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홈

인터뷰

피드

뉴스

조회수 1974

Circle CI에서 rbenv를 이용해서 Ruby 2.2와 CocoaPods 0.39 버전 사용하기

최근 Circle CI에서 Ruby 버전을 2.3으로, CocoaPods 버전을 1.0으로 업그레이드함에 따라 발생하는 빌드 문제를 rbenv를 이용해서 해결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최종적으로 완성된 Gemfile과 circle.yml 파일은 마지막 섹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1. CocoaPods 1.0지난 2015년 12월에 CocoaPods 1.0.0 베타 버전이 처음 공개되었습니다. CocoaPods이 1.0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면서 굉장히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요. 가장 큰 변화는 DSL입니다. 추상 타겟Abstract Target과 타겟 상속Target Inheritance이 새롭게 소개되면서, 0.39 버전까지 자주 사용되던 link_with 및 :exclusive => true와 같은 구문이 제거되었습니다.이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던 Podfile이 CocoaPods 1.0 버전과는 호환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새로운 DSL을 사용하여 Podfile을 다시 작성하는 것이지만, 꽤 많은 서드파티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StyleShare의 경우 새로운 DSL을 적용하여 빌드하면 각종 문제로 인해 빌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4년동안 유지되고 있는 프로젝트이다보니, 레거시 Objective-C 코드와 라이브러리, 그리고 새로운 Swift 코드와 라이브러리가 혼용되어 사용되는 것도 원인 중 하나일 것입니다.따라서 StyleShare에서는 CocoaPods 0.39 버전을 사용하기로 결정을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Circle CI에서 CocoaPods 버전을 공식적으로 1.0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면서 빌드가 깨지기 시작했습니다. Circle CI 환경에서 CocoaPods 0.39 버전을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ㅠㅠ2. Bundler를 이용해서 Gem 관리하기Bundler는 Ruby로 작성된 라이브러리들의 버전을 관리해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CocoaPods에서 Podfile에 의존성을 기재하듯, Bundler에서는 Gemfile에 의존성을 기재합니다.source 'https://rubygems.org' gem 'cocoapods', '~> 0.39' $ gem install bundler 명령어를 사용하면 Gemfile에 기재된 의존성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해줍니다. 이렇게 설치된 CocoaPods을 사용할 때에는 $ pod COMMAND 대신 $ bundle exec pod COMMAND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gem install bundler $ bundle install --path vendor/bundle $ bundle exec pod --version 0.39.0 3. Ruby 2.3과 CocoaPods 0.39Bundler를 사용해서 CocoaPods 0.39 버전을 사용하기만 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더 큰 삽질이 남아있었는데요. 바로 Ruby 2.3 버전이 CocoaPods 0.39 버전과 호환되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bundle exec pod install Updating local specs repositories Analyzing dependencies 신나게 $ bundle exec pod install 명령어를 실행하니, 의존성을 분석하는 듯 싶다가 갑자기 에러를 주르륵 뱉습니다. 에러 로그의 #### Error 항목을 보면 에러 메시지가 나와있습니다.NoMethodError - undefined method `to_ary’ for #이 에러 메시지로 CocoaPods GitHub 저장소의 이슈를 검색해보면 꽤나 많은 이슈가 올라와 있습니다. 이 이슈들을 보면, 모두 Ruby 버전이 2.3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Ruby 버전을 2.2로 내렸더니 문제가 해결됐다는 댓글들도 굉장히 많고요. Circle CI의 Ruby 버전을 2.2로 낮추면 문제가 해결될 것 같습니다.Circle CI 문서 내용에 따라 circle.yml에 Ruby 버전을 기재해봅시다.machine: ruby: version: 2.2.5 그러나 Circle CI의 OS X 컨테이너에서는 Ruby 버전 변경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ㅠㅠ (2)4. rbenv를 이용해서 Ruby 2.2 사용하기그러다가 알게된 것이 바로 rbenv입니다. rbenv를 사용하면 여러개의 Ruby 버전을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rbenv는 Homebrew를 사용해서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brew install rbenv rbenv는 ~/.rbenv 디렉토리에 안에 여러 Ruby 버전을 설치하고 관리합니다. rbenv를 설치한 뒤 가장 먼저 할 일은 환경변수 $PATH를 설정해주는 것입니다. $PATH에는 $HOME/.rbenv/shims와 $HOME/.rbenv/bin 경로가 포함되어있어야 합니다.4.1 환경변수 설정하기Circle CI에서는 환경변수를 설정하는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Circle CI에서 실행되는 각 명령어는 별도의 쉘에서 실행됩니다. 그말인 즉슨, 각 명령어가 실행되기 직전에 새로운 쉘이 실행되고, $PATH 환경변수를 덮어쓰는 .bash_profile이 실행된 후 명령어가 실행된다는 뜻인데요. 이렇게 될 경우 $PATH 환경변수의 가장 우선순위는 항상 /usr/local/bin이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같은 이유로 $ export FOO=bar와 같은 명령어도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1고민을 하다가 생각해낸 방법은 바로 .bash_profile의 내용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우리가 원하는 $PATH를 항상 우선순위로 둘 수 있게 됩니다. 아래와 같이 환경변수를 설정하는 명령어를 .bash_profile의 가장 아랫줄에 삽입하도록 설정했습니다.machine: pre: - echo "export PATH=\$HOME/.rbenv/shims:\$HOME/.rbenv/bin:\$PATH" >> .bash_profile - echo "export RBENV_SHELL=bash" >> .bash_profile 4.2 rbenv에 Ruby 2.2 설치하기그 다음으로 할 일은 원하는 Ruby 2.2 버전을 설치하는 것입니다. $ rbenv install -l을 사용해서 설치 가능한 모든 Ruby 버전을 조회할 수 있고, $ rbenv install 2.2.5 명령어를 사용해서 2.2.5 버전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rbenv install -l Available versions: 1.8.5-p113 1.8.5-p114 1.8.5-p115 1.8.5-p231 ... $ rbenv install 2.2.5 이렇게 설치된 버전은 두 가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방법은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하는 것이고, 다른 한 가지 방법은 프로젝트 단위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하려면 $ rbenv global 2.2.5 명령어를, 프로젝트 단위로 사용하려면 $ rbenv local 2.2.5명령어를 사용합니다.global 명령어를 사용해서 Ruby 버전을 선택하면 ~/.rbenv/version 파일에 선택된 버전이 기록됩니다.$ rbenv global 2.2.5 $ cat ~/.rbenv/version 2.2.5 local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디렉토리의 .ruby-version 파일에 선택된 버전이 기록됩니다.$ rbenv local 2.2.5 $ cat .ruby-version 2.2.5 local 명령어로 선택된 Ruby 버전은 global 명령어로 선택된 Ruby 버전보다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 rbenv version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선택된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benv version 2.2.5 (set by /project/path/.ruby-version) Circle CI에서는 편의를 위해 global 명령어를 사용해서 Ruby 버전을 선택하도록 했습니다.dependencies: pre: - brew update - brew install rbenv - rbenv install 2.2.5 - rbenv global 2.2.5 4.3 Bundler 다시 설치하기rbenv를 사용해서 새로운 Ruby 버전을 설치했기 때문에, Circle CI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Gem도 다시 설치해야 합니다. 우리는 Bundler로 Gem 의존성을 관리하기로 했으므로, Bundler만 재설치합니다.$ gem install bundler --no-ri --no-rdoc $ rbenv rehash $ gem install 명령어를 실행한 후에는 $ rbenv rehash 명령어를 실행해서 executable 경로들을 재설정해주어야 합니다.4.4 ~/.rbenv 경로 캐싱하기rbenv를 사용해서 Ruby를 설치하는 과정이 굉장히 오래 걸립니다. 이 경우, Circle CI에서 제공하는 캐싱 기능을 사용해서 이 과정을 한 번만 하고 건너뛸수 있게 됩니다.dependencies: cache_directories: - ~/.rbenv 위와 같이 circle.yml를 설정해주면 컨테이너 실행시 ~/.rbenv 디렉토리가 캐시로부터 설정됩니다. 캐싱된 디렉토리를 사용하는 경우 Ruby 버전이 미리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 rbenv install시에 --skip-existing 옵션을 추가해주어서 캐싱된 버전을 재설치하지 않도록 합니다.5. 마치며최종적으로 완성된 Gemfile과 circle.yml 파일은 다음과 같습니다.Gemfilesource 'https://rubygems.org' gem 'cocoapods', '~> 0.39' circle.ymlmachine: pre: - echo "export PATH=\$HOME/.rbenv/shims:\$HOME/.rbenv/bin:\$PATH" >> .bash_profile - echo "export RBENV_SHELL=bash" >> .bash_profile xcode: version: 7.3 dependencies: cache_directories: - ~/.rbenv pre: - brew update - brew install rbenv - rbenv install 2.2.5 --skip-existing - rbenv global 2.2.5 - gem install bundler --no-ri --no-rdoc - rbenv rehash - bundle install --path vendor/bundle override: - bundle exec pod --version - bundle exec pod install https://circleci.com/docs/environment-variables/#custom ↩#스타일쉐어 #개발 #개발자 #개발팀 #후기 #일지 #인사이트
조회수 1360

스켈티인터뷰 / 스켈터랩스의 금손 이주현 님을 만나보세요:)

