챗봇'(ChatBot)이다. 마치 사람과 대화를 나누듯이 대화창에서 질문에 알맞은 답이나 각종 연관 정보를 찾아 제공하는 인공지능(AI) 기반의 프로그램. 나는 핀다(Finda)에서 엔지니어 인턴으로 챗봇 개발을 맡아서 일했다.친구의 추천이나 의견에 따라 쉽고 빠른 의사결정이 가능하듯이, 핀다가 친근한 '챗봇'을 통해 고객과 소통하기를 바라는 마음한국은 추석 휴일. 지금 난 미국의 학교로 복학을 했다. Finda에서 일을 시작한 것이 엊그제 같았는데... 벌써 추억이 되어버렸다. 핀다에 합류하기 전에도, 나는 원래 스타트업에 빠져있었다. 한국에 오기 전, 미국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에서도 한번 일 했었고, 서울에서도 스타트업 경험을 해보고 싶었다. 군대 말년휴가 중 1박 2일을 잘라 나온 동안 그 기회를 얻으려고 정말 다양한 곳에서 면접을 봤다. 짧은 기간 동안 빡빡하게 회사들을 추려내(내 주제에 뭘 추려낸다지만), 내 나름대로 꽤 까다롭고 신중하게 이력서를 냈다. 판교, 구로 디지털단지, 가로수길, 그리고 여기 삼성역 구글 캠퍼스..선택을 할 때 나만의 '기준'이 있다. 인터뷰는 상대에게 무조건 잘 보이기에 애쓰기보다는, 상대방과 내가 잘 맞는지 서로 알아보는 자리라는 것이 내 생각이다(또 내 주제에 뭘 알아보겠다는 건지...) 그래서 내가 이 회사에 잘 적응할 수 있을지에 대해 나름의 기준을 가지고 봤다. 그게 뭐냐 하면 사람들의 얼굴. 그러니까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직원들의 표정"을 봤다.면접을 본 회사들 중에 유일하게 표정이 살아있는 회사가 바로 '핀다(Finda)'였다. 그렇게 나는 핀다의 표정들 중 하나가 되었다."일단 바로 일을 시작"미국이나 한국이나 이건 비슷한 것 같다. 스타트업의 특성상 수습기간이나 연수기간이 따로 없고 바로 제품 제작에 들어간다. 그런데 내가 하게 된 일이...“챗 봇”을 만들게 되었다. 처음 받았을 때는 "내가?? 인턴에게 이런 것을??" 라고 생각했다. 생각해보면 상당한 기술이 필요할 수 도 있는 프로젝트이지만, 이런 것을 선뜻 햇병아리 인턴에게 맡겨주는 건 미국에서도 겪어보지 못한 엄청난 대우(?)였다. 사실상 걱정부터 앞섰는데, 나에게 어려운 일을 선뜻 믿고 맡겨주는 회사가 고마웠고, 정말 멋지게 한번 만들어보고 싶다는 욕심이 들었다.정말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이 주어졌고 ‘한번 멋지게 만들어봐라’라는 말을 들었다. 그리고 나에겐 정말 많은 자유와 결정권이 주어졌다.자유와 결정권 앞에서 나름대로 많은 것을 생각했다. 현재는 플랫폼이 페이스북으로 한정되어 있지만 후에 슬랙, 카카오톡 등등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과, 이후 유지보수, 기능 추가를 위해 엔진 형식으로 일단 코드를 짜아 나갔다. 워딩이라던가 기본적인 말, 대화의 흐름까지도 나 스스로 우선 결정권을 주셨기 때문에, 시키는 것만 해오던 군인 시절에서 벗어난 지 한 달도 안된 나는 어벙 벙했지만, 이내 마음을 가다듬고 차근히 만들어 나갔다.“내가 뭐라고 기획을 맡기시나요”챗봇 개발외에도 개발자를 채용하는 컨퍼런스에서 핀다의 깨알같은 홍보와 설명도! 열정적으로!핀다라는 회사는 사람을 키워주려는 회사라고 느꼈는데, 거기서 난 정말 새로운 것들을 많이 해 볼 수 있었다. 구직 인터뷰의 심사자로 직접 참가도 해보고, 제품과 서비스 기획도 해봤지만, 그중에서도 기획은 정말 색다른 경험이었다. 내가 직접 기획을 하며 데드라인을 정하고, 파트별로 담당자를 정하면서, 이 일을 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익들, 그리고 downside 등등 여러 가지를 정리하는 일들은, 인턴인 내가 CEO의 일들이라고 생각해 왔기에 더욱 어색해졌던 순간들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덕분에 그 어색함을 이겨낸 뒤에는 개발을 넘어 총괄적으로 제품의 기획과 협업들을 보는 눈이 조금이나마 생기게 되었다.