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홈

인터뷰

피드

뉴스

조회수 770

HBase Meetup - 비트윈에서 HBase를 사용하는 방법 - VCNC Engineering Blog

비트윈에서는 서비스 초기부터 HBase를 주요 데이터베이스로 사용하였으며 사용자 로그를 분석하는 데에도 HBas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난 주 금요일(11월 15일)에 HBase를 만든 Michael Stack 씨가 한국을 방문하게 되어 ZDNet 송경석 팀장님의 주최 하에 HBase Meetup Seoul 모임을 가졌습니다. 그 자리에서 VCNC에서 비트윈을 운영하면서 HBase를 사용했던 경험들이나 HBase 트랜잭션 라이브러리인 Haeinsa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드리는 발표 기회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 발표한 내용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자 합니다.비트윈 서비스에 HBase를 사용하는 이유비트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능 중 하나가 채팅이며, 채팅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데이터 구조나 연산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HBase 의 단순한 schema 구조가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특히 쓰기 연산이 다른 기능보다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높은 쓰기 연산 성능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메세징이 중심이 되는 서비스는 높은 확장성(Scalability)과 쓰기 성능을 가진 HBase가 유리하며 비슷한 이유로 라인이나 페이스북 메신저에서도 HBase를 사용하는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습니다.로그 분석에도 HBase를 사용합니다비트윈은 사용자 로그 분석을 통해서 좀 더 나은 비트윈이 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비트윈 사용자가 남기는 로그의 양이 하루에 3억건이 넘기 때문에 RDBMS에 저장하여 쿼리로 분석하기는 힘듭니다. 그래서 로그 분석을 위해 분산 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인 Hadoop MapReduce를 이용하며 로그들은 MapReduce와 호환성이 좋은 HBase에 저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렇게 MapReduce 작업들을 통해 정제된 분석 결과를 MySQL에 저장한 후에 다양한 쿼리와 시각화 도구들로 custom dashboard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저희 Biz development팀(사업개발팀)이나 Data-driven팀(데이터 분석팀)이 손쉽게 insight를 얻어낼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HBase를 사용하면서 삽질 했던 경험HBase를 사용하면서 처음에는 잘못 사용하고 있었던 점이 많았고 차근차근 고쳐나갔습니다. Region Split과 Major Compaction을 수동으로 직접 하는 등 다양한 최적화를 통해 처음보다 훨씬 잘 쓰고 있습니다. HBase 설정 최적화에 대한 이야기는 이전에 올렸던 블로그 글에서도 간단히 소개한 적이 있으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HBase 트랜잭션 라이브러리 해인사Haeinsa는 HBase에서 Multi-Row 트랜잭션을 제공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으며 Deview에서도 발표를 했었습니다. HBase에 아무런 변형도 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던 HBase 클러스터에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비트윈에 실제로 적용되어 하루 3억 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있으며 다른 많은 NoSQL 기반 트랜잭션 라이브러리보다 높은 확장성과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발표에서 사용했던 슬라이드를 첨부하였으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iframe class="speakerdeck-iframe" frameborder="0" src="//speakerdeck.com/player/2b8092b02ff90131ef414aa7d272d735?" allowfullscreen="true" mozallowfullscreen="true" webkitallowfullscreen="true" style="border: 0px; background: padding-box rgba(0, 0, 0, 0.1);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radius: 6px; box-shadow: rgba(0, 0, 0, 0.2) 0px 5px 40px; width: 750px; height: 563px;">
조회수 1526

8퍼센트 '프로덕트' 팀 인터뷰

안녕하세요, 8퍼센트입니다.8퍼센트는 다양한 매체와 콘텐츠로 이야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이번엔 인터뷰를 통해 8퍼센트를 이루고 있는 각 팀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며 고객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합니다. 그 첫 번째 주인공은 서비스 개발을 담당하는 ‘프로덕트’ 팀입니다.Q. 안녕하세요, 인터뷰를 위해 프로덕트 팀 허재영 님과 이호성 CTO님이 자리해주셨는데요. 먼저, 8퍼센트의 제품을 만드는 프로덕트팀은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시나요?A. 프로덕트 팀은 8퍼센트의 서비스를 만드는 팀입니다. 고객들이 8퍼센트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서비스를 개선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인터넷 기반 금융 서비스는 공인인증서, Active X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사용자의 편리함에 초점을 두고 있지 않습니다. 저희의 역할은 사용자들에게 더 편리하고 효율적인 금융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시도하는 것입니다.Q. 새로운 금융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해나가는 과정이 쉽지 않을 것 같은데, 그것에 대해 어려움과 극복해낸 경험이 궁금합니다.A. 8퍼센트는 이미 만들어진 솔루션을 사용하거나 외주를 통해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존의 회사들과 다르게 직접 바닥부터 금융 시스템을 쌓고 있습니다. 금융시스템은 정확함과 안정성을 빼놓을 수 없는데 사용자가 많아지고 시스템이 거대해질수록 생각지 못한 부분에서 오류가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오류는 회사의 손실을 발생시키고, 고객들의 신뢰를 잃게 합니다. 위와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게 시스템을 정밀하게 설계하는 것은 기본이고 추가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해 올바르게 대처하는 것이 금융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과정입니다. 물론 힘든 과정이지만 단계별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앞으로 남들과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고 생각합니다.서비스 초기, 지급 프로세스에 문제가 있었던 적이 있었는데, 이를 인지하고 그에 대한 대응을 진행했습니다. 또한, 대응에 그치지 않고 테스트와 수정한 부분에 대해 제대로 동작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QA(Quality Assurance) 프로세스를 갖추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Q. 그렇게 만들어지는 8퍼센트 서비스만의 차별화된 점은 무엇인가요?A. 첫 번째는 '자동 투자'입니다. 자동 투자를 선택하게 되면 예치금과 상환된 투자금이 지속적으로 재투자됩니다. 따라서, 고객이 직접 신경 쓰지 않아도 자산을 쉽게 불릴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스페셜딜'입니다. 일부 스페셜딜은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투자자가 직접 체험해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은 투자 이외의 부수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소개해드릴 마지막 차별점은 다양한 업체와의 제휴입니다. 8퍼센트는 현재, 기존 금융권에 있는 많은 금융 회사들과 제휴를 맺고 있습니다. 기존 금융 회사가 오랜 시간 쌓아놓은 시스템과 노하우, 그리고 8퍼센트의 서비스를 합쳐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저희 서비스의 강점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기존 금융권뿐 아니라 토스와 같은 스타트업과의 제휴 역시, 토스 플랫폼에서 간편하게 8퍼센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런 다양한 제휴는 저희만의 차별점이 된다고 생각합니다.Q. 8퍼센트 서비스에는 정말 다양한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좋은 서비스를 구상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이 무엇인가요?A. 프로덕트 팀에서는 제품을 구상하는 데 있어서 ‘고객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가치’, ‘안정성과 정확성’, ‘사용성’ 이렇게 세 가지 기준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금융 서비스는 대부분 돈으로 환산되는 가치를 추구합니다. 프로덕트 팀이 추구하는 금전적인 가치 역시 투자를 했을 때 돈을 벌고, 대출을 통해 돈을 절약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금전적 가치는 개인과 개인들이 서로 연결되어 발생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가치에 기여한다 생각합니다. 또한, 핀테크 서비스들이 나오기 이전에 투자와 대출은 상당히 무겁고 다가가기 힘든 면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프로덕트 팀에서는 투자와 대출로 이뤄진 8퍼센트 서비스를 이용자가 손쉽게 쓸 수 있게 만드는 ‘사용성’이 제품을 구상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어, 토스 플랫폼을 통해서 저희 투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사용성’을 높이는 것의 일환입니다.Q. 얘기를 들어보니 명확한 기준을 통해 좋은 서비스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8퍼센트 투자나 대출 서비스를 직접 이용하시나요? A. 모두가 소액부터 거액까지 다양하게 투자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고 있습니다. 이는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해볼 기회가 되어 일하는데 좋은 자극이 됩니다. ‘개밥 먹기’라고 개 사료를 만드는 회사에서 실제로 먹어보면서 제품이 어떤지 테스트하는 것에서 유래한 말이 있습니다. 8퍼센트 역시 이런 '개밥 먹기' 테스트를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상품 2.0이 처음 출시되었을 때, 직접 소액 대출을 받아 안내, 혹은 연체 문자가 잘 오는지 등 대출 프로세스를 경험하기 위해서 대출 서비스를 이용했습니다. 물론 회사 내부 관계자에게 대출하기 위해 투자자를 모은다는 것은 윤리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에 딜을 내부로만 열어서 회사 분들이 투자한 것만으로 모집했습니다. 신용등급은 당연히 떨어지지 않았고 상환하며 아직 잘 쓰고 있습니다.Q. 현재 P2P 금융 법제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과거 새로운 규제가 생겼을 때 대처한 경험이 궁금합니다.A. 지금까지 가장 큰 변화는 작년 5월 가이드라인이 시행되면서 일어났습니다. 그전까지 투자자들로부터 모집한 자금은 회사의 소속으로 되어있었는데, 회사가 부도가 나게 되면 그 돈이 압류되어 투자자들의 돈을 못 빼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었습니다.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부분 중 가장 큰 것이 바로 이에 대한 것입니다. 투자자의 돈을 제삼자가 보관하게 해라 즉, 금융기관이 그 돈을 보관하게 하라는 것인데 이를 위해 농협과 함께 설계부터 시작해 지금의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농협 측에 자금을 보관하고 저희가 시스템상으로 자금의 흐름을 요청하는 식으로 자금이 직접 저희를 통하지 않고 P2P 거래가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Q. 프로덕트 팀의 대처 능력이라면 법제화 같은 변화에서도 흔들림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프로덕트팀의 목표는 무엇인가요?A. 프로덕트 팀에서는 항상 ‘우리가 바라는 프로덕트가 무엇일까?’ 고민합니다. 개발자로서 가장 안타까운 것은 열 명의 팀원들이 서로 힘내서 만들어내는 서비스가 사라지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은 사회적인 가치를 인정받는다는 것입니다. 물론 돈을 만들어낸다는 얘기이기도 하지만 우리가 열심히 만든 자식과도 같은 서비스의 사회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지속가능하게 하는 것이 최종적인 목표입니다. 특히 이번 18년도 1분기에 8퍼센트의 단기적 성장과 함께 미래 계획이 구체화 되고 그에 대한 긍정적인 확신이 생겨 큰 동기부여가 되었습니다. 8퍼센트 고객들도 더 편리하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만들어갈 저희와 끝까지 동행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인터뷰는 8퍼센트의 모든 팀을 소개할 때까지 계속되니 많이 기대해주세요:)> 8퍼센트 서비스 보러 가기 #8퍼센트 #에잇퍼센트 #프로덕트팀 #프로덕트 #인터뷰 #팀원소개 #팀소개
조회수 2838