Editor. 스켈터랩스에서는 배경이 모두 다른 다양한 멤버들이 함께 모여 최고의 머신 인텔리전스 개발을 향해 힘껏 나아가고 있습니다. 스켈터랩스의 식구들, Skeltie를 소개하는 시간을 통해 우리의 일상과 혁신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들어보세요! 스켈터랩스의 하드웨어팀 금손 이주현 님을 만나보세요:)사진1. 스켈터랩스의 하드웨어 엔지니어 이주현 님Q. 자기소개를 부탁한다.A. 스켈터랩스의 하드웨어 엔지니어로 일하고있는 이주현이다.Q. 스켈터랩스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맡고 있는가.A. 현재는 스켈터랩스의 레고(L.ego)팀에서 곧 출시 예정인 스마트 미러, 샘(Samm)을 만들고 있다. 레고 팀은 스켈터랩스가 가진 원천 기술을 소비자가 쉽고 편하게 접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Device) 형태로 구현하는 팀이다. 우리의 원천 기술이 다양하다 보니, 이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여 어떤 제품을 만들어야 할지부터 고민한다.Q. 매번 새로운 기획을 하고 아이디어를 내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닐 것 같다.A. 그래서 다양한 소스를 참고하고 많은 사람에게 의견을 구하려고 한다. 킥스타터(Kickstarter)나 와디즈(Wadiz)와 같은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을 들여다보거나 DIY 상품을 여러가지 찾아보며 영감을 얻는다. 최근에는 레고팀 PM(Product Manger)이신 아영님의 소개로 산업디자인과 수업을 청강했다. 산업디자인이 내가 일하는 분야와 아주 밀접한 것은 아니지만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개진하여 그것을 발전시켜나가는 것을 보며 나 또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제품이 구체화되면 성공 가능성에 연연하지 않고 일단 개발을 시도하려 한다.Q. 실제로 제작하는 과정에서도 예기치 못한 문제에 많이 부딪히지 않나.A. 맞다. 참신해보였던 아이디어도 기능을 구체화하는 단계에 접어들면 자잘한 이슈가 생기기 마련이다.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기 때문에, 고객에게 제품의 어떤 기능이 유용할 지 예상하기도 쉽지 않다. 때문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와 디자이너, 마케터와 같은 다른 포지션의 동료들과 자주 미팅을 갖는다.제품의 구체화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더라도, 실제 구현이 녹록치 않다. 가령 곧 출시를 앞두고 있는 스마트 미러 제품, 샘(Samm)의 경우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인식하여 작동하는데 생각보다 카메라의 한계가 있더라. 그래서 요즘은 카메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센서를 활용하는 방법을 찾고있다.Q. 내가 상상했던 ‘일반적인 하드웨어 엔지니어'의 업무와는 조금 달라보인다. 기획자 역할까지 겸비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맞나.A. ‘일반적인 하드웨어 엔지니어'의 역할을 무엇이라고 정의하는지에 따라 다른 것 같다. 나는 오히려 스켈터랩스에서 하는 업무가 내가 생상했던 ‘하드웨어 엔지니어'의 업무다. 보통 엔지니어들은 직접 만들어보는 것을 좋아한다. 그렇지만 만들고 싶은 디바이스가 늘 회사의 방향성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집에서 홀로 개발하기에는 시간과 돈이 늘 부족하다는 하소연을 많이 듣곤 한다. 또한 회사의 규모가 커질수록 하드웨어 엔지니어는 하나의 제품을 깊게 들여다보기 때문에 전문가로 성장하는 반면, 내가 하고싶은 개발을 할 수 있는 기회는 줄어들기 마련이다. 하지만 스켈터랩스에서는 내가 상상한 디바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각종 부품을 조립하여 테스트하고, 응용하여 새로운 디바이스를 만들고 있다. 그래서인지 이곳이 내게는 딱딱한 회사의 느낌이 아니다. 정확히 내가 꿈꾸고 하고싶었던 일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곳이라고 느낀다.Q. 최근에는 어떤 디바이스를 만들고 있는가.A. 흔히 인공지능이라고 하면 일종의 어시스턴트를 많이 떠올리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이 ‘어시스턴트'라는 것이 너무 범위가 넓고 거대한 느낌이다. 나는 조금 더 작고 가벼운 기술, 그리고 특정한 범위 내에서 나의 일상에 정말 도움을 주는 제품을 개발하고 싶었다. 처음에는 방에 무드 조명이 있는데 ‘이 조명이 좀더 스마트하다면’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확장시켜나갔다. 피터팬에 등장하는 “팅커벨”이라는 캐릭터가 생각이 났고 원하는 분위기에 따라서 혹은 알람을 제공하기 위해 예쁘게 불빛을 밝혀주는 것이 초기 모델이었다. 가정에서 인공지능 스피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스피커를 실상 똑똑하게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꺼놓는 경우도 많이 보았다. 나 또한 구매 초기에는 열심히 사용하다가 요즘은 알람 기능 만을 사용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인공지능 스피커를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현재의 사용성과 음성으로 정보를 전달한다는 한계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스피커는 음성 명령을 잘 알아듣지도 못할 뿐더러, 내게는 스피커의 부자연스러운 음성이 시끄럽게 느껴지기조차 했다. 이런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무드 조명의 색 조합을 통한 정보 전달을 구상했다. 조명의 색깔로 전달한다면, 스피커처럼 음성이 다 끝날 때 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되고, 더욱 빠르고 덜 성가신 방법으로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프로젝트를 구체화하며 조명과 사물인터넷(IoT)에 대해 공부하고, 컨셉을 발전시키다 보니 사물인터넷을 통한 조명 컨트롤이라는 새로운 방향성이 생겼다.사진2. 이주현 님은 다양한 실험을 통해 최적의 디바이스를 개발하고 있다.Q. 스켈터랩스에 어떻게 입사하게 되었는지.A. 어릴 때 부터 아이디어를 내고, 그것을 실제로 구현해보는 다양한 활동을 좋아했다. 학부 시절에는 아이디어를 발제하고 이를 직접 만들어보는 소모임에도 참여하였다. 학부 전공이 전자공학이지만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관심도 컸다. 사실 인공지능은 소프트웨어 분야 아닌가. 그래서 졸업작품을 인공 지능 관련 디바이스로 정했을 때도 소프트웨어 관련 강의를 찾아 들어야했다. 그러다 현재 우리회사 하드웨어 엔지니어 파트의 리더를 맡고 있는 재경님을 만나게 되었다. 처음에는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 자문을 구하기 위해 뵈었는데, 재경님이 근무하고 계신 회사 얘기를 들으면서 입사에 대한 꿈을 키우게 되었다. 그렇게 우연히 스켈터랩스에 대해 알게된 것 같다.Q. 자발적으로 인공지능 관련 공부를 했다지만, 스켈터랩스에서 일하며 인공지능 기술 회사에 하드웨어 엔지니어로 근무하기가 녹록치않을 것 같다.A. 인공지능 기술을 비롯한 소프트웨어 전반의 공부를 계속 해야하는 것은 맞다. 그렇지만 스켈터랩스는 자발적으로 공부하기 좋은 문화를 갖추고 있고, 자연스럽게 최신 기술을 접할 수 있는 기회도 많다. 너와 나의 일을 규정짓고 나누기보다는, 무엇이든 스스럼 없이 질문하고, 함께 답변을 찾아 가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있다. 그래서 기술 하나를 물어보면 열을 가르쳐주려고 한다. A를 물어볼 때, 시간이 된다면 A부터 Z까지는 알아서 답변해주는 분위기 같다. Tech-Talk와 같은 사내 세미나를 통해서 강의 형태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접하기도 한다. 또한 하드웨어 팀 내부적으로도 공부에 대한 필요를 느끼고  자체 세미나를 진행한다. 거창한 것은 아니지만, 우리가 스켈터랩스 기술에 대해 알아야 할 부분을 각자 공부하고 공유하는 자리였다. 이러한 과정이 버겁기 보다는 좋아하는 분야를 더욱 심층적으로 접할 수 있어 좋다.Q. 스켈터랩스에서 일하며 느끼는 좋은 점을 자랑한다면.A. 스켈터랩스는 ‘일단 해보자'라는 분위기가 있다. 아이디어를 내면, 시간과 재화를 제공해주고 시도해볼 것을 권장한다. 작은 실패에 연연해 할 필요도 없다. 해보고 아니다 싶을 때, 그 때 가서 접어도 늦지 않다, 라는 쿨한 문화가 있다. 나와 같이 새로운 것을 생각하고 만드는 것을 좋아하는 이들이라면, 이곳이 정말 이상적이다. 집에서 혼자 하던 것을 ‘일'로서 지원받으며 할 수 있으니까 말이다. 그리고 정말 눈치보지 않는 문화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일하다 지칠 때면 블루룸(스켈터랩스에서 가장 큰 룸인데, 게임방으로 활용되고 있다)에서 게임을 할 수도 있고, 쇼파로 편하게 자리를 옮겨 일하기도 한다. 입사 초창기에 휴가에 대해서 미리 양해를 구하곤 했는데, 그럴 때마다 들은 말은 ‘알아서 할테니 걱정하지 말아라. 휴가썼다고 말도 하지 말고 떠나라' 였다. 이처럼 자율적인 문화에서도 각자 알아서 제 몫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는 것이 스켈터랩스의 가장 멋진 점이라고 생각한다.Q. 반대로 가장 힘든 점은.A. 아무리 하드웨어 엔지니어 파트에 대한 지원이 있더라도, 우리는 어디까지나 ‘인공지능 기술’ 회사다. 그렇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훨씬 많고, 프로그램 개발이 회사의 메인 테스크(Main Task)로 인식될 때가 많다. 전자공학을 전공했는데 인공지능 회사에 다닌다고 하면 의아해 하는 엔지니어들도 많다. 하지만 최근 하드웨어 단에서 인공지능을 작은 저전력 디바이스에 옮기려는 연구는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소프트웨어팀이 멋지게 구현한 어플리케이션 등의 서비스를 100퍼센트 전달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사진 3. 스켈터랩스의 블루룸에는 각종 게임이 구비되어있고 밴드부 연습실로 활용된다.Q. 스켈터랩스에서 업무 외에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A. 밴드, 축구, 헬스동아리까지 하고 있다. 취미가 음악이라 대학교 때부터 밴드부로 활동했는데, 그때마다 공간의 필요성을 절감했었다. 악기 대여비도 만만치않게 들지 않나. 스켈터랩스 밴드인 Terkels는 공간과 악기를 모두 갖추고 있다. 심지어 PA(Public Address) 앰프와 공연용 스피커까지 구비되어 있다. 축구 동아리에서 매주 1회 풋살 대결을 펼치고, 점심 시간마다 헬스 동아리원들과 함께 헬스장에 간다. 이렇다보니 부모님한테 ‘놀려고 회사가냐'라는 핀잔을 들을 정도다.Q. 많은 동아리와 업무를 병행하는 것이 힘들지는 않은가.A. 전혀. 오히려 동아리 활동으로 더욱 친해진 팀원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하는 업무이다보니 ‘일'이 아니라 일종의 ‘놀이'처럼 인식될 때가 있다. 그리고 스켈터랩스 특유의 문화가 겉으로는 느릿느릿 여유롭더라도 내부적으로는 치열한 부분이 있다. 축구동아리에 처음 참여했을 때 동아리원들이 ‘살살 뜁시다' 하더니 막상 경기 시작되자마자 엄청나게 공격적이더라. 살살 뛰는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무섭게 뛰고 공격하면서 골이 계속 터졌다. 헬스동아리는 최근에 생긴 동아리다. 여름맞이 몸을 만들기 위해서 여럿이 뭉쳐서 헬스장을 함께 간다. 헬스 자체가 함께 할 수 있는 운동은 아니지만, 그래도 시간을 정해서 함께 이동하다 보니 ‘오늘은 좀 운동하지말고 먹을까' 싶다가도 다른 분들이 가면 자극을 받게 되고, 더 열심히 운동하게 되더라. 일도 마찬가지다. 처음에는 ‘회사가 이렇게 놀게 해줘도 되나'했지만, 내부적으로 탄탄하게 서로 함께 놀고 일하며 자극과 영감을 받는 문화다.회사는 딱히 데드라인을 촉박하게 주지도 않고, 압박을 하는 경우도 없다. 그런데 다들 게임방에서 신나게 게임을 하다가도 다음 날이면 개발을 마친 결과물을 들고 온다. 자율적이지만 확실하게 자신의 업무에 대해 책임을 지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 그렇다보니 나 또한 자연스럽게 동아리 활동을 하다가도 오늘 하루 내가 끝내야할 일로 정해놓은 것들은 마치고 퇴근하려 한다.Q. 회사에 게임방이라니, 게임방 얘기를 듣고싶다.A.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다 보니 닌텐도를 비롯해서 엑스박스(Xbox),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을 비롯한 각종 게임기가 마련되어 있다. 다트와 탁구대, 당구대까지 준비되어 있다. 사무실을 성수로 이사하면서 테드님(Ted Cho, 스켈터랩스의 대표인 조원규 님은 사내에서 테드님으로 불린다)이 ‘모두가 놀 수 있는 공간을 만들겠다'라고 했었는데, 정말 놀이터를 만들어주시더라. 덕분에 점심시간마다 삼삼오오 모여서 각종 게임과 탁구, 당구를 즐기고 있다.Q. 하드웨어 엔지니어로서 최종 목표가 있다면.A. 테드님이 우리에게 자주 하는 말 중 하나가 ‘Don’t be evil’이다. 이 말은 사실 구글의 모토인데, 스켈터랩스의 모두가 공감하는 얘기다. 기업이 이윤을 추구할수록 소수에 대한 외면이 발생하기도 하고, 기술 기업으로서 수익 창출 만을 목표로 하면 정작 일상을 어떻게 더욱 편리하고 윤택하게 만들어줄 수 있는지를 쉽게 망각하는 것 같다. 사악해지지 않으면서, 정말 우리의 삶을 나아지게 하는 방법을 계속해서 고민하고 싶다.#스켈터랩스 #사무실풍경 #업무환경 #사내복지 #기업문화 #팀원인터뷰 #팀원소개 #팀원자랑
조회수 1882