최종 가칭 '핀다봇 (챗봇)' 기획서의 일부를 공개하면 아래와 같다.Objective 핀다봇을 만든 이유?Conversational Commerce 트렌드에 맞춰 대화 형식의 보다 적극적인 금융 상품 추천을 해주기 위해서Facebook Messenger이라는 플랫폼에 개개인의 금융 상품 추천이라는 새로운 시도좀 더 친근하게 사용자들에게 접근하여 자연스러운 웹사이트로 유입 유도할 수 있다는 판단특히 심심이와 같은 인공지능에 관심과 호기심이 많은 젊은 층들의 관심을 이끌고자 함Who 유저들에게는 어떤 혜택이?어렵기만 했던 재밌게 놀 듯이 금융상품을 찾을 수 있음.   봇의 가장 좋은 점은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부담이 없다는 점이죠. 같은 질문을 여러 번 해도 되고, 기다리지 않아도 되고, 기분 나쁘면 욕을 해도 됨.  홈페이지에 가면 뭐를 어떻게 해야 될지 모를 수 있지만, 봇은 처음부터 무엇을 입력, 말해야 될지 차근차근 말해주기 때문에 시키는 것만 형식에 맞춰 말하면 간단. 귀찮음이 많은 사람들, 또는 웹사이트나 컴퓨터 자체를 잘 다룰 줄 모르는 연장자 들이나 어린이들에게도 더 쉬운 인터페이스 가 될 것.  How 어떻게 사용?일단 아무 말이나 걸어봅니다.  봇이 알아듣지 못하면 가이드를 해줍니다. 가이드에 따라 질문을 하고 대답을 해주시면 됩니다.#일당백의 구글 캠퍼스사람들인턴 마지막 날, '핀다 Finda' 가족들과 함께...  Miss you guys!구글 캠퍼스의 사람들은... 정말 하나같이 다들 아주아주 똑똑하고 열정적이다. 어디서 와서 여기 다 모여있나 싶을 정도로. 나는 내가 똑똑하고 열정적인 줄 알았고, 실리콘밸리에 있는 회사들이 똑똑하고 열정적인 줄 알았다. 근데 정말 능력 있고 대단하면서도 열정과 아이디어를 겸비한 분들이 너무 많다. 매일 2,3번씩 미팅룸에서 무언가를 열심히 회의하고 정하고, 회의가 끝나 문을 열고 나오면 바로 책상에 앉아 제품을 만든다. 실리콘밸리에서 인턴 할 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점심 먹고 낮잠을 자고, 6시가 되기 전에 퇴근을 하던 사람이 있던 곳에서 일을 하였던 나는 처음엔 조금 비교적 빡시다는(?) 생각을 했지만 이내 그렇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핀다 라는 회사가 누가 봐도 매력적인 회사로 성장할 수 있지 않았을까?그렇다고 한국인의 다양한 천성 중에 일만 열심히 하나? 그건 아니다. 다양한 스타트업 팀원분들과 회식, 다양한 이벤트, 런치 어택, 다른 엑셀러레이터인 마루 180과 함께하는 exit 파티 등등 오히려 실리콘밸리에서는 찾아서, 운전해서 먼길을 가야 함에 가지 않게 되었던 다양한 행사들을 더 많이 가게 되었다. 나는 감히 한국에서도 스타트업 생태계가 점점 잡혀가는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했다.#P.S. 인턴이 끝난 후의 여운이제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 학업을 마쳐야 한다. 한국은 희한하게도 3개월 개발 인턴직은 많이 뽑지 않는다고 들었는데, 3개월 동안 개발한 제품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이 더 들어가기 때문이라고 들었다. 그런데도 나를 믿고 받아준 회사가 고맙고, 핀다 같은 회사들이 좀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그리고 내가 만든 챗봇에게..scratch부터 시작해서 실제 상용되는 제품을 만들어본 것은 사실 이번이 처음이다. 그래서 그만큼 애정이 많이 간다. 한글 text parse기능과 인공지능을 좀 더 상향시켜 기본적인 대화가 가능하고, 금융지식을 제외하고는 초등학생 정도의 지능과 말주변 정도를 갖게 하는 것이 최종 목적이었는데, 시간도 짧고 무엇보다 내 능력이 부족해서 아직 유치원 수준도 안 되는 것 같다 (미안해 봇아..) 그래서 과감하게 다음 학기에 우리 학교에서도 어렵다던 AI 수업을 질렀다. Machine Learning수업을 듣긴 했지만, 학습시킬 충분한 데이터가 없었을뿐더러 일단 나의 능력이ㅠㅠ 부족하였기 때문에 배운 것들을 써먹을 수조차 없는 내가 한심스러워 제대로 배워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봇아 조금만 기다리렴 형이 공부 열심히 해서 더 똑똑하게 만들어줄게ㅎㅎㅎㅎ*당부의 말씀 : 핀다의 챗봇은 가칭 '핀다봇'으로 오픈을 준비 중입니다. 