Node.js를 배우기 시작하다

안드로이드 개발자인 내가 항상 필요하다고 갈구하는 부분은 백엔드 개발이었다.기획에서부터 디자인, 안드로이드 개발까지는 혼자 진행하지만 대부분의 서비스에서 필요로 하는 서버를 전혀 다루지 못했기 때문에 혼자서 진행할 수 있는 프로젝트는 유틸성 어플리케이션까지로 굉장히 한정적이었다.그래서 매번 개인 프로젝트를 기획할 때마다 백엔드 개발의 필요성을 느꼈고 이제야 시작해보려고 한다.'안드로이드는 앱을 개발하기 위해서 배워야 하는 언어와 개발 툴은 Java와 Android Studio다.'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선택의 폭이 넓지 않은 것에 비해 (최근에서야 코틀린이나 리엑트 등이 생겨나 선택권이 많아 지긴 했지만 웹이나 서버에 비한다면..) 서버는 너무나 방대한 선택지에서부터 어려웠다. 그래서 검색과 주변의 추천을 통해 선택지를 추려나갔는데 주변에 물어보는 족족 Node.js(이후 '노드'로 통칭)를 언급하길래 어느 정도 노드로 가야겠구나 마음먹고 어떤 언어인지 알아보았다.먼저 노드의 장점이다.1. 노드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인 이벤트 기반 비동기 방식으로 단 하나의 스레드만 생성하여 일을 처리한다. 그러므로 메모리와 같은 시스템 리소스 사용량에 큰 변화가 없어 대규모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적합하다.-> 사실 이 장점에 있어서는 아직 내가 서버 개발을 했던 사람이 아니기에 얼마나 큰 장점인지 체감되지는 않는다.2.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개발할 수 있다.-> 이 부분이 내가 노드를 택하게 한 가장 큰 이유다. 이게 왜 큰 이유냐고 할 수 있겠지만 최근 자바스크립트 언어를 이용한 굉장히 다양한 프레임워크들이 등장하고 있다. 어차피 웹 개발이나 하이브리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시작할 때 배워야 하는 언어이기에 이왕 배울 거 활용성 높은 언어가 좋지 않은가. 효율을 가장 중시하는 나에게는 가장 큰 장점으로 느껴졌다.3. 노드는 구글이 만든 자바스크립트 엔진인 V8을 사용한다.-> 브라우저들끼리 경쟁하며 자바스크립트 엔진 속도를 발전시키는 과정에 있으며 구글 또한 V8 자바스크립트 엔진 속도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엔 노드의 단점이다.1. 하나의 스레드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작업이 지연된다면 시스템 전체의 성능이 저하된다.2. 에러가 발생할 경우 프로세스 자체가 죽어버리므로 주의해야 한다.아직 잘 모르기 때문에 얼마나 크리티컬 한 단점인지는 잘 실감이 나지 않는다. 단점에 대해서는 직접 개발해보면서 느껴봐야 할 것 같다.아무튼 이러한 이유로(사실 자바스크립트의 이유로) 노드를 택해서 공부하기로 했다.이번 주 주말부터 마음 맞는 몇몇의 개발자분들과 같이 스터디도 시작!빠르게 노드를 배워나가면서 AWS로 서버 구축하는 방법까지 익히면서 실무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았다.배워나가는 것과 과정들을 꾸준하게 포스팅할 예정이다. 화이팅하자!참고문헌:모던 웹을 위한 Node.js 프로그래밍 - 윤인성개발자로 살아남기 (http://118k.tistory.com/197)티스토리 블로그와 동시에 포스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http://madeitwantit.tistory.com#트레바리 #개발자 #안드로이드 #앱개발 #Node.js #백엔드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회수 1522

스타일쉐어 커머스 시스템 리빌딩 회고 1

스타일쉐어 스토어 소개스타일쉐어 스토어(이하 커머스)는 2016년 4월 출시되어 지금까지 나날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작년 초, 커머스 시스템을 리빌딩하기로 했고 현재까지 진행 중입니다. 어떤 이유로 리빌딩을 하는지, 어떤 고민을 했는지,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 몇 자 적어보려 합니다. 이 글은 문제 인식, 목표, 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리빌딩을 결정한 이유커머스 프로젝트를 시작할 당시 커머스 시스템을 경험해본 개발자가 없었습니다. 이 상황에서 새로이 구현하기엔 위험 부담이 크다는 판단을 했습니다. 때문에 커머스 솔루션을 도입했고, 적은 비용으로 커머스 기능을 출시할 수 있었습니다. 거래량이 점점 늘어나면서 솔루션이 감당할 수 있는 한계치를 벗어나자, 예상치 못했던 기술적인 이슈가 발생했습니다. 사내 MD팀, CS팀은 물론, 입점사들과 유저들에게까지 불편한 경험을 주고 있었습니다. 개발팀은 솔루션 유지 보수와 운영 이슈에 집중했지만, 끝이 없는 문제들에 점점 지쳐갔습니다. 개발팀의 퍼포먼스는 저하되고 있었고, 새로운 기능 개발에 집중하지 못하는 상황까지 발생했습니다. 이 시점에서도 거래량과 매출은 꾸준히 늘어났으며, 더 늦기 전에 리빌딩을 진행해야겠다고 판단했습니다.리빌딩의 목표당장 눈앞에 생겨나는 문제들로, 서비스가 해결하고자 하는 본질적인 문제들에 집중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궁극적으로 이 상황을 개선하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선택의 기로에 섰을 때 좋은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언제 끝날지 모르는 리빌딩이 산으로 가는 걸 막기 위해 목표를 몇 가지 세웠습니다.유지보수 및 운영 이슈에 소모되는 개발 리소스 최소화커머스 시스템과 연계되는 기능들을 공격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함개발 리소스 대비 높은 퍼포먼스를 낼 수 있어야 함튼튼한 커머스 시스템목표 1. 유지보수 및 운영 이슈에 들이는 개발 리소스 최소화기존 솔루션의 큰 레거시는 소모될 개발 리소스의 양과 일정을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었고, 개발자에게도 큰 스트레스를 안겨줬습니다. 서비스의 성장을 방해하는 큰 걸림돌 중 하나이며, 개발팀의 움직임을 느리게 만드는 주된 원인이었습니다. 리빌딩을 완료하더라도 유지보수와 운영 이슈는 끝이 없을 테지만, 더 이상 같은 문제를 반복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효율적인 개발 리소스 운용을 위해선 가장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목표 2. 커머스 시스템과 연계되는 기능들을 공격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함기존 솔루션 레거시가 너무 복잡하여 기능을 추가하거나 개선하기 어려워 반려한 요구사항이 많았습니다. 매력적인 요구사항에도 조심스럽게 대응했습니다. 서비스 성장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하는 상황인데, 기술적인 이유로 진행이 까다롭다고 말하는 게 항상 아쉬웠습니다. 개발팀에서도 좋은 기능을 공격적으로 구현하고 싶으나, 실제로도 작업하기 까다로워 항상 답답했습니다. 어떤 방법이던 괜찮으니 지금보다 훨씬 더 공격적인 기능 구현으로 서비스 성장에 좋은 영향을 주고 싶었습니다.목표 3. 개발 리소스 소모 대비 높은 퍼포먼스를 낼 수 있어야 함스타일쉐어 팀은 기존 서비스 운영과 동시에 항상 새로운 무언가를 찾으려 합니다. 개발팀은 이 움직임에 맞춰 개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운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개발 리소스는 한정적이며, 다양항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해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커머스 관련 작업 시, 언제나 평균 이상의 높은 퍼포먼스를 내고 싶었습니다.목표 4. 튼튼한 커머스 시스템커머스 시스템의 장애는 매출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줍니다. 어떤 작업을 하더라도 커머스 시스템은 잘 운영되어야 합니다. 높은 가용성은 개발팀의 숙명이며, 공격적인 기능 개발에도 높은 가용성을 유지하려면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모두 꿈에 가까운 목표들입니다. 이 목표들에 조금이라도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거라 생각했습니다.현실 반영과 계획당연하게도 현실적인 부분을 생각해야 했습니다. 이미 예정된 작업들이 많아 리빌딩에 필요한 개발 리소스를 확보하기 어려웠고, 개발 성공 여부 또한 불확실해 팀원들을 설득하기 어려웠습니다. 유지보수와 운영 이슈는 끝이 없었고, 회사 방향에 따라 추가 기능 개발과 개선 작업을 진행해야 했습니다. 이 상황을 고려해 리빌딩을 성공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나갔습니다.개발 리소스에 여유가 생길 때까지 서브 프로젝트로 진행기존 커머스 시스템과 리빌딩된 시스템을 동시에 운영할 수 있어야 함적절한 단위로 서비스를 나눠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개발 진행계획 1. 개발 리소스에 여유가 생길 때까지 서브 프로젝트로 진행다들 리빌딩이 필요하다고 느꼈지만, 선뜻 진행하기엔 큰 부담이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여유가 생길 때 리빌딩을 진행해도 되지만, 그땐 너무 늦을 것 같았습니다. 최대한 빨리 작업을 시작하고 싶었고, 그러기 위해선 서브 프로젝트 수준으로 진행하는 게 제일 빠른 방법이라 생각했습니다.계획 2. 기존 커머스 시스템과 연동되어 동시에 운영할 수 있도록 함리빌딩의 완료 시점을 예측하기 어려웠습니다. 때문에 기존 커머스 시스템을 운영하며 리빌딩을 진행해야만 했습니다. 그리고 리빌딩된 시스템은 점진적으로 기존 커머스 시스템을 교체해 나가야 하므로, 두 시스템이 서로 연동되어야 했습니다. 또한 리빌딩된 시스템이 잘 동작할지에 대한 확신이 없어, 언제나 후퇴 계획을 세워야 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기존 커머스 시스템의 DB와 스키마를 그대로 사용하고, 두 시스템의 로직이 서로에게 문제가 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개발하기로 했습니다.계획 3. 적절한 단위로 서비스를 나눠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개발 진행커져가는 개발팀과 복잡해져 가는 커머스 시스템을 생각하면 요즘 자주 들리는 마이크로 서비스 구조(이하 MSA)를 도입해도 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솔직히 이런저런 이유보다, 재미 때문에 도입해보고 싶었습니다. 처음 도입하는 구조라 조심스러웠지만, 적절한 단위로 서비스를 나눈다면 충분히 좋은 효율을 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었습니다. 재미와 만족은 덤이고요. 서비스를 나누는 기준은 2가지로 잡았습니다.개발 안정성/개발 속도 둘 중 어느 것에 집중해야 하는가?서비스를 사용하는 주체는 누구인가?—개발 안정성/개발 속도 둘 중 어느 것에 집중해야 하는가?개발 안정성과 개발 속도에 대해 생각한 이유는 시스템 안정성과 작업 퍼포먼스 모두 잡고 싶은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MSA는 서비스 별로 다른 언어를 사용해도 괜찮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덕분에 상황 별로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개발 안정성 혹은 개발 속도에 잘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습니다. 나중에 기술 스택을 설명하면서 얘기를 하겠지만, 개발 안정성을 추구해야 하는 부분은 java8로, 개발 속도를 추구해야 하는 부분은 node나 python으로 구현됩니다.서비스를 사용하는 주체는 누구인가?서비스를 어떤 기준으로 나눌지 고민이 많았습니다. 처음엔 상품 관리, 주문 관리, 출고 관리 등 DB 테이블에 가까운 기준으로 나누려고 했으나, 서버 운영이 큰 부담으로 다가올 것 같다는 의견 때문에 다른 기준을 세워야 했습니다. 서비스를 사용하는 주체 별로 나누면 어떨까라는 말이 나왔고, 이 기준이라면 큰 부담이 없을 것 같았습니다. 서비스를 사용하는 주체는 유저, 관리자, 입점사, 다른 서비스 이 4가지라고 정의했고, 이에 따라 서비스를 구성했습니다.—앞서 말한 두 기준으로 나눴을 때에 대한 예시입니다.유저 커머스 서비스 (node 혹은 python)관리자 커머스 서비스 (node 혹은 python)입점사 커머스 서비스 (node 혹은 python)커머스 핵심 기능 서비스 (java8)위 두 기준 말고도 서비스 운영에 큰 부담이 없다면 상황에 맞춰 다른 기준을 세워 서비스를 나누기도 했습니다.이 고민이 끝난 후, 현실적으로 실행 가능한 계획이 나온 것 같아 만족스러웠습니다. 이 계획을 토대로 아키텍처를 구성하고 개발을 진행했습니다.마무리어떤 문제 때문에 리빌딩을 결정했고, 어떤 목표와 계획을 세웠는지 주저리주저리 적어봤습니다. 앞에서 말했듯이 리빌딩은 아직 진행 중입니다. 현재 정식 일감으로 진행되고 있고, 상황에 맞게 계획을 다시 세워 조금씩 목표에 다가가고 있습니다. 처음엔 3부로 계획했지만, 아직 리빌딩 중이란 걸 까먹고 있었나 봅니다. 이 프로젝트가 완료되기 전까진 회고록으로써 글을 계속 쓸 것 같습니다. 앞으로 풀어야 할 문제들이 많으니 하소연할 것들도 많을 거고요. 아무쪼록 다음 편에선 시스템 구성도와 기술 스택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해보려 합니다.스타일쉐어 개발팀의 고민과 생각들이 부디 도움이 되었길 빕니다. :)#스타일쉐어 #개발팀 #리빌딩 #인사이트 #조언
조회수 6070