MobX + React 10분 튜토리얼

* 이 글은 MobX의 MobX and React 튜토리얼을 번역한 글입니다.** 오역 및 오탈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발견하시면 제보해주세요!개요MobX은 간단하고 확장 가능하며 테스트를 거친 상태 관리 솔루션입니다. 이 튜토리얼은 10분 안에 MobX의 중요한 컨셉들을 모두 소개합니다. MobX는 독립적인 라이브러리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React와 함께 사용합니다. 그래서 이 튜토리얼은 MobX와 React의 조합에 중점을 두고 설명합니다.The core idea상태는 각 애플리케이션의 핵심입니다. 버그를 만드는 관리가 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가장 빠른 방법은 주변의 로컬 변수들과 동기화 되지 않는 상태나 일관성 없는 상태를 만드는 것입니다. 그래서 많은 상태 관리 솔루션들이 상태를 변할 수 없게 만드는 식으로 상태를 수정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한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새로운 문제들을 생성합니다. 데이터를 표준화 해야 하고 참조 무결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프로토타입과 같은 유용한 컨셉들을 활용하지 못하게 됩니다.MobX는 일관성 없는 상태를 만들 수 없도록 주요 문제를 해결하여 상태 관리를 간단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를 위한 전략은 간단합니다. 애플리케이션 상태로부터 파생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자동으로 파생되도록 하는 것입니다.개념적으로 MobX는 애플리케이션을 스프레드시트로 간주합니다.1. 가장 먼저 애플리케이션 상태가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의 모델을 채우는 객체, 배열, 원시, 참조의 그래프입니다. 이 값들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셀"입니다.2. 둘째로 파생 값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자동으로 계산될 수 있는 모든 값들입니다. 이 파생 값이나 계산된 값들은 완료되지 않은 todo들의 수와 같이 간단한 값부터 todo의 시각적 HTML 표현과 같은 복잡한 내용까지 다양합니다. 스프레드시트 용어로는 애플리케이션의 공식이나 차트가 있습니다.3. 리액션은 파생 값과 매우 비슷합니다. 주된 차이점은 값을 생성하지 않는 함수라는 점입니다. 대신 자동으로 특정 작업들을 수행시킵니다. 대체로 I/O와 관련된 작업입니다. 리액션은 적당할 때에 자동으로 DOM이 업데이트되거나 네트워크 요청을 하도록 만듭니다.4. 마지막으로 액션이 있습니다. 액션은 상태를 변경하는 모든 것들을 말합니다. MobX는 모든 사용자의 액션으로 발생하는 상태 변화들이 전부 자동으로 파생 값과 리액션으로 처리되도록 합니다. 동기화되고 결함이 없습니다.간단한 todo store이론은 충분합니다. 위의 내용을 유심히 읽는 것보다 실제 예시를 보는 것이이해하기 아마도 더 쉽습니다. 아주 간단한 ToDo store을 가지고 시작해봅시다. 아래의 모든 코드 블록들은 수정이 가능하므로 run code  버튼을 클릭하여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아래의 코드는  todo 목록이 포함된 매우 직관적인 TodoStore입니다. MobX는 아직 포함되지 않았습니다.우리는 todos 목록이 있는 todoStore 인스턴스를 이제 막 만들었습니다. 어떤 객체들로 todoStore을 채울 시간입니다. 변경 사항들을 보기 위해 각 변화 이후에 todoStore.report를 호출하고 로그를 남깁니다. 레포트는 의도적으로 항상 첫 번째 할 일만 출력합니다. 이 때문에 예시가 좀 인위적이지만 아래에서 볼 수 있듯이 MobX의 의존성 추적이 동적임을 잘 보여줍니다.결과:반응형으로 만들기지금까지 이 코드에서 특별한 것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report를 명시적으로 호출할 필요가 없다면 어떨까요? 각 상태가 변할 때마다 report가 호출되길 원한다고 선언할 수 있습니까? 그러면 report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 모든 코드에서 report를 호출해야 합니다. 최신의 report가 출력되기를 원하지만 그것을 모두 작성하고 싶지는 않습니다.운이 좋게도 이것은 MobX가 여러분을 위해 동작하는 것입니다. 자동으로 상태에 연관되어 있는 코드를 실행합니다. 그래서 report 함수는 스프레드시트의 차트와 같이 자동으로 업데이트 됩니다. 이를 위해 TodoStore를 관찰할 수 있어야 MobX가 모든 변경 사항들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를 수행하도록 클래스를 변경해봅시다.또한 completedTodosCount 속성은 자동으로 todo 목록에서 파생될 수 있습니다. @observable과 @computed 데코레이터를 사용하여 객체에서 관찰할 수 있는 속성들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이게 끝입니다!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값들을 MobX에게 알려주기 위해 @observable를 표시했습니다. 계산은 상태로부터 파생될 수 있는 것들을 확인하기 위해 @computed를 사용하여 표시됩니다.pendingRequrests와 assignee 속성들은 지금까지 사용되지 않았지만 앞으로 이 튜토리얼에서 사용됩니다. 이 페이지의 모든 예시들을 짧게 만들기 위해 ES6와 JSX 그리고 데코레이터를 사용합니다. MobX의 모든 데코레이터들은 ES5 부분들을 가지고 있으니 걱정하지 마세요.생성자에 report를 출력하는 작은 함수를 만들고 autorun으로 감쌌습니다. Autorun은 한 번 동작되는 리액션을 만들고 함수 안에서 사용되는 관찰 가능한 모든 데이터들이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다시 실행합니다. report는 관찰 가능한 todos 속성을 사용하기 때문에 적절할 때 레포트를 출력합니다. 이것은 다음 리스트에서 설명됩니다. 실행 버튼을 눌러보세요:report은 자동으로 동시에 중간 값을 빼먹지 않고 출력하였습니다. 유심히 로그를 보면 새로운 로그에서는 4번째 줄이 없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뒤의 데이터가 변경되는 것으로 report가 실제로 변경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첫 번째 할일의 이름이 바뀐 것은 report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이름이기 때문에 report를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이것은 todos 배열이 autorun에 의해 관찰되는 것이 아니라 todo 아이템들 안에 있는 개별적인 속성을 관찰하고 있다는 것을 잘 설명해줍니다.반응형 React 만들기지금까지 바보 같은 report를 반응형으로 만들었습니다. 이제 이 store에서 반응형 유저 인터페이스를 만들 시간입니다. React 컴포넌트들은 이름값을 못하고 반응형이 아닙니다. mobx-react 패키지의 @observer 데코레이터는 React 컴포넌트 render 함수를 autorun으로 감싸 자동으로 상태에 따라 컴포넌트가 동기되도록 만듭니다. 개념적으로 이전에 report를 가지고 했던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다음 코드는 몇 개의 React 컴포넌트를 정의합니다. 이 안의 MobX는 @observer 데코레이터 뿐입니다. 이것으로 충분히 데이터가 변경될 때 각 컴포넌트가 개별적으로 다시 렌더링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더이상 setState를 호출할 필요가 없으며 설정이 필요한 셀렉터나 상위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상태의 적절한 부분을 찾을 필요도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컴포넌트들은 더 똑똑해졌지만 아직 부족합니다.아래의 코드를 보기 위해 run code 버튼을 클릭하세요. 코드는 수정이 가능하므로 자유롭게 동작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observer 호출을 모두 지우거나 TodoView의 데코레이터만 지워보세요. 오른쪽의 미리보기에서 숫자들은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표시합니다. 다음 코드는 다른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데이터를 변경해야 한다는 것을 잘 보여줍니다. MobX는 자동으로 store의 상태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의 적절한 부분들을 다시 파생하고 업데이트합니다.참조 사용하기 지금까지 관찰가능한 객체(프로토타입과 일반 객체 둘 다)와 배열, 원시를 만들었습니다. MobX에서 참고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 궁금하지 않나요? 상태가 그래프를 형성할 수 있나요? 이전 코드에서는 todos의 assignee 속성이 있는 것을 알았을 것입니다. 또 다른 "store"을 생성하여 assignee에 포함되는 사람들의 값을 전달하고 그들에게 할일이 할당해줍시다.두 개의 독립적인 store이 있습니다. 하나는 사람들이 있고 하나는 할 일들이 있습니다. 사람 store의 사람을 assignee에 할당하기 위해 참조를 할당했습니다. 변경사항들은 TodoView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됩니다. MobX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표준화할 필요가 없고 업데이트될 컴포넌트들을 지정하기 위해 셀렉터를 작성할 필요가 없습니다. 실제로 데이터가 어디에 저장되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오랫동안 객체들은 관찰가능하게 만들어졌고 MobX는 그것들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실제 JavaScript 참조가 동작합니다. MobX는 파생과 관련이 있으면 자동으로 그것들을 추적합니다. 테스트 해보기위해 다음의 인풋 박스에 이름을 변경해보세요. (먼저 위의 Run code 버튼을 클릭했는지 확인해보세요)위의 인풋 박스의 HTML은 간단합니다:비동기 액션작은 Todo 애플리케이션에 있는 모든 것들은 상태로부터 파생되기 때문에 언제 상태가 변화하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비동기 액션을 만드는 것은 매우 수월합니다. 새로운 할일 아이템을 비동기적으로 로드하려면 아래의 버튼을 여러번 클릭하세요.코드는 매우 직관적입니다. UI가 현재 로딩되는 상태를 반영하도록 store의 pendingRequests 속성을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로딩이 끝날 때 store의 todos를 업데이트하고 pendingReqeust 카운터를 증가시킵니다. 이 스니펫을 이전 TodoList 정의와 비교하여 pendingRequests 속성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확인하세요.개발자 도구mobx-react-devtools 패키지는 화면의 오른쪽 최상단에서 찾을 수 있고 모든 Mobx+ReactJS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발자 도구를 제공합니다. 첫 번째 버튼을 클릭하면 각 다시 렌더링되는 @observer 컴포넌트가 표시됩니다. 두 번째 버튼을 클릭하고 미리보기에서 해당 컴포넌트 중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컴포넌트의 종속성 트리가 표시되므로 주어진 순간에 관찰중인 데이터 조각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습니다.결론끝났습니다! 관용구는 없습니다. 완전한 UI를 형성하는 간단하고 선언적인 컴포넌트들입니다. 그리고 상태로부터 완전하고 반응형으로 파생됩니다. 여러분의 애플리케이션에서 mobx와 mobx-react를 사용하기 시작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배운 것들을 짧게 요약하였습니다:1. MobX가 객체들을 관찰할 수 있도록 @observable 데코레이터 또는 observable(객체 혹은 배열)을 사용하세요.2. @computed 데코레이터는 상태로부터 자동으로 파생되는 함수를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3. 관찰 가능한 상태에 의존하는 함수들을 자동으로 실행하기 위해 autorun을 사용하세요. 로깅하거나 네트워크 요청하기에 유용합니다.4. React 컴포넌트를 진짜 반응형으로 만들기 위해 mobx-react 패키지의 @observer 데코레이터를 사용하세요. 자동으로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심지어 많은 양의 데이터가 있는 아주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사용됩니다.위의 수정 가능한 코드 블록을 사용하여 조금만 더 만져보면 MobX가 모든 변경 사항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기본적인 느낌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언제 호출되는지 보기 위해 report 함수에 로그를 추가하거나 report를 출력하지 않고 이것이 TodoList 렌더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세요. 아니면 특정 상황에서만 출력하세요...MobX는 상태 컨테이너가 아닙니다사람들은 종종 MobX를 Redux의 대안으로 사용합니다. MobX는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라이브러리일 뿐이며 아키텍처나 상태 컨테이너가 아닙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위의 예시들이 고안된 것으로 메서드에서 로직을 캡슐화하거나 store나 컨트롤러에서 구성하는 것과 같은 적절한 엔지니어링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는 HackerNesw의 누군가는 이렇게 말했습니다:"MobX는 많은 곳에서 언급되었지만 나는 마냥 좋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MobX로 작성하는 것은 컨트롤러/디스패처/액션/슈퍼바이저 또는 다른 형태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을 패턴화할 수 있습니다."#트레바리 #개발자 #안드로이드 #앱개발 #MobX #React #백엔드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회수 5331

안드로이드 백그라운드 서비스 개발시 고려해야 할 사항

지난 시간엔 사운들리 백엔드에 대해 설명을 드렸었죠. 이번 시간엔 사운들리 서비스중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안드로이드 SDK, 그 중에서도 백그라운드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을 해 볼까 합니다.안드로이드의 특징 중 하나로 Service 를 들 수 있습니다. 이 서비스란 녀석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인데요. 물론 iOS 에서도 일부 지원은 합니다만 매우 제한적인 경우(음악 재생 등)에만 사용 가능합니다.제가 생각하는 백그라운드 서비스 개발 시 유의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동작 기간 - 상시 동작 해야 하는가, 특정 조건에서 특정 작업을 할때만 동작 해야 하는가글로벌 프로세스 사용 유무 -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접근이 가능 해야 하는가동작 조건 - 특정 시간 혹은 기간마다 동작 해야 하는가, 특정 이벤트 발생시 동작 해야 하는가그 외에도 많은 부분들이 있지만 일단 저 정도만 고려해도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충분히 개발 가능하다고 생각 합니다.그러면 각각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알아 볼까요?1. 동작 기간동작 기간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 전에 먼저 유저 레벨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Service 와 IntentService 의 차이점에 대하여 짚고 넘어가보겠습니다.Service 를 상속`Context#startService//Context#stopService` 혹은 `Context#bindService(w/BIND_AUTO_CREATE)//Context#unbindService` 를 통해 수명 조절 (Service 내에서 Service#stopSelf 를 호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Service 시작된 이후에 커뮤니케이션 가능수명 종료 API(stopService or unbindService) 를 호출 하기 전에는 프로세스가 사라지지 않음 (물론 LMK에 의해서 종료 된다던지 등등이 있지만 여기서는 논외로 하겠습니다.)IntentService 를 상속startService 를 통해 서비스를 시작함사용자가 따로 수명 관리를 할 필요가 없음상기 특징을 보면 Service 는 상시 동작하는 서비스에, IntentService 는 특정 조건에서 동작하는 서비스에 더 특화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사운들리 서비스는 백그라운드에서 상시 신호를 감지해야 하므로 Service 를 상속해서 쓰고 있습니다.2. 글로벌 프로세스 사용 유무안드로이드 컴포넌트 속성 중 android:process  속성을 소문자로 시작하는 이름을 쓰면 글로벌 프로세스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프로세스니까 당연히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답니다.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글로벌 프로세스를 사용 할 때 더 이점이 있습니다.불필요한 리소스 사용 자제 - 서버와 통신하는 모듈의 경우, 여러 앱에서 동일한 모듈이 사용 될 때 하나의 통로만 사용 하는 것이 네트워크 리소스를 적게 먹습니다.공유 불가능한 자원 사용 - 사운들리 SDK 가 이 경우에 해당합니다. 비가청 대역 음파를 사용하는 특성상 마이크를 사용 해야 하나 안드로이드에서는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간의 마이크 공유가 불가능합니다.하지만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굳이 글로벌 프로세스를 쓸 필요가 없습니다. 모듈 버전에 따른 실행, 데이터 공유 등 골치 아픈게 이것저것이 아니에요... ㅠ3. 동작 조건동작 조건은 크게 time base 와 event base 로 나눌 수 있는데요. 각각의 경우에 서비스를 동작 시킬 트리거를 다르게 쓰는 것이 좋습니다.동작 조건에 따라 안드로이드에서 사용 가능한 트리거는 아래와 같습니다.시간 기반 (time base)AlarmManager 의 alarm API (set, setExact, setExactAndAllowWhileIdle 등)Android System Broadcast (ACTION_TIME_TICK 등)GCM Message이벤트 기반 (event base)Android System Broadcast (ACTION_SCREEN_ON, ACTION_POWER_CONNECTED 등)GCM Message그 외 각종 어플리케이션 사용시 발생되는 이벤트위에서 이야기한 것을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동작 기간동작 조건사용해야할 서비스동작 트리거그 외상시동작시간기반 동작Service 를 상속 받아 startService 서비스 시작bindService 를 통해 서비스와 연결하여 커뮤니케이션해당 Service 는 START_STICKY 로 실행AlarmManager 혹은 서버에서 주기적으로 동작하는 GCM Message 사용글로벌 프로세스를 사용 해야 한다면 android:process 속성을 사용이벤트 기반 동작System Broadcast 혹은 GCM Message, JobService 등을 사용작업 할때만 동작시간 기반 동작IntentService 를 상속받아 startservice 로 실행Intent 에 작업 관련된 파라매터를 전달AlarmManager 혹은 서버에서 주기적으로 동작하는 GCM Message 사용이벤트 기반 동작System Broadcast 혹은 GCM Message, JobService 등을 사용Etc. 유의해야 할 부분추가로 백그라운드 서비스 개발 시 유의해야 할 점들을 기술 해 보겠습니다.i) 배터리 절전 기술안드로이드 버전이 올라갈수록, 그리고 벤더들의 기술력이 높아질수록 배터리 절전 기술 역시 발전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반가운 기술이지만 개발자들에게는 종종 절망을 선사합니다 ㅜㅜ사운들리 서비스도 개발 과정에서 각종 절전 기술 때문에 고생을 했는데요, 크게 고생한 기술 및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DozeAndroid 6.0 이후 버전에 적용아래의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후 Doze 모드 진입충전 중이 아님스크린 꺼져 있음일정 수치 이상 움직이지 않음제한되는 사항AlarmManager 의 AlarmJobServiceWakeLock 무시네트워크 접근 제한회피 방법AlarmManager#setExactAndAllowWhileIdle() - Doze 에서도 동작하지만 최대 15분에 한 번씩만 동작 가능GCM high priority messageApp StandbyAndroid 6.0 이후 버전에 적용일정 기간 동안 아래 상황 중 하나도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시스템에서 해당 앱을 standby state 로 간주명시적 앱 실행액티비티나 서비스가 포그라운드(전경)에서 실행 중, 혹은 포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앱이 해당 앱의 컴포넌트 사용중알림을 생성하고 유저가 잠금 화면이나 알림 트레이에서 확인한 경우제한되는 사항네트워크 사용 및 동기화 기능 사용 불가회피방법유저와 상호 작용유저가 디바이스 충전스마트 매니저삼성에서 킷캣 (안드로이드 4.4) 이후의 모델 (일부 제외)에 적용일정 시간 이상 유저가 사용하지 않은 앱은 알림 생성 불가관련글: 구글 개발자 블로그의 Android M 관련 변경점ii) LMK (Low Memory Killer)안드로이드의 각각의 프로세스는 특성에 따라 상태가 부여됨각 상태는 제한되는 메모리 사이즈가 정해져 있고, 디바이스의 가용 메모리가 해당 사이즈 이하로 떨어질 시 시스템에서 프로세스를 종료START_STICKY 로 실행한 서비스의 경우 일정 시간 이후에 null Intent 를 가진채로 재시작킷캣 이상에서 PID가 0이 된 채로 남아있는 버그가 있음ActivityManager#getRunningServices 에서 서비스 리스트를 가져 왔을때 찌꺼기가 존재마치며보기엔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 서비스 기획에 맞게 기능들을 골라서 쓰기만 하면 되니까 생각보단 복잡하진 않습니다. '사용자 중심의 나이스한 서비스 기획' 만 있으면 위의 표에서 기능을 골라서 조립만 하면 됩니다.물론 실제 개발 시에는 훨씬 더 고민 해야 될 부분이 많을 겁니다. 네트워크 트래픽도 최소화 해야 하고, WakeLock 도 적절히 써야 하고, 글로벌 프로세스 사용시는 DB 동기화도 시켜야 하고 GCM 은 downstream 이냐  group 이냐 topic 이냐 등등...개인적인 전망으론 장기적으로 Google 에서도 iOS 처럼 백그라운드 서비스 사용에 점점 제한을 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완전히 없애진 않을 것 같네요. 나름 특색 이니까요. 그러니 없애지만 않으면 방법을 찾아 낼 수 있을 겁니다.너무 두서없이 주저리주저리 쓴 글 같지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사운들리 #개발 #개발자 #안드로이드 #안드로이드개발 #앱개발 #앱개발자 #SDK #인사이트 #조언 #경험공유
조회수 1523