제 봇이 아직은 많이 부족할 겁니다. 하지만 금융상품에 대한 지식은 누구보다도 많이 아는 똑똑이이니 많이들 이용해주세요ㅎㅎ~~ 더 많이 사용하실수록 더 똑똑해질 겁니다! (아마?)금융은 특히 남에게 이야기 하기엔 사적인 부분도 많고, 학교에서 본격적으로 배운 적이 없기에 금융 지식 수준의 차이는 개개별로 엄청나다. 그럴 때, 다양한 금융 및 경제정보와 상품 정보까지 가지고 있는 핀다(Finda) 라는 기업이 친구처럼 다가갈 수 있으면 좋겠다. 부담없이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금융친구. #핀다 !친구와 텍스트로 소통하는 것처럼, 이제는 기업과도 텍스트로 편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쉽고 빠른 금융상품 쇼핑,핀다가 가능케 하겠습니다!핀다의 SW 디벨로퍼백종규 드림 Talan from FindaSoftware Developer#핀다 #개발팀 #개발자 #소프트웨어개발 #팀원소개 #커뮤니케이션툴
조회수 3293

경험 부족한 스타트업의 devops 도입기 1편

개발과 운영을 함께 devops - 출처당분간의 일기 내용앞으로 몇 개월 간 신생 스타트업 I/O가 어떻게 devops를 자기네만의 스타일로 조직에 안착시켜 나가는지 그 시행착오를 생생하게 공유하는 일기를 쓰려고 합니다.첫 번 째 편인 오늘의 이야기는 두 가지 내용을 다룹니다.devops 도입배경: 어떻게 하다가 devops를 도입하기로 했는지 그 배경에 대에서 이야기 합니다.devops 필요성 인지: 가장 먼저 소프트웨어팀이 devops 필요성을 느끼도록 시도한 스터디 세미나에 관한 이야기를 합니다.devops 도입 도중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1편이 마지막 연재일 수 있습니다. 혹은 온갖 개고생을 해가면서 결국 devops를 성공적으로 조직에 안착시켜 tech기업다운 모습을 갖출 수 도 있습니다. 정답은 시간이 얼마간 흐른 뒤에야 알 수 있겠죠? 무언가를 조직에 도입하는 스토리를 사후적으로 그러니까 프로젝트가 끝난 후에 쓰게된다면 프로젝트 과정의 생생함이 퇴색됩니다. 힘들었던 추억도 되돌아보면 미화되듯이 그 당시에 골치아팠던 일들을 그 당시에 써놓지 않으면 까먹을 때가 꽤나 많습니다. 한 편으로는 이렇게 칼자루를 뽑아놔야 반드시 devops를 성공시키기 위해 제가 더 처절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 나약한 마음이 바뀌지 않기 위해 devops 시작과 동시에 연재물도 함께 시작하겠습니다.devops 도입배경스위처 M 앱이 출시된지 약 한 달 정도 되었습니다.경영을 해오면서 항상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지만 이번에는 조금 심상치 않았습니다.“아.. 라이브서비스를 하기엔 현재 I/O의 소프트웨어 역량이 심각하게 부족하구나! 하드웨어 역량이 Critical Path일 줄 알았는데 되려 소프트웨어가 우리의 발목을 잡고 있구나..”그동안 하드웨어 멤버들은 초심자의 마음과 책임감을 동시에 갖고 무서운 속도로 성장해왔습니다. 새로운 버전의 스위처(M)에 적용된 기구설계 수준, Supply chain 관리 능력, 블루투스 모듈 성능은 이전 버전(W) 비할바가 안됩니다. 놀랄만큼 일취월장 했습니다. 단적인 예로 현재 스위처M의 블루투스 연결 거리는 오픈필드에서 70m이상 나옵니다. 이전 세대인 스위처W의 연결거리가 약 20m 미만임을 감안하면 연결성이 300%이상 좋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반면 소프트웨어팀은 여전히 초보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공분야라는 자만심에 소프트웨어를 밑도 끝도 없는 구렁텅이에 밀쳐 넣고있는 제 자신을 발견 했습니다. 창피했습니다.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초기고객으로부터 어처구니없는 버그 리포팅을 받을때면 쥐구멍으로라도 숨고 싶었습니다. Customer Service역할까지 도맡아하는 마케터가 수 많은 컴플레인을 대응하느라 정말 고생이 많았습니다.