개발자 직군 파헤치기 1 | 프론트(Front), 백(Back), 풀스택(Full-Stack) 개발자

수많은 개발자 직군들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언어만 배운다고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이 배운 언어를 가지고 어떤 개발자가 될지 고민도 해야합니다. 실제로, 많은 분들이 내가 어떤 분야의 개발자가 되야 할지 고민을 많이 합니다. 그런데 이 고민에 앞서 어떤 개발자의 종류가 있고 직군이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준비한 연재는 개발자 직군 파헤치기 시리즈입니다. 우리가 개발의 한 직군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들 중 관심이 많이 가는 직군들을 위주로 알아볼 것입니다. 일하는 분야에 대한 직군(게임 개발자)에 대한 이야기도 할 것이고, 지금 이야기할 프론트-엔드, 백-엔드처럼 개발의 영역에 대한 이야기도 할 것입니다. 다양한 관점에서 개발자의 영역들을 살펴볼 것입니다. 자, 그럼 지금부터 시작해 보죠!(※이 글은 유다시티 3Web Dev Careers Decoded: Front-End vs Back-End vs Full Stack을 번역한 것입니다.Front, Back and Full Stack우리가 매일같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과정을 떠올려봅시다. 새 브라우저 탭을 열고 URL을 입력 한 다음 Enter 키를 누르면 그 즉시 사이트가 로딩이 됩니다. 깔끔한 레이아웃, 잘 구성된 페이지, 그리고 화려한 시각적 효과들은 때로 감탄을 자아내죠.순식간에 일어난 이 모든 경험을 담당하는 사람들이 바로 웹 개발자들입니다.2018 년 4 월 현재 인터넷에 있는 페이지의 수는 45 억개가 넘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그 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누군가 안정적인 직업을 찾고 싶다면 웹 사이트의 코딩, 설계, 분석 및 유지 관리를 담당하는 사람들, 곧 웹 개발자들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웹 사이트는 이제 모든 비즈니스가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웹 개발의 트렌드와개발의 패러다임이 거의 매 시즌마다 바뀌는 상황에서, 개발자에 대한 수요는 부족함이 없습니다.그러나 웹 개발자의 범위는 매우 넓기 때문에 정확히 어떤 종류의 웹 개발자 채용 공고를 찾아보아야 하고, 그러한 개발자가 되기 위해 무슨 교육을 받아야 하는지를 판단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만약 구직 사이트를 둘러 보거나 온라인 강좌를 알아본 경험이 있다면, 프론트엔드, 백엔드, 그리고 풀스택 개발자라는 용어를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입니다.HTML, 자바 스크립트 또는 약간의 파이썬을 사용해 본 적이 있지만, 막상 개발자 직군에 대해서는 막막했다면 이 글이 매우 유용할 것입니다. Photo by Annie Spratt on UnsplashFront-End Developer프론트엔드는 웹사이트 중 사용자가 직접 상호작용을 하게 되는 부분입니다. 글꼴 부터 색상, 드롭 다운 메뉴 및 슬라이더에 이르기까지 인터넷에서 보게 되는 모든 것들은 브라우저의 제어를 받는 HTML, CSS 및 JavaScript의 조합입니다.SKILLS AND TOOLS프런트엔드 개발자는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직접 경험하는 부분과 그 경험의 아키텍처를 담당합니다. 이를 위해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HTML, CSS, Javascript 활용에 능숙해야합니다. 언어를 잘 다루는 것 외에도 프런트 엔드 개발자는 사용자의 도구에 따라 유연한 방식으로 컨텐츠를 보여줄 수 있게 하는 Bootstrap, Foundation, Backbone, AngularJS, EmberJS와 같은 프레임워크에 익숙해야합니다. 또한 jQuery, LESS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면 더욱 유용하고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됩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채용할 때에는 Ajax 사용 경험을 요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백그라운드에서 서버 데이터를 가져와 페이지를 동적으로 만드는 Javascript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Ajax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입니다.프런트 엔드 개발자는 백엔드 개발자가 만든 집의내부 디자인을 담당합니다.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면서도, 목업(mockup) 혹은 와이어프레임(wireframe)의 개발에서 전달의 단계까지 디자이너 또는 사용자 경험 분석가와 긴밀히 협력합니다. 실력 있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사용자 경험에서의 문제를 정확하게 발견하고, 디자인을 수정에 관한 조언과 문제 해결을 위한 코드를 제공합니다. 또한 목표와 필요, 기회들을 정확히 이해하고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른 팀들과 유연하게 협력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이처럼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작업은 여러 영역에 대한 책임을 동시에 감당하는 일이면서도 그만큼의 보람이 따라오는 것이기도 합니다. 8 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 인 Mikey Ilagan은 아래와 같은 이야기를 합니다.저는 기술적인 사람이면서도 시각적인 사람입니다.그래서 저는 자연스럽게 목업과 코드를 동시에 다루며 사람들이디지털 플랫폼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Mikey Ilagan-종합해보자면,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백엔드 개발자가 만든 집의 내부 설계를 담당합니다. 집을 장식하는취향과 스타일은 집주인이 결정합니다. Apptix의 제품 마케팅 디렉터인 Greg Matranga는 "프론트엔드에서 작업하는 개발자는 자신의 창의성을 실질적으로 작업에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때로는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 더욱 흥분한다"며 자신이 관리하는 프론트엔드 및 백엔드 개발자 팀 모두에게 말하기도 했습니다.HOW IT TRANSLATES지금 이 블로그에서 보고있는 모든 것은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손을 타지 않은 곳이 없습니다. 물론 로고와 그래픽은 디자이너가 만들고, 사진은 자신 작가가 찍었으며, 텍스트는 지금 글을 쓰고 있는 제가 작성합니다. 그러나 이 모든 조각들을 모아 웹으로 만들고, 각 페이지마다 사용자가 경험할 것을 설계한 것은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Photo by Lee Campbell on UnsplashBack-End Developer프론트엔드에서 일어나는 일을 이해했다면, 그것만으로는 웹사이트가 완성되지 않는 다는 것 역시 이해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프론트엔드 자체를 가능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데이터는 어디에 저장되는 것일까? 바로 백엔드입니다. 웹 사이트의 백엔드는 서버,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됩니다. 백 엔드 개발자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작동할 수 있게하는 기술을 만들고 유지하는 일을 합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비로소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측면이 존재할 수 있게 됩니다.SKILLS AND TOOLS서버,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가 서로 통신 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 백엔드 개발자는 PHP, Ruby, Python, Java, .Net과 같은 서버 측 언어를 활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또한 데이터를 검색, 저장 또는 변경하고 이를 프론트엔드 코드로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하기 위해서는 MySQL, Oracle 및 SQL Server를 사용합니다. 백엔드 개발자에 관한 채용 공고는 그 외에도 1) Zend, Symfony 및 CakePHP와 같은 PHP 프레임 워크에 대한 경험, 2) SVN, CVS 또는 Git과 같은 버전 제어 소프트웨어 사용 경험, 3) 개발 및 배포 시스템으로서의 Linux 사용 경험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백엔드 개발자는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깔끔하고 모듈화가 가능한 코드로 웹 응용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백엔드 개발자는 비즈니스 이해 관계자와 소통하면서 구체적인 요청 사항을 파악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이를 기술적 내용으로 변환하여 기술 설계를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나는 데이터를 다루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항상 백엔드 개발을 선호 해 왔습니다.-JP Toto-오랫동안 백 엔드 개발자였던 JP Toto는 현재 와일 비트의 소프트웨어 개발자입니다. 그는 "최근 공개 및 비공개 API는 모바일, 웹 사이트를 포함한 여러 시스템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 필수적인 부분이되었으며, 사람들이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API를 만드는 것은 그에게 큰 만족감을 주는 일 중에 하나"라고 말한다.HOW IT TRANSLATES여러분이 코드스테이츠의 웹사이트를 찾아 들어오는 과정을 봅시다.  웹사이트의 서버는 여러분의 컴퓨터 또는 모바일로 정보를 보내고, 그 정보는 코드스테이츠 소개가 담긴 페이지로 보여집니다. 이 프로세스는 백엔드 개발자의 작업 결과입니다. 또한 회원가입을 할 때 저장되는 개인정보, 그리고 로그인을 할 때마다 각 계정의 정보가 불러와지는 과정 역시 백엔드 개발자 덕분입니다.Full Stack Developer프론트엔드 개발과 백엔드 개발 간에는 흑백 구분이 없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종종 추가 백엔드 기술을 습득해야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개발자는 여러 분야를 넘나들어야 할 때가 많아 종종 제너럴리스트가 되어야 합니다.  풀스택 개발자라는 역할은 7년 전 페이스북의 엔지니어링 부서에서 대중화되었습니다. 풀스택 개발자라는 호칭은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모두에서 교차적으로 작업 할 수 있는 역할을 지칭하는 것에서 시작했습니다. 말 그대로 풀패키지(full package)를 제공하는 개발자라는 뜻입니다.서버와 클라이언트 측 모두에서 작업할 있는 전문성은더 많은 기회를 열어줍니다.-Federico Ulfo-Grovo의 풀스택 개발자인 Federico Ulfo는 이를 음식에 비유에 이야기합니다. "요리와 베이킹 중에 하나를 잘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두 가지를 모두 마스터하는 데에는 시간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마스터 한다는 것은 단지 레시피를 따라서 만드는 것을 말하는 게 아닙니다. 그건 누구든지 할 수 있습니다. 마스터 한다는 것은 직접 재료를 고르고 자신의 레시피로 훌륭한 음식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Photo by freestocks.org on UnsplashSKILLS AND TOOLS풀스택 개발자는 백엔드 개발자와 마찬가지로 웹 프로그래밍의 서버 측에서 작업하지만, 이와 동시에 사용자 측에서 콘텐츠가 보여지는 방법에 관해 프론트엔드의 언어로 능숙하게 소통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풀스택 개발이 얼마나 복잡해지고 있는지를 체감하게 해줍니다. 몇년 전까지만 해도 3-4가지의 기술의 종합으로 표현될 수 있었던 풀스택은 현재 7개의 기술이 종합된 형태로 훨씬 복잡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출처: Techrunch출처: Techrunch구체적인 기술의 종류는 프로젝트나 클라이언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풀스택 개발자는 기술의 종류와 상관없이 Linux 서버의 설정과 구성, 서버 측 API 작성, 클라이언트 측 JavaScript, 디자인을 맡는 CSS 등 웹이 작동하는 모든 차원에 있어서 해박해야합니다.풀스택 개발자는 이러한 기술들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측과 서버 측이 담당할 영역을 즉각적으로 구분해내고, 다양한 솔루션들의 장단점을 명확히할 수 있어야 합니다. HOW IT TRANSLATES풀스택 개발자는 로딩 시간부터 레이아웃, 그리고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성과 구조적 토대에 이르기까지이 게시물이 주는 경험의 전체적인 흐름을 책임집니다.The Bottom Line웹 개발에는 많은 면모가 있습니다. 그러나 당신이 어떠한 개발자가 되고 싶든지 디테일에 주의를 기울이는 능력, 빠르게 학습할 수있는 능력,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능력,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당신을 돋보이게 만들것입니다. 다행히 웹 개발 분야에서 경력을 쌓기 위해 이보다 더 좋은 시기는 없습니다. 웹 개발자의 고용은 2014 년에서 2024 년까지 10 년 동안 27 %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모든 직종의 평균보다 빠릅니다. 지금까지 Front, Back, Full Stack 개발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다음 포스팅은 개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기는 하지만 일반 개발 분와야는 다른 '게임 개발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회수 1276