스타일쉐어 커머스 시스템 리빌딩 회고 1

스타일쉐어 스토어 소개스타일쉐어 스토어(이하 커머스)는 2016년 4월 출시되어 지금까지 나날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작년 초, 커머스 시스템을 리빌딩하기로 했고 현재까지 진행 중입니다. 어떤 이유로 리빌딩을 하는지, 어떤 고민을 했는지,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 몇 자 적어보려 합니다. 이 글은 문제 인식, 목표, 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리빌딩을 결정한 이유커머스 프로젝트를 시작할 당시 커머스 시스템을 경험해본 개발자가 없었습니다. 이 상황에서 새로이 구현하기엔 위험 부담이 크다는 판단을 했습니다. 때문에 커머스 솔루션을 도입했고, 적은 비용으로 커머스 기능을 출시할 수 있었습니다. 거래량이 점점 늘어나면서 솔루션이 감당할 수 있는 한계치를 벗어나자, 예상치 못했던 기술적인 이슈가 발생했습니다. 사내 MD팀, CS팀은 물론, 입점사들과 유저들에게까지 불편한 경험을 주고 있었습니다. 개발팀은 솔루션 유지 보수와 운영 이슈에 집중했지만, 끝이 없는 문제들에 점점 지쳐갔습니다. 개발팀의 퍼포먼스는 저하되고 있었고, 새로운 기능 개발에 집중하지 못하는 상황까지 발생했습니다. 이 시점에서도 거래량과 매출은 꾸준히 늘어났으며, 더 늦기 전에 리빌딩을 진행해야겠다고 판단했습니다.리빌딩의 목표당장 눈앞에 생겨나는 문제들로, 서비스가 해결하고자 하는 본질적인 문제들에 집중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궁극적으로 이 상황을 개선하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선택의 기로에 섰을 때 좋은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언제 끝날지 모르는 리빌딩이 산으로 가는 걸 막기 위해 목표를 몇 가지 세웠습니다.유지보수 및 운영 이슈에 소모되는 개발 리소스 최소화커머스 시스템과 연계되는 기능들을 공격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함개발 리소스 대비 높은 퍼포먼스를 낼 수 있어야 함튼튼한 커머스 시스템목표 1. 유지보수 및 운영 이슈에 들이는 개발 리소스 최소화기존 솔루션의 큰 레거시는 소모될 개발 리소스의 양과 일정을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었고, 개발자에게도 큰 스트레스를 안겨줬습니다. 서비스의 성장을 방해하는 큰 걸림돌 중 하나이며, 개발팀의 움직임을 느리게 만드는 주된 원인이었습니다. 리빌딩을 완료하더라도 유지보수와 운영 이슈는 끝이 없을 테지만, 더 이상 같은 문제를 반복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효율적인 개발 리소스 운용을 위해선 가장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목표 2. 커머스 시스템과 연계되는 기능들을 공격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함기존 솔루션 레거시가 너무 복잡하여 기능을 추가하거나 개선하기 어려워 반려한 요구사항이 많았습니다. 매력적인 요구사항에도 조심스럽게 대응했습니다. 서비스 성장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하는 상황인데, 기술적인 이유로 진행이 까다롭다고 말하는 게 항상 아쉬웠습니다. 개발팀에서도 좋은 기능을 공격적으로 구현하고 싶으나, 실제로도 작업하기 까다로워 항상 답답했습니다. 어떤 방법이던 괜찮으니 지금보다 훨씬 더 공격적인 기능 구현으로 서비스 성장에 좋은 영향을 주고 싶었습니다.목표 3. 개발 리소스 소모 대비 높은 퍼포먼스를 낼 수 있어야 함스타일쉐어 팀은 기존 서비스 운영과 동시에 항상 새로운 무언가를 찾으려 합니다. 개발팀은 이 움직임에 맞춰 개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운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개발 리소스는 한정적이며, 다양항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해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커머스 관련 작업 시, 언제나 평균 이상의 높은 퍼포먼스를 내고 싶었습니다.목표 4. 튼튼한 커머스 시스템커머스 시스템의 장애는 매출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줍니다. 어떤 작업을 하더라도 커머스 시스템은 잘 운영되어야 합니다. 높은 가용성은 개발팀의 숙명이며, 공격적인 기능 개발에도 높은 가용성을 유지하려면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모두 꿈에 가까운 목표들입니다. 이 목표들에 조금이라도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거라 생각했습니다.현실 반영과 계획당연하게도 현실적인 부분을 생각해야 했습니다. 이미 예정된 작업들이 많아 리빌딩에 필요한 개발 리소스를 확보하기 어려웠고, 개발 성공 여부 또한 불확실해 팀원들을 설득하기 어려웠습니다. 유지보수와 운영 이슈는 끝이 없었고, 회사 방향에 따라 추가 기능 개발과 개선 작업을 진행해야 했습니다. 이 상황을 고려해 리빌딩을 성공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나갔습니다.개발 리소스에 여유가 생길 때까지 서브 프로젝트로 진행기존 커머스 시스템과 리빌딩된 시스템을 동시에 운영할 수 있어야 함적절한 단위로 서비스를 나눠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개발 진행계획 1. 개발 리소스에 여유가 생길 때까지 서브 프로젝트로 진행다들 리빌딩이 필요하다고 느꼈지만, 선뜻 진행하기엔 큰 부담이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여유가 생길 때 리빌딩을 진행해도 되지만, 그땐 너무 늦을 것 같았습니다. 최대한 빨리 작업을 시작하고 싶었고, 그러기 위해선 서브 프로젝트 수준으로 진행하는 게 제일 빠른 방법이라 생각했습니다.계획 2. 기존 커머스 시스템과 연동되어 동시에 운영할 수 있도록 함리빌딩의 완료 시점을 예측하기 어려웠습니다. 때문에 기존 커머스 시스템을 운영하며 리빌딩을 진행해야만 했습니다. 그리고 리빌딩된 시스템은 점진적으로 기존 커머스 시스템을 교체해 나가야 하므로, 두 시스템이 서로 연동되어야 했습니다. 또한 리빌딩된 시스템이 잘 동작할지에 대한 확신이 없어, 언제나 후퇴 계획을 세워야 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기존 커머스 시스템의 DB와 스키마를 그대로 사용하고, 두 시스템의 로직이 서로에게 문제가 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개발하기로 했습니다.계획 3. 적절한 단위로 서비스를 나눠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개발 진행커져가는 개발팀과 복잡해져 가는 커머스 시스템을 생각하면 요즘 자주 들리는 마이크로 서비스 구조(이하 MSA)를 도입해도 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솔직히 이런저런 이유보다, 재미 때문에 도입해보고 싶었습니다. 처음 도입하는 구조라 조심스러웠지만, 적절한 단위로 서비스를 나눈다면 충분히 좋은 효율을 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었습니다. 재미와 만족은 덤이고요. 서비스를 나누는 기준은 2가지로 잡았습니다.개발 안정성/개발 속도 둘 중 어느 것에 집중해야 하는가?서비스를 사용하는 주체는 누구인가?—개발 안정성/개발 속도 둘 중 어느 것에 집중해야 하는가?개발 안정성과 개발 속도에 대해 생각한 이유는 시스템 안정성과 작업 퍼포먼스 모두 잡고 싶은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MSA는 서비스 별로 다른 언어를 사용해도 괜찮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덕분에 상황 별로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개발 안정성 혹은 개발 속도에 잘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습니다. 나중에 기술 스택을 설명하면서 얘기를 하겠지만, 개발 안정성을 추구해야 하는 부분은 java8로, 개발 속도를 추구해야 하는 부분은 node나 python으로 구현됩니다.서비스를 사용하는 주체는 누구인가?서비스를 어떤 기준으로 나눌지 고민이 많았습니다. 처음엔 상품 관리, 주문 관리, 출고 관리 등 DB 테이블에 가까운 기준으로 나누려고 했으나, 서버 운영이 큰 부담으로 다가올 것 같다는 의견 때문에 다른 기준을 세워야 했습니다. 서비스를 사용하는 주체 별로 나누면 어떨까라는 말이 나왔고, 이 기준이라면 큰 부담이 없을 것 같았습니다. 서비스를 사용하는 주체는 유저, 관리자, 입점사, 다른 서비스 이 4가지라고 정의했고, 이에 따라 서비스를 구성했습니다.—앞서 말한 두 기준으로 나눴을 때에 대한 예시입니다.유저 커머스 서비스 (node 혹은 python)관리자 커머스 서비스 (node 혹은 python)입점사 커머스 서비스 (node 혹은 python)커머스 핵심 기능 서비스 (java8)위 두 기준 말고도 서비스 운영에 큰 부담이 없다면 상황에 맞춰 다른 기준을 세워 서비스를 나누기도 했습니다.이 고민이 끝난 후, 현실적으로 실행 가능한 계획이 나온 것 같아 만족스러웠습니다. 이 계획을 토대로 아키텍처를 구성하고 개발을 진행했습니다.마무리어떤 문제 때문에 리빌딩을 결정했고, 어떤 목표와 계획을 세웠는지 주저리주저리 적어봤습니다. 앞에서 말했듯이 리빌딩은 아직 진행 중입니다. 현재 정식 일감으로 진행되고 있고, 상황에 맞게 계획을 다시 세워 조금씩 목표에 다가가고 있습니다. 처음엔 3부로 계획했지만, 아직 리빌딩 중이란 걸 까먹고 있었나 봅니다. 이 프로젝트가 완료되기 전까진 회고록으로써 글을 계속 쓸 것 같습니다. 앞으로 풀어야 할 문제들이 많으니 하소연할 것들도 많을 거고요. 아무쪼록 다음 편에선 시스템 구성도와 기술 스택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해보려 합니다.스타일쉐어 개발팀의 고민과 생각들이 부디 도움이 되었길 빕니다. :)#스타일쉐어 #개발팀 #리빌딩 #인사이트 #조언
조회수 5892

유용한 Javascript UI Component 라이브러리 소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기능적으로는 무관하지만, 사용자에게 인터렉티브하고 심미적으로 예쁜 디자인을 제공하고 싶은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막상 직접 구현을 하는 것은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고, 구현하더라도 양질의 UI가 나오지 않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쉽고 빠르게 양질의 UI를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Spin.js작업을 완료하거나 페이지가 넘어갈 때 아무런 말도 없이 그냥 기다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사용자에게 현재 기다리는 중이라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Spin.js입니다.Spin.js는 위의 그림과 같이 로딩 중이나 무언가를 진행 중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사용하기 쉬운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이미지 없이 사용되어 매우 가볍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용할 때 쉽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대다수 브라우저를 지원합니다.Spin.js / DownloadDatatables많은 양의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테이블로 정리해야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할 때 쉽게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어야 하고 정보가 쉽게 정렬이 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Datatables입니다.Datatables는 위의 그림과 같이 테이블을 동적인 테이블을 만들어주는 JQuery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다양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테이블을 만들수 있으며, 따로 정보를 찾아주는 기능을 만들어주지 않아도 검색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정보를 편하게 볼 수 있도록 구성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DOM, Ajax, Server-Side Processing으로 쉽게 정보를 Datatables로 만들 수 있습니다.DatatablesCurtain.js긴 내용으로 된 하나의 페이지를 섹션별로 효과적으로 내용을 전환해야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으면서 전환 효과를 만들어 내야 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Curtain.js입니다.Curtain.js는 위의 그림과 같이 마치 커튼이 걷히는 것처럼 내용 전환 효과를 주는 JQuery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각 내용을 화면에 고정하고 스크롤이나 키보드를 통해 화면을 전환하여 트렌디하면서 인터렉티브한 느낌을 쉽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Curtain.js / DownloadTurn.js위의 Curtain.js가 세로형태의 전환 효과를 내는 것이었다면 가로형태의 전환 효과를 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Turn.js입니다.Turn.js는 위의 그림과 같이 책장을 넘기는 듯한 내용 전환 효과를 주는 JQuery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하나에 페이지를 섹션별로 나눠서 키보드를 통해 화면을 전환하여 책장을 넘기는 느낌을 제공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 책을 읽는 듯한 느낌을 쉽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Turn.js / DownloadGlfx.js이미지를 따로 수정해서 올리는 것이 아니라 웹에서 바로 밝기를 조정하거나 다양한 효과를 주고 싶은 때도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Glfx.js입니다.Glfx.js는 위의 그림과 같이 다양한 효과를 주는 WebGL기반의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이미지에 Blur 효과, 세피아, 밝기 조절, 모자이크처리 등 다양한 효과를 다양한 설정을 통해 쉽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WebGL 기반으로 되어 있어서 WebGL을 지원하는 브라우저만 가능합니다.Glfx.js / DownloadJQuery Tag-it태그를 넣을 때 쉽게 수정 가능하게 하고 자동완성기능을 넣고 싶은 때도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JQuery Tag-it입니다.JQuery Tag-it은 위의 그림과 같이 태그에 대한 JQuery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쉽게 태그를 넣고 지울 수 있으며 태그에 대해 자동완성 기능을 지원합니다. 그리고 각 태그에 대해 이벤트를 줄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JQuery Tag-it / DownloadTinycon새 글의 개수나 접속자 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싶은 때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브라우저 탭에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Tinycon입니다.Tinycon는 위의 그림과 같이 파비콘에 동적인 숫자를 통해 정보를 알리는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매우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설정을 통해 어떤 내용을 숫자로 표현할 것인지를 쉽게 사용자화 할 수 있습니다. 파비콘에 경우 브라우저 탭에 항상 보이기 때문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현재 크롬, 파이어폭스, 오페라 브라우저만이 지원 가능합니다.Tinycon / Download3D GALLERY사진이나 슬라이드 탭을 보여주기 위해 갤러리 공간을 만듭니다. 그래서 좀 더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다양한 효과를 넣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3D GALLERY입니다.3D GALLERY는 위의 그림과 같이 내용을 3D로 나열해 보여주는 JQuery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간단한 설정으로 3D로 배치하고 움직이도록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동으로 내용을 넘어가게 할 수도 있고 다양하게 바뀌는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3D GALLERY / Demo글을 마치면서이번 글에서는 UI Component Javascript 라이브러리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위의 라이브러리로 좀 더 쉽고 빠르게 양질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스포카 #개발자 #디자이너 #협업 #Javascript #라이브러리 #꿀팁 #유용한정보
조회수 97