심각한 문제는 소프트웨어팀이 문제의 원인이 무엇인지 조차 잘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었습니다. 그저 열심히 다음 피쳐를 개발하기 위해 코드를 짜내는 데에만 자신을 몰아붙이고 있었습니다.그 모습은 한 편의 코메디 영화를 보는 것 같았습니다.<디버깅루프>(1) 배포한 기능에 버그가 처음으로 발견됩니다.(2) “엇 이상한데? 그럴리가 없는데?” 일단 현실을 부정하고 지켜봅니다.(3) 한 두 명의 문제가 아니라는 버그리포팅이 들어옵니다.(4) 부랴부랴 원인을 추측하고 핫픽스 코드를 짜기 시작합니다.(5) 개발을 마치고 일단 배포해 봅니다.(6) 그런데 해결될 줄알 았던 버그가 다시 보고됩니다.그렇게 상황은 2번으로 돌아가 이 디버깅루프를 몇 바퀴 돌고난 후에야 잠잠해집니다.하하… 개판이구나 — 출처:구글 이미지 검색허나 이미 많은 고객들이 불쾌한 UX를 겪고 난 뒤… 이대로는 도저히 구상하는 I/O의 큰 그림에 도달할 수 있을 것 같지 않아, 당분간 제가 CTO역할을 도맡아서 하려고 합니다. 벤 호로위츠가 쓴 Hardthing에서 C-level의 포지션이 비어있을 경우 진짜 적임자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그 역할을 CEO가 직접 수행하기를 권장합니다. 이제까지 바쁘다는 핑계로 조직 부채, 기술 부채를 안고왔었는데 최근 Event3 사고를 겪으면서 이젠 이 부채들을 털어내고 나아가야 겠구나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직접 현장으로 다이빙해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과 함께 악전고투하기로 했습니다.린스타트업에서 말하는 5-why기법을 적용해보니. 근본적인 원인은 이것이였습니다.주먹구구식으로 Product Live service가 운영(operation)된다.엔지니어들의 코드 퀄리티가 낮아서가 아니었습니다. 알고리즘을 몰라서가 아니었습니다. 디자인 패턴을 몰라서도, 함수형 패러다임을 이해하지 못해서도, 동시성 문제를 몰라서도가 아니었습니다. 되려 I/O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의 CS 기본기는 나쁘지 않습니다. 저희는 엉클밥, 켄트백, 마틴파울러를 존경합니다.바보야, 문제는 코딩이 아니야!문제는 경제가 아니야, 바보야!저희 팀의 제일 큰 문제점은 그냥 예전 처럼 새로운 feature 코드를 찍어내는일이 Product Live service operation의 전부라는 사고방식입니다. 배포되는 코드가 얼마나 신뢰할만한지에 대한 고민은 전혀 없고 밀어내기식으로 다음 기능을 추가하는 데만 몰두했습니다. 실상 지금의 스위처에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위해 코딩을 할때가 아니었는데 말이죠. 쿼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인덱싱을 고민 할 때가 아닌데 말입니다. 정작 Product Live service operation에 필요한 일들(tasks)을 수행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이 문제가 발생한건데 말이죠.린스타트업의 MVP 관점을 포기하고 완벽한 제품을 내보낸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그 Minimum Viable Product 조차 제대로 작동이 못시키는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서 입니다. 스크럼으로 조직 tasks를 관리해왔지만 소프트웨어팀은 devops로 거듭나야할 때가 왔음을 느꼈습니다.최소한의 검증 절차도 없이 버그가 담긴 소프트웨어가 고스란히 고객에게 전달되는 악몽을 더 이상 마주해선 안됩니다. 불편함을 겪는 고객을 위해서라도 경쟁력을 잃어가는 조직을 위해서라도 곁에서 힘들어하는 동료들을 위해서라도 소프트웨어팀은 변해야만 했습니다.devops 필요성 인지멤버들에게 제가 방금까지 이야기한 문제점을 전달하고 각자 devops가 무엇인지 공부하기로 했습니다. 