Event-Driven Programming

Overview마이크로 서비스 사이의 결합도를 낮추고 비동기적인 문제들을 처리할 때는 Event-driven 아키텍쳐가 유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AWS에서 제공하는 SNS Topic을 이용해 Event-Driven을 알아보겠습니다. Event-Driven Programming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이 이벤트의 발생에 의해 결정되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입니다. publish/subscribe (이하 pub/sub)메시징서버리스 및 MSA에서 안정성 및 확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비동기 서비스 통신 방법입니다. 게시된 메시지를 다른 시스템에 비동기적으로 전달하고, Topic을 구독하는 모든 구독자는 모든 메시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게시자는 누가 구독하고 있는지 알지 않아도 되고, 구독자도 메시지의 출처를 알 필요는 없습니다. pub/sub 메시징 기본 / 출처: AWS Compute BlogAmazon SNS Topicpub/sub 방식의 메시징 서비스입니다. AWS의 여러 서비스들이 SNS에 이벤트를 게시할 수 있습니다. SNS Event Publishers / 출처: AWS Compute Blog위의 그림과 같이 구독자는 게시자 서비스에서 트리거된 이벤트에 응답해 필요한 작업을 진행합니다. 예시로 Elastic Transcoder 서비스에서의 Topic을 활용해보겠습니다. 네 가지의 순서를 거칩니다.1. SNS 토픽 생성2. Elastic Transcoder 등록Optional 항목인 Notification 영역에서 상태별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On Completion Event에 위에서 생성한 Topic을 선택해 이벤트를 전달받도록 설정합니다. 3. SNS Topic에 구독자로 등록트랜스 코딩이 완료 후 처리할 프로세스를 가진 Lambda 함수 생성하여 위에서 생성한 SNS Topic에 구독자로 등록합니다. 현재 SNS Topic에서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HTTP, HTTPS, Email, Email-JSON, Amazon SQS, Application, AWS Lambda, SMS가 있습니다.4. 서비스 간 이벤트 전달출처: AWS Compute BlogSNS Topic으로 이벤트를 제공하는 AWS 서비스 중 하나를 살펴봤습니다. 이를 이용하면 마이크로 서비스 간에 이벤트를 전달하고 서비스의 분리 및 확장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Conclusion오늘은 SNS Topic을 이용한 Event-Driven을 알아봤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마이크로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AWS 서비스들을 다뤄보겠습니다.참고Event-Driven Computing with Amazon SNS and AWS Compute, Storage, Database, and Networking Services글이상근 팀장 | R&D 개발1팀[email protected]브랜디, 오직 예쁜 옷만#브랜디 #개발문화 #개발팀 #업무환경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회수 2402