바로고 사내소식 런치앤런 Scalable team with DevOps

barogo바로고사 내 소 식대한민국#배송 #배달바로고가 함께 달립니다.뼈가 되고 살이 되는외부인사 초청 강연Scalable team with DevOps바로고 복지의 일환으로스타트업 엔지니어 박훈 님을 모시고외부인사 초청 강연이 진행되었습니다.박훈 님의 강연이 시작되었습니다.2018년 1월 31일에 진행된바로고 외부 인사 초청 강연의 생생한 현장을 소개합니다.박훈 님을 모시고 진행된 이번 초청 강연은미니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데브옵스(DeOp) 전략을 통해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을 좀 더 지속적이고 민첩하게 진행하며개발담당자와 운영담당자가 함께 소통하며협력하는 자리가 되길 기대합니다.뼈가 되고 살이 되는 시간개발자의 고민1. 우리 팀은 사람은 많은데 왜 이렇게 느릴까?2. 왜 사람들은 테스트를 덜 작성할까?3. 왜 API 호환성이 자꾸 고장(incompatubel) 나는 걸까?4. 배포 하나 하기가 왜 이렇게 힘들까?5. 데이터에 기반을 둬 결정을 내리려면 뭐가 더 필요할까?6. 왜 에러는 우리팀보다 사용자가 먼저 찾아낼까?평소 박훈 님께서 개발을 하시며고민하던 부분은 함께 공유하며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이 되었습니다.배고픔을 잊은 그대들의 열정에 박수를 _짝짝짝DevOps를 실제로 사내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열정적으로 발표해주시는 박훈 님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며함께 솔루션을 찾아가는 과정이정말 뼈가 되고 살이 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그가 스타트업 정글에서 살아남은 방법(중략)단순히 개발뿐만 아니라지식의 전달, 배포, 문서화 등모든 측면에 있어서scalable 한 팀이 되어야만 한다_!우리의 소통은 계속 됩니다.발표가 끝난 뒤보다 집중적으로 사례를 분석했습니다.DevOps가 잘 정착되면보다 고객에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Solution = System + Culture1. 새로운 것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지만, 싫어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2. 도구가 아니라 풀려는 문제에 집중하자.3. 도구뿐만 아니라 문화(CULTURE)를 가져오자.박훈님_ 수고하셨습니다_!항상 발전하고 진화하는 소프트웨어의 흐름데브옵스를 통해 개발자와 정보 기술 전문가 간의소통과 협업을 통해더 나은 개발 환경, 문화를 만들어가길기대합니다_!바로고 x 본도시락세미나를 마치고 즐거운 점심시간런치앤런의 진짜 시작이라고 할까요?^_*너무나 열띤 토론으로 인해우리는 배가 고팠습니다.런치앤런선정 메뉴를바로고가 배달하는 '본도시락'[바로고 x 본도시락]https://blog.naver.com/barogo_info/2211915027002018년 첫 외부인사 초청 강연박훈님께 감사드립니다.다음에도뼈가 되고 살이 되는알찬 내용으로 찾아가는 런치앤런이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___^배송의 가치를 만들어가는바로고barogo-[바로고 공식 홈페이지]https://goo.gl/jKB7LA
조회수 1053

Rxjava를 이용한 안드로이드 개발

Overview브랜디는 현재 2.0 기반 Android 버전입니다. Main Thread와 Sub Thread 사이의 ANR를 방지하려고 Volley, Otto Bus Library를 사용해서 백엔드 서비스(back-end Service)를 연동하고 있습니다. 이제 3.0 개발로 더 좋은 백엔드 서비스 기능을 만들려고 합니다. (기반 작업은 이미 완료했습니다.) 다만 3년 동안 브랜디 앱을 개발하면서 느꼈던 고통과 피로를 ‘제발’ 줄여보고 싶어서 브랜디 3.0에서는 Retrofit2 와 RxJava, Lambda 표현식을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RxJava(Reactive programming)는 가장 추천하고 싶은 것 중 하나입니다. 우리는 함수형 리액티브(반응형) 프로그램이라는 표현으로 자주 마주치곤 하는데요. 주로 옵저버 패턴(Observer pattern)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단순히 데이터를 넘기고 마무리하는 건 옵저버 패턴으로도 충분하지만 대부분의 문제는 이벤트들을 묶어서 사용할 때 생깁니다.1) RxJava는 이벤트에 대한 조건 처리나 실패 처리, 리소스 정리에 대비해 사용합니다. 기존 방식의 명령형 리액티브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복잡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함수형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은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예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Android에 직접 사용해보기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한 후, 아래와 같이 build.gradle 파일을 수정해봅시다. (JDK 1.8 설치 필수) apply plugin: 'com.android.application' android {    compileSdkVersion 26   defaultConfig {        applicationId "kr.co.brandi.myapplication"        minSdkVersion 21        targetSdkVersion 26        versionCode 1        versionName "1.0"        testInstrumentationRunner "android.support.test.runner.AndroidJUnitRunner"    }    buildTypes {        release {            minifyEnabled false            proguardFiles getDefaultProguardFile('proguard-android.txt'), 'proguard-rules.pro'        }    }   //추가된 부분 1      compileOptions {        sourceCompatibility JavaVersion.VERSION_1_8        targetCompatibility JavaVersion.VERSION_1_8   }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fileTree(dir: 'libs', include: ['*.jar'])       //추가된 부분2    implementation 'io.reactivex.rxjava2:rxandroid:2.0.1'    implementation 'io.reactivex.rxjava2:rxjava:2.1.3'      implementation 'com.android.support:appcompat-v7:26.1.0'    implementation 'com.android.support.constraint:constraint-layout:1.0.2'    implementation 'com.android.support:design:26.1.0'    testImplementation 'junit:junit:4.12'    androidTestImplementation 'com.android.support.test:runner:1.0.1'    androidTestImplementation 'com.android.support.test.espresso:espresso-core:3.0.1' } 이제 람다 표현식과 RxJava를 사용할 준비가 되었습니다.Flowable.just("Hello World").subscribe(new Consumer() {    @Override   public void accept(String s) throws Exception {        Log.v(tag, s);   }  });   Flowable.just("Hello World !").subscribe(s -> Log.v(tag, s)); 간단한 생성자와 결과를 출력하는 부분입니다. 두 번째 subscribe는 람다 표현식으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지 않더라도 첫 부분과 동일하게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2) 이제 RxJava에서 간단한 필터링으로 간편하게 데이터를 가공하는 능력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아래 코드는 기본적인 List 의 값을 출력하는 부분입니다.List valueList = Arrays.asList(0, 1, 2, 3, 4, 5, 6, 7, 8, 9, 10);   for (int data : valueList) {    String result = "value " + data;    Log.v(tag, result);  } Flowable.fromIterable(valueList)        .map(new Function() {            @Override            public String apply(Integer data) throws Exception {                return "value : " + data;            }        })        //.map(data -> "value : " + data)        .subscribe(data -> Log.v(tag, data)); 위의 코드에 조건을 추가해 ’짝수’만 출력하겠습니다.for (int data : valueList) {    if ((data % 2) == 0) {        String result = "value " + data;        Log.v(tag, result);    }  } Flowable.fromIterable(valueList)        //.filter(data -> {        //      return (data % 2) == 0;        //})        .filter(data -> (data % 2) == 0)        .map(data -> "value : " + data)        .subscribe(data -> Log.v(tag, data)); 위와 같이 데이터 가공은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여러 함수로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데이터 가공을 위해 filter, map 등의 함수들을 순차적으로 이어 붙일 수도 있습니다.위에서 보여드린 RxJava는 간단한 예시이기 때문에 RxJava 의 기능을 좀 더 보여드리겠습니다.String[] data1 = {Shape.HEXAGON, Shape.OCTAGON, Shape.RECTANGLE};  String[] data2 = {Shape.TRIANGLE, Shape.DIAMOND, Shape.PENTAGON};   Flowable source =        Flowable.combineLatest(                Flowable.fromArray(data1)                        .zipWith(Flowable.interval(100L, TimeUnit.MILLISECONDS), (shape, notUsed) -> Shape.getId(shape)),                Flowable.fromArray(data2)                        .zipWith(Flowable.interval(150L, 200L, TimeUnit.MILLISECONDS), (shape, notUsed) -> Shape.getSuffix(shape)),                (id, suffix) -> id + suffix);   source.subscribe(s -> Log.d(getThreadName(), s)); CombineLatest() 함수를 이용해 두 개의 스트림을 하나로 처리하는 방법을 보여 드렸습니다. 각각의 스트림은 interval 함수를 시간 간격으로 data1과 data2 배열의 개수만큼 반복하여 처리하는 로직입니다. 서로 다른 두 스트림은 마지막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데이터가 나올 때마다 하나의 스트림으로 출력됩니다.마블 다이어그램 3)결과Conclusion만약 RxJava를 이용하지 않고 두 개의 TimerTask를 이용해서 코딩했다면 결과는 같았을지도 모릅니다. 이제 RxJava를 알기 때문에 다시는 TimerTask를 이용해서 코딩할 일은 없을 겁니다. 알면 알수록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는 RxJava! 이제 브랜디 상용화 버전에 사용할 수 있게 다시 개발의 숲으로 들어가겠습니다. 그럼 이만. 1)함수나 네트워크 호출의 비동기 응답 2)Java 8 람다 표현식 자세히 살펴보기, 2018.03.09. 3)RxJava on Android 글고재성 과장 | R&D 개발1팀[email protected]브랜디, 오직 예쁜 옷만#브랜디 #개발문화 #개발팀 #업무환경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회수 2810