일주일간 리서치를 마친 후 한 명씩 돌아가면서 devops가 무엇인지 발표하는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결론부터 말해 devops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은 성공적으로 첫 걸음을 뗀듯 합니다. 모두들 세미나를 준비하면서 그동안 무엇이 문제인지 조차 모르는 상황은 벗어나 보였습니다. 한 명쯤은 “devops는 필요없습니다. 지금처럼 해도돼요!”라는 반응을 예상하기도 했는데, 모두가 겸손의 자세로 지금까지의 문제를 반성하고 변화의 필요성을 절감했습니다. 끊임없이 성장하려는 자세를 가진 I/O 멤버들에게 참 고맙습니다.우린 여기에서 어디쯤..?펌웨어 개발자는 우리의 현재 모습이 위의 그림에서 나오는 원숭이조차 안되는 것 같다고 고백 하기도 했습니다. 그만큼 I/O 소프트웨어팀은 변화를 갈망하는 단계로 무사히 넘어왔습니다. 성공적으로 devops의 필요성 공감대를 형성 시킬 수 있었던 요인은 slow-start 덕분인듯합니다. 초기 고객분들이 실험대상이 된것 처럼 말해 죄송하지만, 작은 규모로라도 Live를 진행하고 거기서 작게나마 사고를 치도록 내버려둔 환경이 devops의 필요성을 받아들이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만약 처음부터 무리해서 스케일업을 시도했다면 그래서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의 사고가 동시다발적으로 터졌다면 저희는 자멸하고 말았을 겁니다. 아니, 기다리는 많은 고객들의 기대감에 지레 겁먹고 최대한 소프트웨어 출시 일정을 늦췄겠죠. 그리고 그렇게 절벽에서 등 떠밀리듯이 제품을 출시해서 줄을 잇는 버그 리포팅을 받아보며 평정심을 잃고 말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제품 판매수량을 조절했기 때문에 개발자가 문제를 직시해볼 기회를 가졌고 devops의 필요성은 조직에 쉽게 받아들여질 수 있었습니다.물론 devops 세미나를 진행하면서 안좋은 냄새(징조)를 맡기도 했습니다. 저에게는 행운이죠. 사전에 미리 문제를 파악할 수 있어서. 그 냄새는 도구만능주의 였습니다. devops 도달하기 위해서는 시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tool들을 최대한 빠르게 도입해야 할것만 같은 느낌을 말합니다. devops tool들만 제대로 구축한다면 devops도 저절도 실현될것 같은 기대감에 젖습니다. 이 도구만능주의가 만연해지면 devops의 본질은 보지 못한 채 최신 tool 사용에만 집착하게되는 오류를 범하고 맙니다.다행이 I/O의 도구만능주의는 심각한 수준까진 아니고 누구나 초기에 충분히 실수할 수 있는 미약한 수준이었습니다. 사실 제가 예전 스타트업에서 스크럼을 도입할 때도 빠졌던 도구만능주의가 묘하게 겹쳐보여서 낌새를 비교적 빠르게 눈치 챌 수 있었습니다.출처 : 구글 이미지 검색devop는 문화와 운동(movement)입니다. 즉, 무형에 가까운 개념입니다. tool이 아니라 행위(action)와 사상(idea)에 역점을 둬야 합니다. tool은 그저 거들 뿐이죠.간단한 사고실험을 해보겠습니다. 모든 microservices의 설정들을 chef와 puppet으로 관리하고 뱀부나 젠킨스로 빌드-배포-리포팅 파이프라인까지 구축한 devops팀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달리 말해, 이 팀은 커맨드 입력 한 번으로 방금 짠 코드를 고객에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어느날 이 팀에 속한 개발자 A가 지난 일주일간 개발해온 피쳐를 지금 막 마무리 지었습니다. 이어서 A는 devops tool로 구축한 배포 파이프라인 이용해 아주 간단하게 새로운 기능을 업데이트 하기로 했는데요. 과연 괜찮을까요? 최신 devops tool로 중무장 했으니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잠시 후 그렇게 배포된 기능을 써본 고객들이 컴플레인을 걸어옵니다. 잠시 화장실을 다녀온 엔지니어는 허겁지겁 hotfix 코드를 다시 짭니다. 