비트윈 PC 버전 개발기 - VCNC Engineering Blog

 지난 10월 20일, 비트윈 PC 버전의 오픈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습니다. PC 버전 덕분에 컴퓨터 앞에서 일과 시간을 보내는 직장인들도 편리하게 비트윈으로 연인과 대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PC 버전에 어떤 기술이 사용되었는지 소개하고 약 4개월의 개발 기간 동안 겪은 시행착오를 공유합니다.비트윈 PC 버전 스크린샷개발 플랫폼 선택PC 버전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어떤 개발 플랫폼을 선택할 것인지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MFC나 WinForms 같은 네이티브 플랫폼, Qt 등의 크로스 플랫폼 라이브러리, 그리고 웹 기반 앱 등의 여러 후보를 가지고 토론을 거쳐 웹 앱으로 개발하기로 했습니다.웹 기반으로 개발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생산성입니다. PC 버전 팀이 웹 기술에는 이미 익숙하지만 다른 플랫폼은 경험이 많지 않았습니다. 또한, 비교적 자유롭게 UI를 구성할 수 있으며 기존의 각종 개발 도구를 이용하면 빠른 이터레이션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단, 사용자가 기존에 설치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는 방식이 아니라 브라우저 엔진을 내장한 실행 파일을 배포하는 방식을 택하기로 했습니다. 여러 브라우저 환경에 대응하지 않아도 되고,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는 일부 시스템 기능을 직접 확장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서버 아키텍처의 변화비트윈 서버의 서비스 로직은 Thrift 서비스로 구현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Alfred라는 자체 개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Thrift 서비스를 Netty 기반의 서버로 구동합니다.기존의 비트윈 모바일 클라이언트는 채팅 서버와 Thrift의 바이너리 프로토콜로 통신하고 있습니다.1 그러나 웹 플랫폼에서는 서버와 지속적으로 양방향 연결을 유지하려면 WebSocket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하므로 Alfred에 WebSocket 프로토콜 지원을 추가하였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라이브러리 수준의 변화였기 때문에 기존 서비스 코드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고 새로운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었습니다.Alfred에 웹소켓 지원을 추가하였습니다.비트윈 PC 버전 셸비트윈 PC 버전은 크게 HTML과 자바스크립트로 작성된 웹 앱 부분과 웹 앱을 브라우저 엔진으로 구동해주고 플랫폼 API를 제공하는 셸 (Shell)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비트윈 PC 버전 구조PC 버전 셸은 Chromium Embedded Framework (CEF)를 사용합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Chromium 브라우저 엔진을 애플리케이션에 내장하기 쉽도록 감싸놓은 라이브러리입니다. CEF는 Evernote나 Steam 등 웹 브라우저를 내장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 선택하게 되었습니다.2자바스크립트에서 셸이 제공하는 플랫폼 API를 호출할 때는 CEF의 Message Router를 사용하였습니다. Chromium은 멀티 프로세스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렌더 프로세스에서 작동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브라우저 프로세스에서 작동하는 C++ 코드를 호출하고 결과를 돌려받기 위해서는 별도의 처리가 필요합니다. Message Router는 이 두 프로세스 사이의 비동기 통신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창 투명도 조절이나 트레이 알림 표시 등 원래는 웹 플랫폼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확장하여 지원할 수 있었습니다.CEF에서는 Chrome 개발자 도구를 사용할 수 있어 디버깅이 용이했고, 디자이너 옆에서 바로바로 좌표나 색상 등을 바꿔볼 수 있어 협업에도 도움이 되었습니다.그러나 PC 버전을 개발하면서 가장 많은 시행착오를 겪은 부분이 CEF를 다루는 것이었습니다.문서화가 잘 되어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실제 작동 방식을 확인하기 위해 직접 소스 코드를 읽어야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일반적인 웹 브라우저에서는 잘 작동하는 API를 CEF가 자원하지 않거나 버그가 있어 다른 방식으로 구현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CEF에 노출된 API에만 접근할 수 있어 Chromium에서 제공하는 플랫폼 추상화 레이어를 활용할 수 없었습니다.비트윈 PC 버전 웹 앱비트윈 PC 버전의 주요 애플리케이션 코드는 HTML과 자바스크립트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로 큰 규모의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할 때 발생하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피하고자 React 라이브러리 및 최신 자바스크립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습니다.ReactReact는 Facebook에서 개발한 오픈 소스 자바스크립트 UI 라이브러리입니다. 일반적인 웹사이트보다는 비교적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야 했기 때문에 jQuery처럼 간단한 라이브러리로는 부족할 것으로 생각하여 비트윈 PC 버전은 처음부터 React를 사용하였습니다.전통적인 개발 방식에서는 UI를 변경해야 할 때 기존에 렌더링 된 DOM 요소에 명령을 내립니다. 예를 들어 어떤 항목을 삭제하려면 그 요소를 찾아서 삭제 명령을 내리게 됩니다. React를 사용할 때는 이와 달리 해당 요소가 사라진 DOM 트리 전체를 다시 생성하면 React가 이전 트리와 새 트리를 비교하여 바뀐 부분만 반영해줍니다. 전체를 다시 렌더링하기 때문에 기존에 DOM 트리가 어떤 상태였는지 신경 쓰지 않고도 원하는 상태로 쉽게 변경할 수 있어 UI 코드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또한, React의 컴포넌트 시스템은 독립적인 UI 요소들을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조합할 수 있도록 해주어, 한가지 컴포넌트를 수정했을 때 의도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와 간섭하는 문제가 적게 발생합니다. 비트윈 PC 버전에는 약 40가지의 React 컴포넌트가 쓰이고 있습니다.자바스크립트 모듈 시스템모든 코드를 한 파일에 넣으면 코드를 관리하기가 힘들어집니다. 따라서 서로 관련 있는 코드끼리 모듈로 나누어야 하는데, 자바스크립트에는 모듈 시스템이 기본적으로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비트윈 PC 버전에서는 CommonJS 표준을 따라서 모듈을 나누고, 이를 웹 브라우저가 해석할 수 있는 형태로 합쳐주는 Webpack 빌드 툴을 사용했습니다.Webpack은 자바스크립트뿐만 아니라 CSS나 이미지, JSON 파일 등도 모듈로 취급할 수 있고, 플러그인으로 지원하는 모듈 종류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비트윈 PC 버전을 빌드할 때 실제로 사용하는 플러그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jsx-loader: React에서 사용하는 JSX 코드를 자바스크립트로 변환합니다. 또한, 미래의 자바스크립트 문법을 현재 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형태로 변환합니다.less-loader: LESS 파일을 CSS 파일로 변환합니다.css-loader: CSS에서 참조하는 외부 리소스를 인식하여 의존성을 파악해줍니다.url-loader: 파일 크기가 일정 이하인 리소스를 Base64 인코딩으로 내장해줍니다.ECMAScript 6ECMAScript 6는 차기 자바스크립트 표준입니다. 현재 자바스크립트의 불편한 점을 많이 해소하기 때문에 장점이 많이 있습니다. 일부 기능은 이미 브라우저에 구현되어 있지만, 아직 지원되지 않는 기능도 있어서 jstransform을 통해 ECMAScript 5 코드로 변환하여 사용하였습니다.화살표 함수: 익명 함수를 (a, b) => a + b와 같은 문법으로 훨씬 간단하게 선언할 수 있습니다. 또한, this 변수의 스코프를 현재 코드 상의 위치에 따라 결정해줍니다.클래스: 다른 언어와 유사한 클래스 문법을 제공합니다. 상속이나 접근 제한도 가능합니다.해체(destructuring) 대입: 객체의 필드를 바로 같은 이름의 변수에 대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var {a, b} = {a: 1, b: 2}; 같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기타 사용된 패키지RSVP.js: Promise/A+ 구현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로, Promise 패턴을 사용하여 비동기 로직을 알아보기 쉬운 형태로 작성했습니다.FormatJS: 다국어, 국제화 지원을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UI 메시지 번역이나 날짜, 시간 등의 포매팅에 사용했습니다.정리비트윈 PC 버전은 개발 비용을 줄이기 위해 웹 플랫폼 기반의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되었습니다.비트윈 서버에서 사용하는 Alfred 라이브러리에 WebSocket 프로토콜 지원을 추가하였습니다.Chromium Embedded Framework를 브라우저 엔진으로 사용하여 웹 앱을 구동하고 웹 플랫폼에서 제공하지 않는 기능을 확장하여 사용했습니다.자바스크립트 코드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React, CommonJS, ECMAScript 6 등의 기술을 활용하였습니다.VCNC Engineering Blog, 비트윈 시스템 아키텍처, 2013년 4월↩Wikipedia, Chromium Embedded Framework - Applications using CEF↩
조회수 1264

[인공지능 in IT] 올림픽의 주인공은 여전히 인간이다

2011년 7월 7일 새벽 오전0시 18분,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 컨벤션센터에서 평창이라는 단어가 적힌 흰색 쪽지가 뽑힐 당시, 대한민국 국민 모두의 염원이 현실로 이뤄졌다. 88 서울 올림픽, 2002 한일 월드컵 이후 우리나라에서 열린 전세계 규모의 가장 큰 축제가 평창에서 개최됨을 알리는 순간이었다. 동계올림픽은 인종과 국가, 정치 및 이념을 초월하고 전인류의 평화와 화합을 증진시키기 위한 글로벌 겨울 축제이자 세계 젊은이들의 힘과 기록의 제전이라 할 수 있다. 1924년 프랑스 샤모니 대회를 시작으로 2018년까지 총 22회 개최, 고대 그리스의 올림피아 경기부터 시작된 '올림픽'보다 그 역사가 현저히 짧지만, 올림픽이라는 의미만은 분명하다.< 2018>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들은 그들의 육체적, 정신적인 능력의 최대치를 겨룬다. 올림픽은 인간이 가진 힘을 시험하는 장이고, 이에 관중들은 우월한 선수들의 능력에 환호성을 자아낸다. 물론, 기술이 발달하며 선수들이 입는 유니폼이나 여러 도구들이 진화를 거듭했지만, 올림픽이라는 것은 인간 본연의 모습에 큰 초점을 맞춘 시험대다. 이렇듯 'Raw'하다고 볼 수 있는 선수들의 경쟁을 비 선수 입장에서 지켜볼 수 있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기회라고 생각한다.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발견한 재미있는 요소 중 하나는 관중을 위한 기술의 접목이라 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 진행 중 다양한 기술을 누릴 수 있도록 '평창 ICT 올림픽 가이드북'을 발간했다. 해당 가이드북을 살펴보면, ICT 올림픽은 이번 평창 올림픽의 5대 목표 중 하나다. 인공지능, 5G, UHD, IoT, 가상현실(VR) 등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 국문과 영문으로 된 가이드북을 제작하고, 평창 ICT 체험관과 인천공항 등 오프라인을 포함한 온라인 상에도 게시한다.< 2018>5대 ICT 서비스 중 가장 관심이 가는 영역은 인공지능이다.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이 느낄 수 있는 언어장벽을 완화시키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 통번역서비스를 제공하고, 올림픽이 열리는 동안 경기 정보 및 교통상황을 알아보기 위해 인공지능 콜센터를 통해 24시간 문의할 수 있다. 혹자는 단순히 편의성을 위해 간단한 기술을 도입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인공지능 기술은 그 자체로도 어려운 과제임과 동시에, 선수가 아닌 관람객을 위해 도입했다는 것에서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다시 한번 언급하지만, 올림픽은 오랜 훈련을 통해 능력을 입증하고 싶은 선수들은 물론, 경기를 지켜보고 이들을 응원하는 관람객들까지 모두 '참여'하는 축제다. 한국어를 전혀 모르는 핀란드의 방송사 관계자가 통번역서비스를 활용해 아무 문제없이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를 중계할 수 있을 것이고, 대구에서 평창까지 봅슬레이 경기를 보러 가는 가족들이 편안한 운전을 위해 새벽 1시에라도 교통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최근 인공지능을 활용한 통번역 서비스는 날이 갈수록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에서 'NMT(Neural Machine Translation)'라고 부르는 인공신경망 기계번역을 활용하는데, NMT는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어마어마한 양의 번역 결과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하고, 다른 번역 케이스에도 적용하는 기술이다. 우리에게 많이 알려진 NMT 탑재 번역 서비스는 구글 번역과 네이버 파파고가 대표적이다. 이번 평창올림픽에서 사용되는 통번역서비스는 한글과컴퓨터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공동 개발한 '말랑말랑 지니톡'이다. 실제로 지니톡에는 올림픽 종목, 강원도 지역 관광지, 음식 등 동계올림픽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10만 건을 적용, 상당한 정확도를 보인다고 한다.한글과컴퓨터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공동 개발한 말랑말랑 지니톡, 출처: 한컴24시간 상담할 수 있는 콜센터도 인공지능은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의 인공지능은 대량의 텍스트 기반 데이터를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1) 인식률이 높은 'DNN(Deep Neural Network)'을 토대로, (2) 한국어를 음성으로 인식할 수 있는 'STT(Speech To Text)'를 구축한 뒤(굉장히 어려운 과제다), (3) 콜센터로 들어오는 상담 내용을 분석하고, (4) 이를 제대로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야 한다. 이 모든 것을 만족해야 콜센터에 상담을 요청하는 고객들이 인간 상담원과의 기계간의 괴리감을 적게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인공지능 상담 영역은 CS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는 업계 중 하나인 금융, 특히 보험 업계에서 많이 적용 중이다. AIA생명 한국지점은 인공지능을 도입해 고객과 상담하는 챗봇과 전화로 응답하는 로보텔러 서비스를 실시한다. 고객이 자주하는 문의에 대해서는 채팅 형태로 24시간 365일 인공지능 챗봇이 1차 상담을 진행하고, 대기시간 없이 바로 연결할 수 있어 생산성과 효율성, 정확도 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객에게 판매된 보험계약에 대해 로보텔러가 직접 전화를 걸어 완전 판매를 모니터링하는 업무도 진행한다. 여기는 인공지능 상담사가 학습한 대화를 기반으로 고객과 대화를 진행해 계약정보를 확인하고 계약을 확정하는 음성서비스를 적용했다.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을 통해 인공지능은 그 범위를 가리지 않고 곳곳에 적용될 수 있다는 새로운 잠재력을 평가 받고 있다. 사실 최근 몇 년 사이에 IT 뿐만이 아니라 유통, 제조 등을 막론하고 기업들은 사활을 걸고 인공지능에 투자 중이다. 고도의 기술을 축적하고, 이를 적용해 새로운 사업 모델로 확장하거나, 단순반복적인 일을 대체해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은, 인공지능을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이끌고 있다. 물론,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선보인 인공지능 기술들은 여러 기업들이 사업적인 측면을 고려한 사안일 것이다. 하지만, 인간이 주체가 되어 열리는 올림픽이라는 축제 속에서 인공지능이 한자리를 차지한다는 것은, 이제 더이상 놀랄 일은 아닐지 모른다. 결국, 인공지능도 인간의 삶을 이롭게 하기 위해 탄생된 기술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이호진, 스켈터랩스 마케팅 매니저조원규 전 구글코리아 R&D총괄 사장을 주축으로 구글, 삼성, 카이스트 AI 랩 출신들로 구성된 인공지능 기술 기업 스켈터랩스에서 마케팅을 담당하고 있다#스켈터랩스 #기업문화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직문화 #인공지능기업 #기술기업
조회수 1060

주니어 개발자가 외칩니다, "Hello, System Architecture!"