리디북스 웹뷰어의 이어보기를 개발하며

최근 리디북스에서는 판타지 연재물을 웹에서 바로 볼 수 있는 기능을 새롭게 선보였습니다.기존에는 별도의 앱을 설치하고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기에 연재물을 보는 사용성이 좋지 않았습니다만, 브라우저에서 바로 볼 수 있는 “웹뷰어”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성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그리고 여기에 사용성을 더하기 위해 추가된 것이 이어보기 기능입니다. 짧아도 100화 이상, 길게는 1000화가 넘는 연재물에서 다음 화로의 매끄러운 연결은 매우 중요합니다. 혹은 잠시 읽기를 중단했다가 다시 돌아왔을 때, 어디까지 보고 있었는지를 빠르게 알려준다면 호흡을 이어서 작품에 더욱 몰입할 수 있을 것입니다.이어보기가 구현된 모습리디북스에 로그인되어 있다면, 이곳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이번 글은 이어보기 기능에 대한 개발 후기입니다. 요구 사항에 따라 여러 저장소 솔루션을 비교해 보았으며 최종적으로 Couchbase를 선택한 이유와 간단한 벤치마크 결과, 그리고 겪었던 문제를 공유합니다.요구 사항기획된 내용을 요약하니 아래와 같습니다.연재물의 가장 마지막에 읽은 화를 알 수 있다.보았던 모든 연재물에서 가장 마지막에 읽은 연재물을 알 수 있다.사용자가 본 모든 연재물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이를 개발자 용어로 다시 풀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연재물을 읽을 때마다 연재물 ID와 화(episode) 정보를 기록한다.보았던 연재물을 최신순으로 정렬하여 가져온다.선택된 연재물의 마지막으로 읽은 화를 가져온다.목록에서 특정 연재물을 삭제한다.이어보기는 가장 마지막에 읽은 연재물을 기억하기 위해 작품을 열 때마다 해당 정보를 기록해야 합니다. 그런데 수십 화를 연달아서 보는 연재물의 특성상 내가 어디까지 읽었는지를 조회하는 것(read)보다 내가 읽은 연재물을 기록하는 것(write)이 더 많을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즉, 읽기보다 쓰기가 더 많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NoSQL을 쓰자대부분의 연산이 쓰기(write)와 관련된 이상, 어떤 저장공간을 사용할 것인지가 주된 관심사였습니다.특히 RDBMS와 NoSQL 사이에서 어떤 것을 사용할지 많은 고민과 테스트를 했고, 결국 아래와 같은 이유로 NoSQL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했습니다.현재 사용 중인 MariaDB를 그대로 사용한다면 마스터에 부담을 줄 수 있다.별도로 MariaDB를 구성하더라도 운영 및 쓰기 분산하기가 여전히 어렵다.반면 NoSQL은 RDBMS 대비 확장(Scale out)이 간편하므로 운영에 대한 부담이 적다.단순 Key-Value 보관 용도면 충분하다.이어보기 데이터는 독립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사용자 데이터와 JOIN을 할 필요가 없다.이어보기 데이터는 크리티컬한 트랜잭션이 필요하지 않다.MongoDB vs. Couchbase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Redis 등의 메모리만 사용하는 NoSQL은 제외했습니다. 물론 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지만, 성능이 급감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 합니다. 또한, 메모리 사이즈에 기반을 두기 때문에 Scale up 비용이 크고, 서비스 확장시 Scale out 빈도가 높습니다.그래서 MongoDB와 Couchbase를 비교 대상으로 했습니다. 둘 다 도큐먼트 기반의 NoSQL이고 확장이 용이합니다. 과거에는 MongoDB가 Write lock 사용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었지만, 최근 버전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1] 둘 다 기업용 서비스 및 충분한 부가 기능들을 제공하므로 선택하기 어려웠지만,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은 이유로 Couchbase(CE)를 선택했습니다.1. 이미 사내에서 다른 서비스에 사용되고 있습니다.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습니다. 더 좋은 솔루션이 있더라도 어디까지나 서버 스택을 늘리는 것 이상의 효용이 있는지를 따져보아야 합니다. 이미 사용하고 있는 솔루션이 있다면, 검증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개발 및 운영 경험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2. 이어보기는 복잡한 쿼리(Query)가 필요 없습니다.이어보기에서 사용할 쿼리는 간단하기 때문에 Couchbase의 뷰(View)만으로 충분했습니다.Couchbase, 실제 성능은 어떨까?테스트를 하기 전 우리가 어떤 식으로 사용할 것인지 정리해야 합니다. 애플리케이션 액세스 패턴이나 동시성 문제, 데이터 구조화 등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테스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이번 이어보기는 쓰기 연산이 보다 많기 때문에 이로 인한 뷰의 인덱싱(Indexing)에 초점을 맞추고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성능을 위협하는 요소들View IndexingCouchbase는 MapReduce를 이용하여 뷰를 제공합니다. MapReduce는 일반적으로 리소스를 많이 소모하는 동작입니다. 그래서 Couchbase는 버킷의 새로 갱신된 데이터만 인덱싱하는 Incremental MapReduce라는 기법을 적용해서 리소스 소모를 줄였다고 합니다.[2] 하지만 해당 작업으로 인한 부하는 여전히 발생합니다.Auto CompactionCouchbase는 데이터와 인덱스를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파일에 추가하기(Append) 모드로만 쓰기를 수행합니다.[3] 그리고 오래되고 불필요한 데이터들은 추후 한꺼번에 정리하는데, 이는 디스크 쓰기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함입니다.그런데 이렇게 추가만 하게 되면 오래된 정보들은 파일의 앞에 쌓이게 됩니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게 된 데이터도 남아있습니다. 이를 주기적으로 정리해서 최적화하는 작업을 Auto Compaction이라고 합니다. 뷰의 인덱스는 디스크에 존재하기 때문에 디스크 작업이 있으면 인덱싱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성능 테스트Couchbase는 기본적으로 5,000ms마다 Index를 업데이트합니다.[2] 그리고 데이터를 비동기적으로 응답합니다. 비동기는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지만,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불일치가 신경 쓰이고 이 시간이 길다고 생각되면, stale 옵션을 지정해서 뷰의 인덱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이어보기는 뷰가 간단하기 때문에 응답시간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stale 옵션을 꺼두었습니다. 이 옵션은 뷰를 조회했을 때 버킷의 변경사항에 따라 뷰를 인덱싱하고 데이터를 응답합니다. 하지만 예상한 것과 같이 실제로도 응답시간이 짧은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테스트 환경은 아래와 같이 2-tier로 준비하고 요청을 늘려가면서 RPS를 측정했습니다.서버 구성OS: Ubuntu 14.04Application: Couchbase Server (CE) 3.1.3클라이언트 구성클라이언트 1개에서 50개의 세션으로 요청10만 사용자 가정책은 1만개의 책중 랜덤으로 선택됨요청의 70%는 책 읽기(Bucket Write)요청의 30%는 연재물의 마지막에 읽은 책 가져오기(View Read)그래프 분석성능 테스트 주요 지표RPS : Response Per SecondSP : Saturation PointBuckle zone : 시스템 과부하로 인해 내부 자원이 서로 경쟁상태나 적체 상태가 심해지기 때문에 최대 처리량보다 더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함성능테스트 결과그래프를 보면 요청이 늘어남에 따라 RPS가 선형으로 증가하지만, SP인 8,000 RPS에 도달하고 나서 Buckle zone에서 7,000 RPS로 수렴하고 있습니다. 물론 1개의 클라이언트에서 세션을 생성해서 테스트를 진행했기 때문에 서버의 성능 부족이 아닌 클라이언트의 병목 현상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또한 JMeter나 다른 부하 테스트 툴을 사용하지 않고 간략하게 만든 테스트 툴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수치가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디에서 병목이 있었든 현재 이 이상의 성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테스트 결과에 만족할 수 있었습니다.이어보기 배포 후모바일 브라우저 캐시 문제이어보기 기능을 배포하자마자 당일 저녁 이슈 하나를 접수했습니다. 아이패드와 PC를 번갈아 이용할 경우 이어보기 데이터가 맞지 않다는 것이었습니다.데이터를 쌓을 때 모든 이력을 기록하지는 않았지만, 다행히도 Couchbase에 이용기기와 시간은 기록하였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디버깅을 할 수 있었습니다. (서비스 초기라 할지라도 최대한 많은 이력을 남기는 것이 중요함을 다시 느꼈습니다)원인은 아이패드의 멀티태스킹으로 인한 캐시 소멸이었습니다. 아이패드 브라우저의 캐시가 소멸되면서 마지막으로 열어두었던 페이지가 강제적으로 리로딩되었고, 이때 의도치 않게 마지막 위치 정보가 덮어씌워진 것입니다.이 문제는 기술적으로 해결이 쉽지 않아 결국 기획을 수정하게 되었습니다. 사용자가 해당 책을 읽었다고 판단하는 기준이 “페이지를 열어본 즉시”였다면, 이를 “페이지를 열고 수 초 이상을 유지”하는 것으로 기준을 변경하였습니다. 물론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었지만, 실제 사용에는 지장이 없는 합리적인 해결책이라고 생각합니다.Key 구조의 변경 및 동시성 문제Couchbase는 높은 성능을 위해 메타데이터(Key + @)를 모두 메모리에 적재하는 특징이 있어서, Document 하나가 평균 350Byte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현재 상태로 1000만개의 데이터를 저장할 경우 최소 3.5G의 메모리를, 2개의 사본(Replica)를 유지할 경우 약 10.5G의 메모리를 사용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었고 이는 큰 부담으로 다가왔습니다.처음에는 단순히 “사용자ID_연재물ID” 형태의 Key를 사용하였지만, 보다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사용자보다 연재물 이었으므로 아래와 같이 Key값을 변경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크게 줄였습니다.// U_id : S_id 조합을 사용하면 Key가 엄청 많아진다. // 그래서 사용자당 Key를 100개로 제한하도록 한다. Count = 100 Key = '사용자ID' + ('연재물ID' % Count) 그런데 이렇게 Key 구조를 변경하였더니, 간단한 업데이트 동작임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습니다. 이유는 낙관적 동시성(Optimistic concurrency) 모델의 특징 때문이었는데, Couchbase는 명시적인 잠금 이외에도 “Check and Set(CAS)”이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습니다.공식 문서의 예제를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로직을 수정한 뒤로는 다행히도 동시성 문제가 아직까지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boolean updateUsingCas(key, value) {  for (tryCount = 0; tryCount < MAX>    orgValue, cas = getValueAndCas(key)           // Update the original value.     // newValue = ... if setValueWithCas(key, newValue, cas)      return SUCCESS sleep(0.1) // 부하를 줄이기 위해  }  return FAIL } 맺으며동작하는 서비스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특히 새로운 데이터 스토리지를 필요로 하는 일이라면 더더욱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럴 때일수록 설계에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한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설계 초기에는 RDBMS의 샤딩까지 고려하였지만, 요구 사항을 구체화할수록 단순 Key-Value로도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깨달았기 때문입니다.또한, 서비스 개발에 있어서 어려운 문제를 마주했을 때 기술적으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고객이 정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고민하여 기획적으로 해결하는 능력도 중요하다는 것을 실감하였습니다.마지막으로 Couchbase는 현재로서도 꽤 좋고 앞으로도 많은 발전이 기대되는 NoSQL입니다. 도입을 고민하시던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참고자료[1] MongoDB - Concurrency[2] Couchbase - Views Operations[3] Couchbase - File write#리디북스 #개발 #개발자 #서버개발 #서비스개발 #고객중심 #기능개발 #Couchbase #인사이트 #개발후기
조회수 1390