그래도 괜찮습니다. A가 속한 팀은 최신 devops tool이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금방 hotfix를 재배포할 수 있으니까요. 그런데 이장면 어디서 익숙하지 않나요? 앞에서 소개한 디버깅루프와 비슷해 보입니다.출처 : 구글 이미지 검색과연 이게 devops일까요? tool들을 전부 사용하는게 진정 devops의 실현일까요?코드를 리뷰하지도 자동화된 테스트 코드를 실행해보지도 않은 상태에서 지속적 배포는 그저 똥을 더 자주 고객에게 전달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높은 품질의 제품은 보장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부터 해야할까요?Next Iteration저는 장황한 계획을 혐오합니다. 계획을 짜내느라 쏟는 에너지와 시간이 너무 아깝고 무엇보다 계획대로 진행될 확률이 낮기 때문입니다. 대신 저는 스타트업 환경에 맞는 방식으로 일하기를 선호 합니다. 비교적 긴 시간이 필요한 프로젝트 성격의 일을 할 땐 북극성의 위치만을 기억합니다. 쉽게 말해 우리가 산출해야하는 프로젝트 결과물만 생각합니다. 북극성까지 도달하는 정해진 길 따위는 없다고 가정합니다. 혹시 있었다 해도 그냥 잊어버립니다. 스타트업의 리스크는 워낙 변화무쌍하거든요.계획 대신 무던히 아래 두 가지 행동을 반복합니다.(1) 고개를 들어 몸이 북극성 향하도록 합니다.(2) 고개를 숙여 한 발짝 전진합니다.출처 : 구글 이미지 검색프로젝트가 끝날 때 까지 위의 두 가지 과정만을 반복하려고 합니다. 저는 이 과정을 baby step이라고 하는데요. 욕심내지 않고 작게 작게 한 번에 하나씩 차근차근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지금 내 딛은 한 걸음이 틀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괜찮습니다. 한 걸음 나아간 다음에는 반드시 고개를 들어 내가 북극성과 가까워졌나 멀어졌나 확인하면 되거든요. 방향이 맞다는 판단이 서면 한 걸음 더 나아가고 틀린 예감이들면 방향을 조절하면됩니다. 만약 판단이 애매하면 더 끌리는 쪽을 택하면 됩니다. 단, 절대 바닥만을 주시한채 두 걸음 이상 걷지 않습니다.devops까지 도달하는 데 지름길은 전혀모릅니다. 하지만, devops라는 북극성은 저에게 명료하고 분명한 목표입니다. devops에 조금이라도 가까워지기 위해 지금 당장 해야하는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세미나를 진행하면서 그리고 세미나를 돌아보면서 치열하게 고민했습니다. 그렇게 집중하고나니 당장해야 하는 일 3가지는 다음과 같았습니다.(1)코드리뷰(2)테스트코드 작성(3)이슈 관리 프로세스이 세 가지의 일이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정답인지 아닌지는 얼마간 시간이 흐른 후에야 알 수 있겠죠? 다만, 저희는 늘 저희가 하던 방식대로 용기를 갖고 baby step을 무던히 수행해 나갈 것입니다. 다음화는 위의 세 가지 일을 진행하면서 겪은 시행착오를 공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긴 글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스위쳐 #Switcher #DevOPS #데브옵스 #개발자 #개발 #개발문화 #디버깅 #버그수정 #인사이트
조회수 1352

사랑과 매출

#1. 2012년 두바이, 삼성전자 사원공항을 나오자 바람이 뜨겁다. 사막의 열기가 나를 덥친다. 가슴이 답답해졌다. 나는 노트북을 움켜쥐고 급히 택시를 탔다. 입사 2년차 첫 출장이었다. 대한항공을 타고 8시간을 날던 중 문득 두려움이 엄습했다. '책상머리에 앉은 백면서생일뿐인 내가 무얼 할 수 있을까.'보고서 외엔 할 줄 아는 게 없는 인생. 난 새로운 길을 찾을 수 있을까."웰컴 투 두바이"금발의 리셉션 여성이 환하게 맞아준다.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같은 복도를 지나 객실로 들어온다. 캐리어를 내려 놓으니 이제야 쓸쓸해진다.      다음 날 첫 출근길. 