Overview주니어 개발자는 시스템 아키텍처(System Architecture) 또는 시스템 디자인(System Design)이라는 단어에 덜컥 겁부터 먹습니다. 지금 진행하고 있는 개발에만 집중하다 보니 큰 그림을 놓치고 있는 게 아닐까 란 생각이 들었죠. 조금 더 큰 그림을 보고자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문득 같은 생각을 하는 주니어 개발자 분들도 많을 것 같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이번 글은 시스템 아키텍처에 ㅇ_ㅇ? 뀨? 하는 표정을 짓는 주니어 개발자들을 위해 썼습니다.상상의 나래: 가상의 패션 e커머스상상의 나래를 펼쳐봅시다. 패션 e커머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김유저 씨가 구매한 옷이 마음에 들어 상품 리뷰를 남기고 싶어한다고요.김유저 씨는 본인의 착용 사진과 텍스트 리뷰를 작성하고 ‘리뷰 등록하기’ 버튼에 엔터를 탁! 누를 겁니다. 그런데 말이죠. 김유저 씨는 요청하고 싶은 웹서버의 IP 주소를 모르기 때문에 요청을 보낼 수가 없습니다.내 정체를 알려줘: DNS (Domain Name System)그래서, DNS(Domain Name System)에게 물어봅니다. 서버의 도메인 이름으로부터 해당 서버의 IP 주소를 알려주는 것이 바로 DNS입니다. 도메인 이름에 대한 질의를 하고, 만일 해당 도메인 이름이 DNS에 ‘A Record’ 형태로 등록이 되어 있다면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응답으로 돌려줍니다.서비스에서 자체 DNS 시스템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oute 53, Cloud Flare같은 서비스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또 한 가지 의문이 생깁니다. 왜 서비스는 시스템적 부담을 안고서 자체 DNS 서버를 구축하고 있는 걸까요? 그 이유로 두 가지를 꼽을 수 있습니다.첫 번째로는 신뢰도가 높습니다. 직접 DNS Record를 관리 및 운영하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로는 보안이 우수합니다. 만약 공개하고 싶지 않은 IP 주소, 예를 들어 Database IP 주소 같은 건 공개하지 않습니다. 1)작업장소: Web Server이제 웹서버의 IP 주소를 알았으니 통신을 시도합니다. 웹서버는 웹서비스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요청과 그에 대한 응답을 제공합니다. 클라이언트가 리뷰에 대한 사진과 텍스트를 등록하고 싶다면 웹서버에게 등록하라는 요청을 보내야 합니다.웹서버에서 요청을 받으면 사용자가 요구한 대로 사진과 텍스트를 등록하고, 그에 대한 결과 정보를 응답으로 보내줄 것입니다. 웹서버 내부에서는 그 과정에 필요한 연산을 수행합니다. 서버 개발자는 이 연산에 대한 코드를 작성하고요.센스가 없는 서버:API (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서버는 사람이 아닙니다. 센스나 재치가 없죠. 미리 정의되지 않은 요청은 대응하지 못합니다. (어버버버버 퉤! Error 404!) 그래서 약속한 요청을 보내면 약속한 방식으로 응답해줄게라고 명세를 제공합니다.약속한 요청으로 데이터를 보내면 원하는 요청에서 데이터를 정제해 잘 처리했는지, 또는 처리된 데이터를 약속한 방식(예를 들어, JSON 방식)으로 내보내죠. 웹서버는 정의된 API에 맞춰 요청과 응답을 합니다.그런데 웹서버가 수많은 요청을 받고 응답하면 과부하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사용자 수가 어마어마한 규모로 늘어나서 서버가 펑! 하고 터진다면, 김유저 씨는 서비스를 더 이상 이용할 수 없을 겁니다. 이용하고 싶지도 않을 겁니다!따라서, 서버가 감당하는 요청을 나누기 위해 같은 역할을 하는 서버 장비 수를 늘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요청이 각기 다른 웹서버 장비에 분산되어 한 번에 감당할 수 있는 요청 수가 더욱 많아집니다.이 구역의 매니저는 나야: Load Balancer그림처럼 서버가 4대 존재하는 상황이라면, 서버 4대에 일을 적절히 분배해주는 역할이 필요합니다. 그것이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입니다. 로드 밸런서가 서버에게 일을 나누는 방법론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Random: 랜덤으로 분배하기Least loaded: 가장 적은 양의 작업을 처리하고 있는 서버에게 요청을 할당하기Round Robin: 순서를 정하여 돌아가며 작업 분배하기많이 쓰는 로드 밸런서의 종류는 Layer 4, Layer 7을 꼽을 수 있습니다.Layer 4 Load Balancer: 데이터의 내용을 보지 않고 IP주소 및 TCP/UDP 정보에 따라 단순히 분배를 해줍니다.Layer 7 Load Balancer: 서버가 하는 역할이 분리되어 있는 환경에서 데이터의 내용을 보고 각기 맞는 역할을 하는 서버에게 분배를 해줍니다.로드 밸런서는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야 할 서버를 골라야 하는 부담을 덜어주며, 로드 밸런서에게 할당된 vIP (가상 IP)로 요청을 보내기만 하면 로드 밸런서에서 알아서 작업을 나눠줍니다. 서버에서는 적절한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면 들어오는 요청이 여러 장비에 분산되어 처리량이 늘어나고 응답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컨텐츠 저장소: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이제 웹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웹페이지에 대한 응답 결과를 돌려줬습니다. 이때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렌더링해야 하는 수많은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이 이미지들을 웹서버가 전부 주려면 데이터의 용량이 너무 크고, 무거워서 서버가 헥헥거리죠. (서버가 죽으면 어떻게 될까요? 클라이언트님이 경쟁사로 환승하겠죠.. 안 돼요..) 따라서 웹서버는 직접 이미지를 주는 대신 CDN(Content Delivery Network)에게 요청하라고 이야기합니다. CDN은 일반적으로 용량이 큰 컨텐츠 데이터(이미지, 비디오,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등)를 빠른 속도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 서버입니다. 클라이언트는 용량이 큰 컨텐츠 데이터를 가까운 CDN에 요청해 멀리 있는 웹서버에서 직접 받는 것보다 빠르게 받을 수 있습니다. CDN이 동작하는 방식에는 크게 Push CDN, Pull CDN이 있습니다. Push CDN: 서버에서 컨텐츠가 업로드되거나, 변경되었을 때 모두 반영하는 방식 Pull CDN: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마다 컨텐츠가 CDN에 새로 저장되는 방식 두 방식 모두 장단점이 있습니다. Push CDN은 모든 컨텐츠를 갖고 있기에 웹서버에 요청할 일이 없지만 유지하는데 필요한 용량과 비용이 많이 필요하겠죠? Pull CDN은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컨텐츠가 있으면 바로 응답하지만 그렇지 않을 땐 데이터를 웹서버로부터 가져와야 하기 때문에 서버에 요청하는 부담이 존재합니다. 컨텐츠명은 그대로인데 내용만 변경되었다면 인지하지 못하고 옛버전의 컨텐츠를 제공하죠. 그래서 Pull CDN에 들어가는 컨텐츠는 TTL(Time To Live)이 적용됩니다. TTL이란 유통기한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해당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이죠. 이런 방식이 적용된다면 Pull CDN의 최대 단점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보완이 되면 수정된 데이터에 대해서도 대응이 가능하며 서버의 용량 즉, 비용적 부담이 해소될 겁니다.소중한 내 데이터: Database서비스를 제공하다 보면 클라이언트의 소중한 정보, 이력, 상품 가격, 상품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 제공합니다. 하지만 수많은 데이터를 웹서버에 전부 저장하고 사용하기엔 데이터의 양이 너무 많아 저장 공간도 부족하고, 데이터를 원하는 모양에 맞게 정제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따로 존재합니다.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데이터베이스는 ACID라는 성질을 만족해야 하는데요.Atomicity(원자성): 데이터베이스에 적용되는 명령이 중간만 실행되지 않고 완전히 성공하거나 완전히 실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만 적용된 명령이 있다면 헷갈리겠죠.Consistency(일관성): 데이터베이스가 수행한 명령이 일관적으로 반영되어 있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계좌에 돈을 입금했는데 잔고에 반영되지 않는다면 당황스러울 겁니다.Isolation(고립성): 데이터베이스가 수행하는 명령 도중 다른 명령이 끼어들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Durability(지속성): 성공적으로 수행한 명령은 영원히 그 이후 상태로 남아있어야 한다는 걸 의미합니다. 갑자기 하루 뒤에 명령이 취소되거나 이전 상태로 롤백되면 안 됩니다. Replication (복제 / 이중화)큰 시스템에서는 똑같은 데이터베이스가 여럿 존재한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왜 비용적인 부담을 안으면서까지 복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놓는 걸까요? 만약에 데이터베이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면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변경하지 못하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불상사가 일어나게 됩니다. 글로만 써도 벌써 땀이 납니다. 그러므로 복제해놓은 데이터베이스를 얼른 마스터로 등업해 데이터 흐름에 차질이 없도록 대비해야 합니다.만약 하나의 데이터베이스가 어떤 일을 수행할 때 다른 요청들은 계속 기다려야 합니다. 그렇다면 데이터를 변경하는 데이터베이스는 하나, 읽기만 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대가 존재해도 되지 않을까요? 바로 여기서 Master-Slave의 개념이 탄생합니다.master-slave-replicaMaster-Slave Replica (a.k.a 주인-노예)요청을 분산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를 늘리다 보면 master-slave 토픽이 등장합니다.Mater: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가 모두 가능Slave: R(Read)만 가능Master가 데이터를 변경할 동안 읽기에 대한 요청은 Slave에게 보내집니다. 그렇게 하면 읽기 요청은 분산되어 훨씬 더 수월하고 빠른 속도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할 것입니다. 만약 Master가 변경된다면 아래 계급인 Slave, Replica 데이터베이스에게도 이 정보를 전해야 합니다. 다시 말해, 자신에게 들어온 요청(Query)을 동일하게 보내 빠른 시간 안에 동기화를 시켜주죠. 하지만 동기화도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므로 무한대로 Slave Replica를 늘려 확장하기는 어렵습니다.Master-Master Replica의문이 하나 생길 겁니다. “여러 대의 Master를 두어서 변경도 가능하고, 읽기도 가능하게 하면 되지 않을까?”앞서 언급했듯이 같은 데이터의 변경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여야 할 것입니다. 동시에 같은 데이터를 변경했을 때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론은 존재하지만, 그 방식이 복잡하고 오래 걸립니다. 안정성도 낮아지고, 효율도 떨어집니다. 그래서 Master-Slave 아키텍처를 선호하는 것이죠.Sharding그러면 같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동시에 변경하는 건 불가능한 걸까요? 그것을 해소하기 위해 샤딩(Sharding)이라는 방법론을 사용합니다. 샤딩된 테이블은 개념적으론 하나의 테이블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 내용물이 쪼개져 있습니다. 쪼개는 방법은 여러 가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만, 분명한 건 겹치는 데이터 없이 쪼갠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같은 테이블이어도 쪼개져 있다면 그 테이블에 동시에 접근해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죠.이외에 서비스별, 기능별로 쪼개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Federation 등 많은 데이터베이스 디자인 방법론이 존재합니다.시스템 아키텍처가 가지고 있어야 할 최소본 아키텍처요점: 시스템 아키텍쳐에서 고려해야 할 성질이렇게 간단한 시스템 아키텍처의 면면을 살펴봤습니다. 시스템 개발자라면 시스템을 디자인하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성질들을 만날 텐데요. 위에서 소개한 내용들 역시 아래의 성질들을 충족하기 위해 탄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Scalability (확장성): 10만 명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과 1000만 명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은 다릅니다. 확장성을 고려한 시스템은 앞으로 클라이언트 수가 늘어났을 때 무리 없이 모든 요청을 처리할 수 있을 겁니다.Performance (성능): 속도와 정확성을 말합니다. 요청한 내용을 정확하고 빠르게 돌려주어야 합니다.Latency (응답 시간): 모든 요청은 클라이언트가 불편해하지 않을 정도로 빠른 시간 안에 돌려주어야 합니다.Throughput (처리량): 같은 시간 안에 더욱 많은 요청을 처리한다면 좋은 시스템입니다.Availability (접근성): 사용자가 언제든지 시스템에 요청을 보내서 응답을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비록 서버 장비 한두 대가 문제가 생겨 제 기능을 하지 못하더라도 사용자는 그 사실을 몰라야 합니다.Consistency (일관성): 사용자가 서버에 보낸 요청이 올바르게 반영되어야 하고, 일정한 결과를 돌려주어야 합니다. 요청을 보낼 때마다 불규칙한 결과를 돌려준다면 믿을 수 없는 서비스가 될 것입니다.결론발로 그렸나 싶을 정도의 그림과 기나긴 글을 마무리 지으며주니어 개발자로서 시스템 아키텍처를 공부하면서 느낀 점이 있다면 시스템에 대한 완벽한 대응은 없으며, 모두 장단점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보통 trade-off라고 표현합니다.)하지만 설계하는 서비스를 잘 알고 서비스에서 무게를 둬야 할 부분을 파악한다면, 그에 맞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디자인할 수 있을 겁니다. 김유저 씨도 만족시킬 수 있을 거고요. 꼬박 이틀을 밤새워서 쓴 글이 아직 시스템 아키텍처를 두려워하는 다른 주니어 개발자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번에는 시스템에서 아주 기초적인 부분을 공부했으니 다음 글에선 MSA(MicroService Architecture)를 씹어봅시다! 겁이 나고 무서워도 외쳐보세요. “Hello, System Architecture!”이 세상 모든 주니어 개발자분들, 퐈잇팅입니다.참고1) 추가적인 이점에 대하여: 웹서버에서 요청을 보낼 때 database 도메인 네임으로 보낼 경우, 멀리 있는 공인 DNS 서버 (예를 들면 google public DNS server: 8.8.8.8)에 물어오는 것보다 자체 DNS 서버에 물어오는 것이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응답을 받아올 수 있습니다.출처GitHub - donnemartin/system-design-primer: Learn how to design large-scale systems. Prep for the system design interview. Includes Anki flashcards.글오연주 사원 | R&D 개발2팀[email protected]브랜디, 오직 예쁜 옷만#브랜디 #개발자 #개발팀 #인사이트 #경험공유 #주니어개발자
조회수 2007