Code without Limits

WWDC18 Review (1): Bring the Func! 보기 Introduction지난 글 Bring the Func! 에서 WWDC를 소개했습니다. Keynote와 Platforms State of the Union에서 인상 깊었던 경험도 소개했고요. WWDC 첫째 날은 애플에서 큰 이벤트를 진행했고, 둘째 날부터 마지막날까지는 세션과 랩스, 스페셜 이벤트를 진행했습니다. 이번엔 지난 글에서 미처 쓰지 못했던 것을 소개하겠습니다.SessionWWDC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대개 Keynote입니다. 하지만 다른 세션이나 랩스부터 생각나는 애플 개발자도 있을 겁니다. 저도 처음엔 Keynote만 기대했지만, 행사에 참여하면서 세션과 랩스의 매력(?)에 빠졌습니다.Apple Developer 웹사이트에서 수많은 기술 관련 영상을 볼 수 있다.애플 관련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문제에 부딪히면 Apple Developer 웹사이트에서 도움을 얻는데요. 특히 Development Videos 사이트에 들어가면 그해 발표한 WWDC 세션부터 시작해서 그 동안의 세션들을 모두 볼 수 있습니다. Topics에서는 주제별로 카테고리를 만들어, 해당 주제에 관한 동영상들을 모아서 볼 수 있고, Library에서는 찾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키워드를 검색해서 찾을 수 있습니다.Development Videos - Apple Developer 첫 화면Topics 에서는 주제별 동영상들을 볼 수 있다.Library 에서는 검색하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동영상들을 볼 수 있다.WWDC 행사장은 Hall 1 ~ Hall 3, 그리고 Executive Ballroom까지 4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이곳에서 각각의 세션을 들을 수 있었는데요. 시간대별로 3~4개의 세션을 동시에 진행합니다. 듣고 싶은 세션은 해당하는 방에 들어가서 들으면 됩니다. 만약 같은 시간에 듣고 싶은 세션이 두 개 이상이라면 하나만 현장에서 듣고, 다른 세션은 developer 웹사이트 또는 WWDC 앱에서 업로드되길 기다려야겠죠. 물론 24시간이 지나면 세션 영상이 WWDC앱에 업로드됩니다. WWDC 앱에서 제공하는 행사장 지도세션이 진행되는 곳의 내부수많은 개발자의 똑똑한 머리와 지미집세션이 시작되자 개발자들은 무릎 위에 올려 놓은 맥북을 열심히 쳤습니다. 하나라도 놓치기 싫어서 열심히 타자를 치는 개발자들의 모습이 멋있었습니다. 마치 대학 영어 강의를 듣는 기분이었죠.아쉬운 점이 있다면, 에어컨을 너무 강하게 틀어 세션 행사장이 매우 추웠다는 겁니다. 며칠을 견디다 마지막 날엔 결국 행사장 밖에서 라이브로 시청했습니다. 그리고 세션을 진행하는 동안 빠르게 코딩을 하다 보니, 소스 코드를 다 작성하기도 전에 다음 장면으로 넘어가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실시간으로 같이 작업할 예제 소스 코드를 제공하거나 조금 더 효율적으로 세션을 들을 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행사장에서 제공하는 아침 식사와 함께 맥북 프로에서 라이브로 세션 시청What’s new in ARTKit 2지금부터는 인상 깊었던 세션 세 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첫 번째는 What’s new in ARTKit 2였습니다. 이 세션이 가장 인상 깊었던 이유는 애플이 AR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Keynote 발표 중에 장난감용 블럭을 만드는 회사 관계자 두명이 AR을 활용한 앱을 실행해 노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Keynote 발표 중 한 장면. 크레이그 페더리기가 AR 파트에서 Shared experiences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가장 재미있었던 건 현실 공간을 저장해 다른 유저들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이었습니다. ARWorldMap Object를 이용해 사용자가 기기를 움직이면서 현실 공간의 모습을 저장합니다. 나중에 앱을 다시 실행하면 저장했던 현실 공간 맵이 그대로 유지되고, 이전의 모습도 나타나죠. 예를 들어, 노란 테이블 위에 가상의 물건을 올려 놓았다면, 나중에 테이블을 향해 기기를 움직였을 때, 그 자리에 놓여있던 가상의 물건이 다시 나타납니다. 또한, 저장한 맵을 근처의 다른 유저의 기기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서로 다른 기기에서 같은 맵을 보면서, 같은 경험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개념을 확장하면 하나의 AR앱으로 다중 유저들이 게임을 함께 즐기거나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같은 교육을 받을 수 있죠.SwiftShot AR게임을 즐기려고 기다리는 개발자들WWDC18 Keynote에서 잠깐 소개되었던 SwiftShot AR 게임이 이런 특징을 잘 나타난 앱입니다. 실제로 행사장 1층 안쪽에 이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개발자들이 직접 게임을 즐길 수 있었고, 마지막 날엔 개인전과 팀전을 진행해 1등에게 선물(AR뱃지)을 주었습니다. 옆에서 구경했는데 재밌었습니다. 아이패드가 있다면 여기를 클릭해 샘플 코드를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빌드해서 재미있는 AR 게임을 친구들과 함께 즐겨보세요. A Tour of UICollectionView브랜디 앱은 90% 이상 UICollectionView를 이용해 앱 화면을 만들었습니다. 많은 UICollectionViewCell을 다시 사용할 수 있고, 커스텀 레이아웃도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전에 포스팅한 ‘테이블이냐, 컬렉션이냐, 그것이 문제로다!’에서 UICollectionView를 공부했지만 더 배우고 싶어서 A Tour of UICollectionView를 들었습니다.이 세션은 UICollectionView에 대해 좀 더 깊은 내용을 다뤘습니다. UICollectionView와 UITableView의 가장 큰 차이점인 레이아웃에 초점을 두었는데요. 단순히 UICollectionView에서 선형 레이아웃 말고 그리드 형식의 레이아웃을 만들 수 있다는 것, 커스텀 레이아웃을 만들 때 고려할 것, 구현에 대한 가이드라인까지 제시했습니다. 애플에서 제공하는 레이아웃 중 하나는 UICollectionViewFlowLayout입니다. UICollectionViewFlowLayout은 line-based 레이아웃 시스템입니다. 일직선 상에서 최대한 많은 아이템들을 채운 후, 다음 행 또는 열로 넘어가 아이템을 채우는 형식으로 컨텐츠들을 배치합니다. 가장 흔한 레이아웃 모습이 바로 그리드 레이아웃입니다.그리드 레이아웃, 또는 UICollectionViewFlowLayout으로 구현할 수 있는 레이아웃Line-based 레이아웃이 아닌 다른 모습의 레이아웃이라면 어떤게 있을까요? 세션에서 예를 든 레이아웃이 바로 모자이크 레이아웃이였습니다. 브랜디 앱, 또는 다른 앱에서 볼 수 있는 모자이크 레이아웃은 일직선상에서 일렬로 정렬하지 않고, 그리드 레이아웃과 조금 다른 모습입니다. 아래의 스크린샷을 보면 어떤 레이아웃인지 감이 잡힐 겁니다.브랜디 앱, 인스타그램 앱, 세션 예제 앱의 모자이크 레이아웃모자이크 레이아웃은 line-based 레이아웃이 아니기 때문에 일반적인 UICollectionViewFlowLayout을 사용하지 않고, UICollectionViewLayout을 상속하여 커스텀합니다. 총 4개의 기본 메소드와 추가적으로 고려해야하는 메소드 하나를 이용하여 커스텀 UICollectionViewLayout을 만들 수 있습니다. 모든 컨텐츠를 담는 뷰의 크기, 레이아웃의 속성 2개, 그리고 레이아웃을 준비하는 기본 메소드들을 구현하고, 레이아웃이 변경해야하는 상황(기기를 가로로 눕히거나 레이아웃의 위치가 변경될 때 등)을 고려하여 메소드를 구현하면 됩니다.open var collectionViewContentSize: CGSize { get } func layoutAttributesForElements(in rect: CGRect) → [UICollectionViewLayoutAttributes]? func layoutAttributesForItem(at indexPath: IndexPath) → UICollectionViewLayoutAttributes? func prepare() func shouldInvalidateLayout(forBoundsChange newBounds: CGRect) → Bool 세션 강연자가 직접 소스를 작성하면서 메소드 구현과 퍼포먼스를 위한 팁을 설명했습니다. 이 세션을 통해서 UICollectionView의 핵심인 레이아웃에 대해 더 깊이 배울 수 있었죠. 레이아웃 말고도 멋진 애니메이션 효과 구현 방법을 설명해주었는데요, 여기를 클릭해 직접 동영상을 보는 걸 추천합니다! 영상을 보고 나면 분명 멋진 UICollectionView를 구현할 수 있을 겁니다.Build Faster in XcodeBuild Faster in Xcode 는 가장 인기 있었던 세션 중 하나였습니다. 한국 개발자들 사이에서도 추천할 세션 중 하나로 꼽혔죠. 물론 혁신적으로 빌드 타임을 줄일 수는 없지만, Xcode의 기능과 빌드 타임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프로젝트 세팅과 가독성 있는 코드 작성, 이 두 가지가 빌드 타임과 관련되어 있었습니다. Xcode는 프로젝트를 구성(configure)할 때, 빌드할 targets(iOS App, Framework, Unit Tests 등)와 targets 사이의 종속 관계(dependency)를 따릅니다. Dependency에 따라서 target을 빌드하는 순서도 정해지는데, 순서대로 빌드하지 않고 최소한의 연결을 유지하면서 병렬적으로 빌드하게 됩니다.빌드 시간을 아름답게 줄일 수 있다.이것은 Xcode 10에서 Scheme Editor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Target → Edit Scheme → Build → Build Options에서 Parallelize Build를 체크하면 됩니다.Xcode 10의 Parallelize Build또한 Xcode 10에는 빌드 타임을 계산하는 기능도 있습니다. 빌드할 때 어떤 부분에서 얼마나 걸렸는지 요약해서 보여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Product → Perform Action → Build With Timing Summary를 선택하면 빌드 후 요약해서 Xcode에 나타납니다.Build With Timing Summary를 선택하여 빌드하면위 스크린샷처럼 요약해서 보여준다.Xcode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빌드 타임을 관리하는 방법도 있고, Swift으로 작성한 소스 코드를 가독성 높은 코드로 바꾸는 방법도 알려줍니다. 또한 Bridging Header로 Objective-C와 Swift를 동시에 개발할 때 도움이 되는 방법도 설명해줍니다. 빌드 타임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겁니다. 한 번씩 영상을 보길 추천합니다!Labs세션을 듣고 궁금한 점이 생겼다면 Labs(랩스)에서 질문할 수 있습니다. 각 세부 분야별 애플 기술자들이 시간대별로 모여서 개발자의 질문을 받거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Technology Labstechnology Labs 간판Labs 입구에 있는 부스별 주제짙은 남색 Engineer 티셔츠를 입은 애플 기술자들이 질문을 받고 있다.가장 인기가 많았던 랩스는 Auto Layout and Interface Builder, UIKit and Collection View, Building Your App with Xcode 10 등등이었습니다. 사람이 많아서 줄 서서 기다릴 정도였습니다. 내년에는 랩스 시간이 조금 더 길게 진행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WWDC 기간 중에 랩스에서 시간 보낸 적이 있었습니다. iOS 프로그래밍을 시작한 지 1년도 되지 않아 궁금했던 것들과 새로운 Xcode 10에 대해서 질문했습니다. 아래는 질문했던 내용을 문답형식으로 작성했습니다.애플 기술자와의 문답문: iOS 프로그래밍을 개발한지 얼마 안 된 신입 개발자입니다. 어떻게 하면 프로그래밍 실력을 높일 수 있나요? 답: 앱 하나를 처음부터 끝까지 개발해보면 실력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애플에서 만든 스위프트 책 보는 걸 추천한다.문: WWDC 기간 동안에 테스팅(testing)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상용하는 앱을 테스트하면서 개발하고 싶은데, 테스트는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요?답: 이것에 대한 세션 동영상 을 보는 걸 추천한다. 테스트는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이 동영상을 보면서 테스트에 대해 배우고 난 뒤, 직접 앱을 테스트해보길 권장한다.문: 새로운 Xcode 10에서 앱을 빌드해봤는데 에러가 났습니다. 이런 에러가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요?답: Xcode 10에 있는 컴파일러 문제다. 소스를 수정하면 앱이 빌드될 것이다. 컴파일러에 대해서 Xcode 팀에게 전달하겠다. (Range 관련된 컴파일러 문제였습니다.)문: 빌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답: 컴파일하는 소스 코드를 줄이거나 프레임워크를 만들어서 빌드할 때 마다 계속 빌드하지 않도록 하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세션을 들으면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Consultation Labs애플 기술자와 일대일 면담식으로 진행하는 랩스도 있었습니다. 예전에는 선착순으로 진행되었는데 올해는 신청을 받고 당첨된 개발자에게만 기회를 주었습니다. 당첨되면 30분 동안 신청한 분야(디자인, 앱 스토어, 마케팅 등)의 전문가와 질의응답을 할 수 있습니다. 가장 인기가 많았던 User Interface Design 랩스를 신청하고 당첨이 되었습니다. 디자인 전문가들과 시간을 보낼 수 있었는데요. 애플 디자이너들이 생각하는 최선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배울 수 있었고, 함께 앱을 관찰하면서 개선되었으면 하는 디자인 요소 등의 팁을 얻었습니다. 아쉽게도 촬영 및 녹음은 불가능했습니다. 시간도 짧게 느껴져서 아쉬웠습니다.Special EventsWWDC 기간 동안에는 세션과 랩스 위주로 진행되지만 중간에 가끔 스페셜 이벤트들도 진행합니다. 점심 시간에 유명 인사들을 초청해서 하는 짧은 강연, 아침 일찍부터 모여서 같이 달리면서 즐길 수 있는 이벤트(WWDC Run with Nike Run Club), 맥주와 함께 음악을 즐기는 이벤트 등 개발 외적인 이벤트들을 많이 진행했습니다. 저는 그 중에서 Bash 이벤트를 소개하고 싶군요.BashBash는 목요일에 진행한 뒤풀이 파티였습니다. WWDC 행사장 근처에 공원을 빌려서 맛있는 음식과 주류를 무료로 제공하고, 초청 가수의 공연도 볼 수 있었습니다. 초청 가수가 공연하기 전에 소개할 때 크레이그 페더리기가 무대에 나왔습니다. 개발로 지친 몸과 머리를 식히고 다른 개발자들과 어울려 놀 수 있는 공간이였습니다. 뒤풀이 파티가 끝나갈 때쯤 진짜로 WWDC가 끝나간다는 느낌이 들어서 괜히 아쉽기도 했었습니다.무대와, 맥주와, bash 입장권한국인 개발자들과 함께 즐긴 뒤풀이 파티초청 가수를 소개하러 무대에 올라온 크레이그 페더러기아름다운 노을!마치며이번 글에서는 WWDC의 세션, 랩스, 스페셜 이벤트를 설명했습니다. WWDC가 한 달 전에 끝났지만 지금 다시 생각하면 두근두근 설레고 또 가고 싶어집니다. 내년 WWDC에 또 갈 수 있을까요? 지금까지 애플 개발자들의 축제였던 WWDC의 Review를 마치겠습니다.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글김주희 사원 | R&D 개발1팀[email protected]브랜디, 오직 예쁜 옷만#브랜디 #개발문화 #개발팀 #업무환경 #인사이트 #경험공유 #이벤트참여 #이벤트후기 #미국
조회수 3868