오피스는 도보로 10분이었다. TF 멤버는 총 4명이었다. Global Strategy Team 출신의 인도인 엘리트 팀장, 본사 한국인 부장, 두바이 현지 매니저, 그리고 막내인 나.  TF는 초반부터 난항을 겪었다. Kick-off는 연신 미뤄졌다. 프로젝트 추진안은 일주일 넘게 계속 바뀌었다. 팀장과 부장의 의견차가 좁혀지지 않았다. 현지 매니저는 회의실 전화와 인터넷을 설치해준 이후 잘 보이지 않았다. 현지 파견 유럽인 컨설턴트는 이건 말이 안돼라며 난색을 표했다. 나는 어리숙하고 무능력한 사원일 뿐이었다.어느 날 현지 영업왕으로 불리는 부장과 인터뷰를 했다. 짙은 눈썹, 부릅뜬 눈, 불독같이 생긴 그는 아랫배만큼은 인자함을 드러내고 있었다. 그의 사무실 벽에는 '2013년 매출목표 $XXX 달성'이라는 커다란 현수막이 달려 있었다. 부장은 자신이 얼마나 잘 나가는지, 영업을 얼마나 잘 하는지, 매출이 얼마나 높은지를 연신 자랑했다. 20년 넘도록 매일 매출을 위해 살아온 그였다. 그의 눈빛에서 짙은 자부심과 열정이 느껴졌다. 주말엔 공원에 갔다. 나는 잔디밭에 누워 생각했다.'언젠가 내가 하루종일 내뱉는 단어들이 매출, 실적, 보고 이런 게 아니라 사랑, 희망, 기적 이런 것들이었으면 좋겠다.'#2. 2018년 서울, 퇴사학교 대표월요일 아침부터 비가 쏟아진다. 이런 날은 정말 출근하기 귀찮다. 출근을 안 해도 아무도 뭐라고 하지 않지만 내 안의 또 다른 내가 말한다. "그래도 오늘은 주간회의잖아. 팀원들과의 약속을 지키라구."창업 후 2년이 지났다. 첫 1년은 미치도록 일만 했다. 일 말고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작은 회사, 아니 아직은 회사라고 부를 수도 없는 어떤 조직. 이 조직을 정말 멋지게 만들고 싶었다. 회사와 개인의 비전이 일치되고 각자가 행복한 일을 찾는 그런 조직. 내가 만든 회사도 그러길 바랬고, 내가 만나는 사람들이 다니는 회사도 그러길 바랬다. 좀 더 오버해서, 대한민국 회사와 개인들이 모두 그런 방향으로 갈 수 있기를 바랬다. 거기에 내가 조금은 기여할 수 있기를, 지난 2년간 의욕적으로 바래 왔었던 것 같다. "고단하네요."오늘 워라밸 워크숍에서 내가 한 말이다. 워라밸. 나에게 그런 건 없었다. 워크와 라이프가 하나니까. 두 개가 다르지 않으니 밸런스 같은 건 의미가 없었다. 그냥 워크가 곧 라이프고 라이프가 곧 워크인 삶.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다. 좋을 때도 있고 힘들 때도 많다. 인생은 복합적이다. 늘. 항상 한 쪽만 비추는, 또는 한 쪽만 보려는 관점은 내겐 늘 버겁다. 이제 나는 6년 전과는 많이 달라졌다. 미팅을 하고 출장을 다니고 강의를 하고 제안을 한다. 관리를 하고 운영을 하고 챙기고 혼내고 가르치고 거절당한다. 매일 산을 넘고 강을 열댓번 건너고 비를 맞고 바람에 흔들거린다. 이젠 책상머리 서생은 아니지만, 여전히 삶에선 백면서생이다. 나는 이제 그 두바이의 부장이 부럽다. 하루종일 내 입에서 '매출, 실적, 보고'와 같은 단어를 말하지만, 아직 그 부장같은 눈빛을 지을 순 없다.나는 지금 사랑보다 매출을 원한다. 그래도 언젠가는 다시 꿈 꾸고 싶다. 매출보다 사랑을 내뱉는 날을 다시 꿈꾸고 싶다. 에드워드 호퍼, 밤을 지새우는 사람들, 1942#퇴사학교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회수 1811

니들이 브랜딩에 대해 알아!?

브랜딩에 관한 이야기브랜딩을 총괄 책임지고 계시는 김성철 상무이사님의 브랜딩 강연에 관한 내용입니다.강연이 시작되기 전 이사님이 한 말씀해주셨습니다.'사람들의 인사이트에는 답은 없다'시작하겠습니다.결정과 실행 / 블루오션은 존재하지 않는다1. 브랜딩 '강점'을 무기로 삼아라- 약점을 보완하는 방법을 하면 모두가 실패하는 법,차라리 브랜딩의 중요한 요소는 자사가 소유한 가장 큰 '강점을 무기로 삼아야 한다.2. 경쟁사가 아닌 소비자를 공략하라 (제안하기)- 정말 누군가 이기는 게임을 하는 게 옳은 방법은 아니다.- 지금 현재 중요한 단어'내가 소비자에게 어떤 걸 제안할 수 있는지' 그러한 제안이 수요창출을 만들 수 있는지 고민해야한다.- 소비자를 공략할 게임을 찾아야한다. 이기겠다는 명목하에 한다면 질 수 밖에 없다.3. 