다양한 형태를 지원하는 리스트 UI, 잘 그리고 계신가요?

대략 1년 반 전, 5.0 롤리팝과 함께 나타난 RecyclerView. ListView 를 이용할 때 아주 기초적이고 정석적인 개념으로 사용되던 ViewHolder pattern 을 반 강제화? 하면서 동시에 성능까지 개선한 ListView 의 개량버전.앱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한 가지 타입의 뷰만 반복적으로 보여주는 단순한 구성보다는 다양한 타입의 뷰를 보여주는 앱들이 많아지고 보편화 된 시점에 이것을 구현하기 위한 Adapter.getView 메소드는 혼돈.chaos 가 되었지요. 가독성을 높일만한 나름대로의 시도를 해보고 있을 때, RecyclerView 가 갑툭튀 했고 이걸 이용하면 원하는 만큼의 많은 타입의 뷰를 “가독성 좋게 만들어 볼 수 있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그래서 RecyclerView.Adapter 를 상속 받아 다양한 타입의 뷰를 바인딩 할 수 있게 도와주는 헬퍼 클래스, MultiItemAdapter 라는 것을 만들어 보게 됐습니다. 구 회사 프로덕트에 적용해보기도 하고, 개인 프로젝트에 넣어보기도 하고, 토스랩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잔디”에 녹여내보기도 했는데 나쁘지 않은 느낌이들어 그 과정을 공유하고 많은 분들께 피드백도 받고 싶습니다. 또, 어떻게 더 잘 활용하고 계신지 여쭙고 싶습니다.RecyclerView.Adapter 의 이해를 위해 단순단순하게 만들어보자public class BasicAdapter extends RecyclerView.Adapter { private List mItems = new ArrayList<>(); @Override public MyViewHolder onCreateViewHolder(ViewGroup parent, int viewType) { View itemView = LayoutInflater.from(parent.getContext()) .inflate(android.R.layout.simple_list_item_1, parent, false); return new MyViewHolder(itemView); } @Override public void onBindViewHolder(MyViewHolder holder, int position) { holder.mTextView.setText(mItems.get(position)); } class MyViewHolder extends RecyclerView.ViewHolder { private TextView mTextView; public MyViewHolder(View itemView) { super(itemView); mTextView = (TextView) itemView.findViewById(android.R.id.text1); } } ... 이런 식으로 구현하면 되는군, 하지만 내가 최종적으로 원하는 건 다양한 ViewHolder 를 다뤄야 되는 건데 ViewHolder 가 많아지는 경우 inner class 는 쓰면 안되겠다! ViewHolder 들은 따로 패키지 만들어서 관리하자. 음 근데 ViewHolder 를 구성하고 난 다음 어떻게 그려지는 지에 대해 궁금하면 다시 어댑터를 찾아가야 되고, 반대로 어댑터에서 ViewHolder 내 구성요소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하면 다시 ViewHolder 찾아가서 뒤져봐야되는 군. 이건 비효율 적인 것 같다. ViewHolder에 뷰를 그리는 메소드를 하나 만들자. 아 기왕이면 추상화된 클래스를 만들어 돌려돌려 쓰자. 하나 더 Generic 을 사용하자.public abstract class BaseViewHolder extends RecyclerView.ViewHolder { public BaseViewHolder(View itemView) { super(itemView); } public abstract void onBindView(ITEM item); } 뷰를 그리는데 쓰이는 객체는 Generic 을 이용하면 ViewHolder 안에서 그리는 작업 또한 해결이 가능하겠군! 이걸 이용해서 다시 만들어보자.public class MyViewHolder extends BaseViewHolder { private TextView mTextView; public MyViewHolder(View itemView) { super(itemView); mTextView = (TextView) itemView.findViewById(android.R.id.text1); } @Override public void onBindView(String item) { mTextView.setText(item); } } ... public class BaseAdapter extends RecyclerView.Adapter { private List mItems = new ArrayList<>(); @Override public MyViewHolder onCreateViewHolder(ViewGroup parent, int viewType) { View itemView = LayoutInflater.from(parent.getContext()) .inflate(android.R.layout.simple_list_item_1, parent, false); return new MyViewHolder(itemView); } @Override public void onBindViewHolder(MyViewHolder holder, int position) { holder.onBindView(mItems.get(position)); } public void setItems(List items) { mItems.clear(); mItems.addAll(items); } @Override public int getItemCount() { return mItems.size(); } } 음 원하는 모양새다. 근데 이제 Adapter 에선 ViewHolder 에 들어갈 layout 이 어떤 건지 관심꺼도 되겠네. 게다가 ViewHolder 에서 layout 궁금하면 다시 또 찾아와야 되는게 문제다. 좀 더 명시적인 방법으로 Factory method 로 생성자를 제한해보자. RecyclerView.ViewHolder 는 View 를 가지는 생성자가 강제되니 이렇게 바꾸자.public static MyViewHolder newInstance(ViewGroup parent) { View itemView = LayoutInflater.from(parent.getContext()) .inflate(android.R.layout.simple_list_item_1, parent, false); return new MyViewHolder(itemView); } private MyViewHolder(View itemView) { super(itemView); mTextView = (TextView) itemView.findViewById(android.R.id.text1); } 이렇게 하면 어떤 layout 을 다루고 있는지도 금방 알 수 있겠다. 이 정도만 되도 구색을 다 갖춘듯하니 이 느낌으로 다양한 타입의 뷰들을 다뤄보자.public class BasicMultiTypeAdapter extends RecyclerView.Adapter { public static final int VIEW_TYPE_A = 0; public static final int VIEW_TYPE_B = 1; private List mItems = new ArrayList<>(); @Override public BaseViewHolder onCreateViewHolder(ViewGroup parent, int viewType) { if (viewType == VIEW_TYPE_A) { return AViewHolder.newInstance(parent); } else { return BViewHolder.newInstance(parent); } } @Override public void onBindViewHolder(BaseViewHolder holder, int position) { holder.onBindView(mItems.get(position)); } public void setItems(List items) { mItems.clear(); mItems.addAll(items); } @Override public int getItemCount() { return mItems.size(); } @Override public int getItemViewType(int position) { if (position % 2 == 0) { return VIEW_TYPE_A; } else { return VIEW_TYPE_B; } } } 음 깔끔하긴 하다. 근데 getItemViewType 이 스크롤 할 때마다 불릴 텐데, 분기도 많고 연산이 생겼을 때 스크롤 속도에 괜한 영향을 줄 듯? view type 을 차라리 미리 가지고 있게 만들자. 또! 가만보니 한 타입의 객체를 이용해서 다른 스타일로 뷰를 보여줄 뿐이었네. 이것도 여러가지 객체를 담을 수 있게 만들어야지.뷰를 그릴 대상이 될 객체랑 타입을 가지는 Wrapper class 를 만들어서 해결하자. 이러면 Adapter.onBindViewHolder 랑 Adapter.getItemViewType 도 해결이 되겠군.public abstract class MultiItemAdapter extends RecyclerView.Adapter { private List mRows = new ArrayList<>(); @SuppressWarnings("unchecked") @Override public void onBindViewHolder(BaseViewHolder holder, int position) { holder.onBindView(getItem(position)); } @SuppressWarnings("unchecked") public ITEM getItem(int position) { return (ITEM) mRows.get(position).getItem(); } public void setRows(List mRows) { mRows.clear(); mRows.addAll(mRows); } @Override public int getItemCount() { return mRows.size(); } @Override public int getItemViewType(int position) { return mRows.get(position).getItemViewType(); } public static class Row { private ITEM item; private int itemViewType; private Row(ITEM item, int itemViewType) { this.item = item; this.itemViewType = itemViewType; } public static Row create(T item, int itemViewType) { return new Row<>(item, itemViewType); } public ITEM getItem() { return item; } public int getItemViewType() { return itemViewType; } } } MultiItemAdapter 완성.