[어반베이스 인턴일기] 전공의 벽을 뚫어낸 능력자들

                                                      ‘전공무관’. 많은 채용 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이야기죠. 하지만 채용공고만 그렇지, 막상 개발이라면 컴퓨터 공학을 전공해야 할 것 같고, 마케팅이라면 경영을 전공해야 할 것만 같습니다. 하지만 어반베이스의 개발 인턴들은 컴퓨터공학을 전공하지 않았고, 마케팅 인턴도 경영학을 전공하지 않았다는 사실! 우리는 어떻게 어반베이스를 알게 되어 어반베이스를 선택하게 되었을까요? 이제 들어온 지 한 달, 타운홀 미팅을 통해 정식으로 인사도 드렸으니 진정한 어반베이스의 식구가 되었습니다. 한달 간 느낀 인턴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만나보세요!※ 타운홀이란 ? 매달 1회 전직원이 모여 자유로운 주제로 소통하고 네트워킹하는 어반베이스만의 토론 문화 Pt 0. 자기 소개 및 하는 일 왼쪽부터 민진, 수민, 윤아마케팅부문 인턴 _ 민진 (컨텐츠 제작)건축공학을 전공하고 마케팅 부문 인턴이 되었다.어반베이스의 SNS들을 관리하고, 그에 맞는 컨텐츠를 제작, 그리고 이번에 열리는 어반스니커즈 컨퍼런스의 진행을 돕고 있다.개발부문 인턴 _ 수민 (3D 도면변환)건축학을 전공하고 개발부문 인턴이 되었다. 지금은 3D로 변환된 도면을 산업에서 쓸 수 있도록 다양한 3D 포맷으로 바꾸는 일을 한다. 개발부문 인턴 _ 윤아 (머신러닝)생체의공학을 전공하고 개발부문 인턴이 되었다.공간을 찍으면 공간이 어느 곳인지 인식하여 분류해주는 작업이다.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사용해서, 연령, 성별, 취향 등으로 공간을 세분화하여 그 공간에 맞는 제품을 추천해주는 시스템까지 계획하고 있다Pt 1. 선택Q. 어반베이스의 인턴 셋은 모두 전공과 다른 길을 가고 있네요. 어떻게 선택하게 된 길 인가요?전공과 맞지 않음을 깨달은 인턴 3人수민 : 전공이 건축이잖아요. 그런데 설계에 대한 회의가 들었어요. 그리고 VR에 관심이 생겼고, 그래서 프로그래밍을 배우게 됐어요.윤아 : 생체의공학과는 주로 배우는 분야가 하드웨어 쪽에 가까워요. 근데 저는 하드웨어 쪽은 잘 안 맞는 것 같더라고요. 전자공학과를 복수 전공하면서 프로그래밍 수업을 듣다가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에 흥미를 갖게 됐어요. 민진 : 취직 준비를 하면서 느꼈는데, 건축업계 자체가 굉장히 폐쇄적이고 수직적이고 보수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더라고요. 그런 곳에서 잘 적응하지 못할 것 같아 건축이라는 전공을 살려 할 수 있는 다양한 길을 찾아 봤고, 그런 과정 중에 어반베이스를 알게 됐어요.Q. 그렇다면 왜 어반베이스를 선택했나요? 윤아 : 데이터 사이언스 쪽으로 일자리를 찾다가 알게 됐어요. 수치나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해서 분석하는 공부를 많이 해서,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는 분야도 배우고 싶었는데, 어반베이스에서 그런 일을 하더라구요.수민 : VR에 관심이 있었고, 회사가 하는 일이 건축 전공이라면 잘 맞을 것 같아서 선택했고, 와서 겪어보니 실제로도 그런 것 같아요. 채용공고나 블로그에서 봤던 회사의 복지나 비전도 선택에 큰 영향을 미쳤죠. 민진 : 건축을 베이스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의 흐름을 직접 느낄 수 있는 회사에서 일을 하고 싶었어요. 그래서 무모하지만 과감하게 마케팅 팀에 지원을 했습니다. 수민님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는 어반베이스의 꿀복지!Q. 대기업이 아닌 스타트업을 생각했던 이유가 있나요? 윤아 : 대기업의 획일화 된 채용 시스템이 싫었어요. 딱딱하고, 틀에 박혀있는 그런 형식들이요.민진 : 저두요. 그리고 저는 스타트업에서 일을 하면 바로 실무를 할 수 있다고 해서 욕심이 났어요. 바로 일을 해보고 싶었거든요.Q. 전에 일을 하신적이 있나요? 실제로 일을 해보니 어떤가요?수민 : 실무를 하는 것은 처음이에요. 저는 3D로 변환된 도면을 산업에서 쓸 수 있도록 다양한 3D 포맷으로 바꾸는 일을 해요. 설계할 때는 3D 툴을 직접 다루는 입장이었는데 지금은 파일만 다루니 생소하긴 하네요. 부담되기도 하지만, 사람들에게 많이 물어보거나 정보를 알아서 흡수하려고 해요. 3D 도면변환을 담당하고 계신 수민님윤아 : 마찬가지로 실무는 처음이에요. 저는 머신러닝 쪽인데, 쉽게 말해서 공간을 찍으면 공간이 어느 곳인지 인식하여 분류해주는 작업이에요. 일단 아직은 배우는 중이라 그런지 일이 재미있어요. 시간이 빨리 가는건 재밌다는 거 아닐까요? 사실 사수가 있을 줄 알았는데 없어서 되게 막막했어요. 가끔 일 하다가 막힐 때가 있는데, 모르는 것은 다른 분들에게 물어보기도 하고, 구글링하거나 다른 책을 찾아보기도 해요. 머신러닝 부분의 윤아님민진 : 타 회사에서 설계 관련 인턴을 했었어요. 마케팅 실무는 처음이라 모든 것이 새로워요. 채용공고와 면접에서 SNS 콘텐츠 기획 및 제작을 주로 맡게 될 거라고 했고, SNS나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어서 자신이 있었어요. 그래도 확실히 실무는 다르더라고요. 사수분이 잘 가르쳐 주시는 덕에 잘 적응하고 있어요. 내 손으로 직접 무언가를 기획하고 컨텐츠를 제작한다는 것이 굉장히 재밌어요!SNS에 올라가는 컨텐츠를 만들고컨퍼런스 관련 컨텐츠를 제작하고 업무를 서포트 하고 있는 민진님Pt 2. 어반베이스의 첫 인상<인턴들이 뽑은 어반베이스의 좋은 점>1.윤아 : 사람들이 친절해요.민진 : 맞아, 뭐든 물어보면 되게 친절하게 알려주세요.2.민진 : 아, 그리고 유연 근무제 너무 좋아요. 아침에 지각하지 않으려 뛰지 않아도 되고, 사정이 있으면 빨리 퇴근할 수도 있고.수민 : 금요일에 2시에 퇴근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어요. 짱이에요. 9시 13분, 사무실 풍경. 자율적으로 조절하는 업무 스케줄3. 수민 : 또, 식대 8000원! 선릉 맛집 점령! 이 정도면 굉장히 넉넉하지 않나요? 어반베이스 단체방에 올라오는 점심 사진들. 넉넉함 인정4.윤아 : 무제한 맥주가 있는 것, 그리고 근무시간에 먹어도 된다는 것! 민진 : 커피도 무제한이잖아요. 심지어 맥주, 커피 모두 밖에서 사먹는 것보다 맛있어요.사진 출처 : 스파크플러스Q. 반면, 당황했던 부분이나 힘들었던 점도 있나요?민진 : 저는 처음에 ‘ㅇㅇ님’ 이라고 부르는 것이 너무 어색했어요. 전에 하던 알바와 인턴, 모두 직급체계가 확실한 곳이었거든요. 근데 이젠 다 적응해서 아무렇지도 않아요.Pt. 3 채용 과정Q. 어반베이스를 어떻게 알게 됐어요? 수민 : 로켓펀치와 원티드에서 알게 됐어요. 그리고 유튜브나 관련기사들도 많이 검색해봤어요. 보도자료를 보니 어반베이스가 하고 있는 일이 미래를 널리 생각하고 있는 것 같아서 굉장히 좋은 영향을 줬어요.  윤아 : 저도 원티드에서 보고 알았어요. 블로그나 기사가 많아서 하나씩 다 살펴봤어요. 민진 : 저도요. 유튜브 계정에서 하나씩 다 살펴봤어요. 건축 AR에 관련된 영상이었는데, 굉장하더라고요. 그동안 제가 만들었던 허접한 모형들이 뇌리를 스쳐 지나가며.. 이런 신세계가 10년만 일찍 펼쳐졌다면 밤을 좀 덜 샜을 텐데.. 모형을 만드는 나도, 그걸 보는 교수님도, 서로 덜 괴롭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하하. 영상의 풀버전은 어반베이스 유튜브에 올라와 있습니다!Q. 자기소개서 및 포트폴리오 준비는 어떻게 했나요?수민 : 자기소개서는 다른 자기소개서들이랑 비슷했어요. 지원동기, 성장배경, 성격 등 기본적인 문항들로 채웠고 그동안 했던 프로젝트를 PPT에 정리해 제출했어요. 윤아 : 저도 거의 비슷해요. 민진 : 저는 자기소개서를 굉장히 짧게 적었어요. '왜 어반베이스에 지원했는지, 왜 나를 뽑아야 하는지' 딱 두 개만 적었어요. 포트폴리오는 건축 프로젝트, 공모전, 동아리 등 내가 했던 모든 활동을 정리해서 제출했어요. Q. 면접은 어땠나요?윤아 : CTO님이 이야기를 굉장히 잘 들어주시고 편한 분위기에서 면접이 진행되었어요. 면접을 진행하며 좋은 인상을 받았어요.수민 : 저는 조금 긴장했어요. CTO님께서 제 포트폴리오를 보고 질문을 하셨어요. 제 답변에 틀린 점도 있었는데 틀린 부분을 친절히 설명해 주시기도 했어요. 2차 면접도 역시 편안했고요.민진 : 저는 1차 면접을 마케팅팀 분들과 봤어요. 면접 자체가 제가 일방적으로 질문에 응답하는 것이 아닌, 서로 이야기를 주고 받는 '대화'에 가까웠어요. 그래서 저도 면접 이후로 더욱 좋은 인상을 받았어요. 두 번의 면접이 진행되면서 어반베이스가 하고 있는 사업들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게되었는데, 진짜 꼭 붙고 싶더라고요. 붙어서 참 다행입니다. 마지막으로Q. 전공과는 조금 다른 길을 선택했는데, 후회는 없나요?수민 : 음, 그래도 어반베이스는 건축이 바탕이 되어 있으니까요. 건축산업이 좀 더 유연하게 바뀌고, 기술이 많이 도입 된다면, 지금 제가 보내는 이 시간들이 굉장히 값진 시간이 될 거예요. 프로그래밍과 건축 베이스의 지식이 굉장한 무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윤아 : 저도 후회는 없어요. 요즘 데이터 분석은 어딜가나 쓰이니까요. 전공을 살려 의료 쪽 데이터를 다룰 수도 있지 않을까요? 그런 의미에서 전공지식이 무용지물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민진 : 저도 후회 안해요. 건축을 전공했기 때문에 지금 어반베이스가 하고 있는 일을 훨씬 잘 이해할 수 있었어요. Q. 어반베이스를 들어오고 싶은 사람들에게?수민 : 어반베이스는 기술 집약적인 기업이라 생각해요. 프로그래밍의 아주 초입자라면 어렵겠지만 업무가 적성에 맞다면 즐겁게 일할 수 있을 거에요.민진 : 미래산업에 관심이 있다면  더욱 흥미롭게 다가올 것 같아요. 현재 국내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사업이 아니기 때문에 굉장히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해요. 인터뷰 Behind 1어반베이스의 좋은 점에 대해 이야기하며 어반베이스 복지문화 중 하나인 ‘어반테이스트’의 얘기가 나왔습니다. 수민 : 아, 그 어반테이스트도 가신 분들 엄청 부러워요. 그 쓰리쁠 등심.. 나도 먹어보고 싶다. 윤아 : 나는 어반 테이스트 뽑히면 스시먹어야지. 수민 : 오마카세..!민진 : 아, 갑자기 배고프네. 다들 좋아하는 음식 있어요?윤아 : 아무거나 다 잘 먹어요.수민 : 저는 라멘이 먹고 싶네요.윤아 : 수민님 며칠전부터 라멘 얘기하셨어요. (웃음)민진 : 그럼 오늘 점심 때 먹으러 가요. 빨리 선릉역 라멘 맛집 찾아봐요. 선릉역 라멘집 호타루인터뷰 하다말고 맛집을 검색하더니 곧 우리의 행선지가 결정되었습니다! 점심으로 라멘을 먹고 셋이서 아주 뿌듯했다는 이야기. (ㅎㅎ) 인터뷰 Behind 2윤아 : CTO님과 면접보다가, 나중엔 자소서 잘 쓰는 법도 알려 주셨어요. 그래서 '아, 날 뽑지 않고 자소서 잘 써서 다른데 지원하라는 의미구나.' 싶었어요. 그래서 떨어질 줄 알았는데, 합격 전화가 와서 깜짝 놀랐어요. (웃음)수민 : 원래 공대생들이 글을 잘 못쓰잖아요. 모두 : 아, 완전 공감.선택한 길에 대해 후회는 없다는 인턴 3인방. 인터뷰를 하며 공통적으로 말했던 것은 ‘좋은 사람들과 멋있는 일을 할 수 있어 아주 즐겁고 재밌다!’는 것이었어요. 어반베이스도, 우리들도 더욱 발전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어반베이스에 관심이 생기신 분들, 그래서 입사 지원을 하시는 분들 중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담당자분에게 직접 물어봐 드릴게요.  그럼 이만 일하러 가보겠습니다 !출처: https://blog.naver.com/urbanbaseinc
조회수 958

AWS IoT Core 활용하기

이 포스팅에 실린 실습은 AWS CLI가 설치되어 있고, AWS credentials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진행했습니다. 서버와 하드웨어 사이의 TCP 연결을 구현하지 않고 AWS IoT를 이용해 MQTT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환경을 구성해보겠습니다. 진행을 위해 AWS IoT와 NodeJS가 필요합니다.1.AWS IoT Core로 접속해 사물을 생성합니다. 테스트로 1개만 사용할 것이므로 “단일 AWS IoT 사물”로 등록합니다.2.‘인증서 없이 사물 생성’을 클릭합니다. 인증서는 사물 등록 후에 생성할 예정입니다.3.사물이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는지 확인합니다.4.루트 CA 인증서를 생성합니다. 4-1.개인키를 생성하기 전, openssl 설정 파일을 추가해 아래 내용으로 저장합니다. 아래와 같이 진행하는 이유는 basicConstraints = true로 설정하기 위해서입니다.4-2.개인키를 생성합니다.openssl genrsa -out rootCA.key 2048 4-3.루트 인증서를 생성합니다.openssl req -x509 -new -nodes -key rootCA.key -sha256 -days 1024 -out rootCA.pem -config rootCA_openssl.conf -extensions v3_ca 5.인증서를 생성합니다. 5-1.AWS IoT 등록 코드를 확인합니다.aws iot —region=ap-northeast-1 get-registration-code 5-2.개인키를 생성합니다.openssl genrsa -out verificationCert.key 2048 5-3.CSR을 생성합니다. 앞서 5-1에서 확인한 등록코드를 Common Name 항목에 입력합니다.openssl req -new -key verificationCert.key -out verificationCert.csr 5-4.인증서를 생성합니다.openssl x509 -req -in verificationCert.csr -CA rootCA.pem -CAkey rootCA.key -CAcreateserial -out verificationCert.pem -days 500 -sha256 5-5.CA 인증서와 개인 인증서 파일들을 확인합니다.5-6.AWS에 인증서를 등록합니다.aws iot register-ca-certificate —ca-certificate file://rootCA.pem —verification-cert file://verificationCert.pem —region=ap-northeast-2 5-7.AWS에 인증서를 활성화합니다.aws iot update-ca-certificate --certificate-id 인증서 등록 후 응답으로 오는 certificateId 값 --new-status ACTIVE --region=ap-northeast-2 예)aws iot update-ca-certificate —certificate-id AAAAAABDADFDF1ABADFDFDFDF### —new-status ACTIVE —region=ap-northeast-2 5-8.AWS에 인증서 자동 등록 활성화를 켭니다.6.AWS 콘솔에 접속해 CA 인증서 등록을 확인합니다.7.AWS 콘솔에서 인증서를 생성합니다.7-1.원클릭 인증서 생성을 클릭합니다.7-2.활성화를 클릭하면 완료됩니다.8.인증서와 사물을 연결합니다.9.상호 작용 탭에서 디바이스를 연결합니다.10.환경에 맞게 선택하여 다운로드합니다.11.압축을 해제해 srart.sh를 실행하고, 연결 대기합니다.12.AWS IoT 테스트 접속 후, topic 1으로 메시지를 게시합니다.13.터미널을 확인합니다.이것으로 AWS IoT 로컬 환경이 구성되었습니다. AWS IoT를 사용하면 서버와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클라이언트 간 통신을 쉽게 하도록 다양한 구성을 할 수 있습니다. 모든 포맷은 JSON 포맷으로 송수신하며,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방식이라 양방향 통신을 쉽게 처리하고 전송할 수 있을 겁니다.참고자세한 MQTT - Publish/Subscribe 모델은 여기를 클릭하세요.글장현준 팀장 | R&D 개발3팀[email protected]브랜디, 오직 예쁜 옷만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