씨줄과 날줄 안에 소비자를 가둬라.- Life Time Value- 애플을 개인적으로 좋아하지 않는다. 하지만 애플은 씨줄과 날줄을 정말 잘  만든다 (itunes)- 플랫폼을 잘 봐라. 자신들의 플랫폼에 소비자를 가둬 넣었다.4. 브랜드의 경계를 뛰어 넘아라.- 업의 경계를 뛰어 넘어라. 네이버는 삼성과 싸워야한다. 전통방식으로는 내 업종이 아니라 무시할 수 있지만,코어벨류를 생각하라.5. 알리지 말고 표현하라.- 전통적 광고의 시대는 끝났다.- 모든 것들의 접점에서 표현하라.- 내가 어떤 사람인지를 표현하는 방법을 연구해야한다.ex) 현대카드는 '교회오빠'를 싫어한다. 삐뚤어지고 시장의 질서를 깨려는 브랜딩의 느낌을 만들고 있다.6. 자신만의 고유한 화법이 표현을 완성한다.- '애플의 30년'이라는 책이 있다. 그 책은 애플의 제품 역사가 담겨 있는데,컴퓨터 사양과 같은 내용은 없고 그냥 이미지만 있다. 비싼 컴퓨터인데, 제품 사용 설명서도 허접하다.그게 애플의 표현 방식이다.7. 스피릿을 공유하라- 철학과 정신은 정말 중요하다.- 내가 가진 확실한 정신을 알아야한다.- 설령 제품에도 철학과 정신이 있어야한다. ex) 아이리버와 아이팟 누가 성공했나?- 아이팟이 성능면에서는 떨어졌지만 사람들은 아이팟을 선택했고, 결국 애플이 이겼다.철학과 정신이 새겨있지 않으면 사람들은  관심있게 못 본다.8. '게임의 규칙은 내가 정한다' (제일 중요한 부분)- 기울어진 운동장에서는 축구를 하면 기울어진 쪽이 유리하고 이긴다. 그러면 따라가지 말고 차라리 물을 채워서 수영을 해라.- 말도 안되는 시장에서 내 마음대로 정해라- 현대카드 : 대한민국 신용카드가 손해가 연 2000억인데 신용카드 발급하면 돈을 못 번다. (그래도 한다. 싸움은 늘 내가 하고 싶은대로 해야한다.브랜드 = 만능의 열쇠?1. Quality2. Awareness3. Assocition4. Loyalty아니다. 생각이 바뀔 수 있다.새로운 정의파워브랜드는 약속하지 않는다. 다만 기대하게 만들 뿐이다.생각해보자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이 약속을 한 적이 있나?한번 자세하게 알아보자한국 대기업들은 '고객을 믿습니다' 맨날 고객타명만 한다.이케아를 '정직한 가격에 스타일리쉬한 제품을 만듭니다' 이게 브랜딩입니다. 약속 ㄴㄴ해요핵심- 더 좋은 이념을 정립하라- 소비자들이 알아서 구매할 것이다.- 싸움의 법칙을 가져가서 해라김성철 상무이사님은 '황금펜타곤'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심사역을 맡았다.거기서 만난 스타트업은 '호텔나우','마이리얼트립' 등이 있었다.이들의 회사 신념은 명확하고 단순했다.호텔나우 : 실시간으로 싼 호텔 공급하겠다.마이리얼트립 : 지긋한 패키지 여행 싫다. 시장을 바꿀 것이다.존재 이유에 대해 확립하는게 제일 중요하다.Quantum leap = 브랜드는 축적의 과정축적은 시간으로 만드는게 아니라 이념과 신념의 누적치이다.사례를 한번 보자.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이 대선 후보로 참여했지만, 결국 포기했다. 왜?여러가지 이유가 있었겠지만사람들에게'유엔사무총장의 브랜드는 있었지만''반기문이라는 브랜드는 없기 때문이다'브랜드는 명사가 아니라. 동사다. 동사로 자리잡는 것을 공부해야 한다.+ 질문 나온 이야기"디자인과 브랜딩은 중요하다. 로고라든지 인지를 시키기 위한 전략적 지침에 대해 설명해달라"현대카드는 3가지 키워드로 구성되어 있다.- 심플: 모든 커뮤니케이션을 간단하게- 골드: 아웃스탠딩한 남들이 안하는 걸 심플하게- 위티: 보다 사람들과 웃을 수 있도록브랜드가 가져야할 단어 2~3개를 가지고 디자인에 비쥬얼 매칭이 되는지 중요하다.추가 이야기소비자의 인사이트를 안다?아니다"소비자는 하고 싶은대로 하는거에요. 정답과 트렌드가 없기 때문에 브랜딩이 어렵다고 하는거죠"실시간 질문앱 오누이에서 마케팅을 담당하는 건포어입니다 :)저도 강연을 들으며 새삼 브랜딩에 대해 고민을 해야하는 시간을 가져야겠습니다.나중에 "오누이"에 대한 브랜딩 이야기도 글로 써보겠습니다 ^^#오누이 #인사이트 #경험공유 #브랜딩 #브랜드 #마케팅 #마케터 #이벤트참여 #후기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