네, 저는 이렇게 만들어서 1년 반 정도 필요한 부분(복잡해 질만한 부분)에 이 클래스를 상속받아 구현했습니다. 사용방법을 예로들어 데이터베이스나 서버로부터 긁어온 아이템들을 타입에 따라 A, B로 나눠서 보워줘야 한다면,// MutiItemAdapter 구현 public class AdvancedItemAdapter extends MultiItemAdapter { public static final int VIEW_TYPE_A = 0; public static final int VIEW_TYPE_B = 1; @Override public BaseViewHolder onCreateViewHolder(ViewGroup parent, int viewType) { if (viewType == VIEW_TYPE_A) { return AViewHolder.newInstance(parent); } else { return BViewHolder.newInstance(parent); } } } // Activity 나 Fragment 등 view 요소에서 ListAdapter item setting. public void setItems(List items) { List rows = new ArrayList<>(); for (int i = 0; i < items xss=removed>이렇게 해주면 됩니다. 그런데 위 사용방법을 보면 추가적인 새로운 타입(Row)의 List 와 반복문을 돌려야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보이는데요. 그럼 이 클래스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구현한 결과를 좀 볼까요?public class NormalItemAdapter extends RecyclerView.Adapter { public static final int VIEW_TYPE_A = 0; public static final int VIEW_TYPE_B = 1; private List mItems = new ArrayList<>(); @Override public RecyclerView.ViewHolder onCreateViewHolder(ViewGroup parent, int viewType) { if (viewType == VIEW_TYPE_A) { View itemView = LayoutInflater.from(parent.getContext()) .inflate(android.R.layout.simple_list_item_1, parent, false); return new AViewHolder(itemView); } else { View itemView = LayoutInflater.from(parent.getContext()) .inflate(android.R.layout.simple_list_item_1, parent, false); return new BViewHolder(itemView); } } @Override public void onBindViewHolder(RecyclerView.ViewHolder holder, int position) { if (holder instanceof AViewHolder) { Item item = getItem(position); ((AViewHolder) holder).getTextView().setText(item.getName()); } else { ((BViewHolder) holder).getTextView().setText("I am B."); } } private Item getItem(int position) { return mItems.get(position); } public void setItems(List items) { mItems.clear(); mItems.addAll(items); } @Override public int getItemViewType(int position) { if (getItem(position).getType().equals(Item.ITEM_TYPE_A)) { return VIEW_TYPE_A; } else { return VIEW_TYPE_B; } } @Override public int getItemCount() { return mItems.size(); } } 뭐, 나쁘진 않습니다. 이 정도 수준으로 개발이 끝나도 되고 추가적인 확장이 필요하지 않아보인다면 굳이 MultiItemAdapter 를 쓸 필요가 없습니다.중요성을 가지는 리스트 위주의 화면에서 위와 같이 개발된다면 당장 보이는 제 불만은 onCreateViewHolder, onBindViewHolder 계속해서 분기가 들어가게 되고 getItemViewType 에서는 계속 해서 List 데이터에 접근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접근 자체가 큰 문제,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정도 규모의 자료구조라면 논외로 치더라도, 뷰 타입이 조금만 늘어나도 onCreateViewHolder, onBindViewHolder 의 덩치는 엄청 커질 겁니다.예를들면 맨 마지막 아이템 타입이 B 이고 현재 추가 될 아이템 타입이 A인 경우에는 다른 형태의 디바이더를 넣어야 한다던지 하는 추가적인 확장이 이루어져야 한다면 골치가 꽤 아플겁니다. 특히 저는 위 예와 비슷하게 뷰 타입에 따라 각기 다른 아래 위 마진값을 요구받을 때, ViewHolder 마다 이전 데이터를 참고하게 만들고 동적으로 Visibility 처리를 하거나 MarginLayoutParams 를 고치는 것이 비효율적으로 느껴져서 height를 주입받는 DividerViewHolder 를 하나 만들어 사용하곤 했습니다. 이렇게 하니 각각의 ViewHolder 들이 데이터들에 의존적이지 않게 코딩이 가능했었습니다. 한 가지 더 예를들어 리스트 중간 중간 광고가 보여지게 되고 이 광고 클래스는 완전히 다른 객체로부터 보여줘야 한다 라고 했을 때 MultiItemAdapter 를 이용하면 쉽게 해결이 가능합니다.정작 근 1년간 “잔디”를 만들면서는 자주 쓰진 않았는데, 작년부터 각광받기 시작한 MVP 패턴을 사용할 때 View 에서의 로직을 최소화 하려고 한다면 써먹을 수 있는 모델로 적합하지 않나 생각이 들면서 다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Presenter 에서 Row 를 만들어 던져주면 View 는 그것을 그대로 사용하게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거든요.(아직까지는 비교적 크지 않은 부분에서만 사용하게 되서 View(MainThread)에서 Row 를 만들게 코딩해 놓은 컴퍼넌트가 더 많네요 흑흑) 더 복잡한 구조를 갖는 컴퍼넌트를 만들어야 할 때는 비동기 스레드에서 Row 까지 만들어 내보내는 것도 해볼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제 눈에만 괜찮은 구조인지, 생각지도 못한 치명적인 단점이 있진 않은지, 구조나 설계 측면에서 안 좋은 점은 있지 않은지, 논리없이 Generic 으로 “퉁” 치고 있는 코드는 아닌지, 여러가지가 많이 궁금합니다 ^^ MultiItemAdapter 를 쓴 것과 안 쓴것의 정말 심플한 비교 소스를 열어놓았습니다 MultiItemAdapter 또, 여러분들은 어떻게 구현하고 계신지요? 여러분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 :)#토스랩 #잔디 #JANDI #개발 #개발자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회수 2091

칸반(Kanban) 5개월 사용 후기

사실 개발 방법론이라는 것을 7개월 전만 해도 귓등으로 듣고 그게 왜 필요한지도 알지 못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부끄럽지만 애자일이 수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중 하나인줄 알았죠.10개월 전만해도 우리 팀은 저를 포함해서 3명에 불과했고 모든 것은 메신저와 구글 드라이브로 일을 처리했습니다. 기억력이 좋지않지만 머릿속에서 각 팀원들이 언제까지 뭘하고 다음엔 무엇을 언제까지 해야겠다라는 것이 그려질 정도로 적은 숫자였죠. 개발방법론이 필요한 이유가 없으니 무관심한 것은 당연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중에 아마 7개월 전의 저와 같은 생각을 하신 분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지금 우리 팀은 11명으로 늘어났고(그중에 소프트웨어 개발팀만 7명) 그들 하나하나를 마이크로 매니징하기에는 저라는 인간이 너무나 머리가 아팠습니다. 그래서 도입한 것이 애자일 개발방법론이었는데 애자일은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거기서 많은 교훈을 얻고 칸반으로 전환하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우리 팀은 애자일 개발선언 중에서도 "계획을 따르기보단 변화에 대응하기"라는 선언을 굉장히 맘에 들어했는데, 그 이유는 애자일 도입이전 우리의 상황이 그랬기 때문이었습니다. 매일매일 고객의 요구는 들어오고 경영진과의 대화에서 매일매일 우선순위가 바뀌고, 그에 따라 하던 작업이 마무리되지 않으면 브랜치를 새로 파서 다른 작업을 하고 미완성된 코드는 늘어났으며 그에 따라 불평불만도 늘어났습니다.여러 애자일 개발방법론 중에서도 우리가 선택했던 것은 eXtreme Programming(XP)이었는데, 우리에게 스크럼과 같은 1달간의 스프린트는 너무 길다, 2주간의 이터레이션(Iteration)으로 구성된 XP가 좋다라는 것이었습니다.우리는 스크럼 보드를 준비했고 거기에 포스트잇을 붙여가면서 아침마다 스크럼 회의를 했으며, 기록을 남기기위해 레드마인을 사용하였습니다.eXtreme Programming Flow Chart간단하게 왜 실패했는지 이유를 들어볼게요.1. 배포 계획(Release Plan)을 수립하기 힘들다물론 계획자체를 만들기 힘들다는 것이 아닙니다. 배포 계획을 만들어도 그대로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큰 틀로 배포 계획을 만들고 작은 틀로 반복 계획(Iteration Plan)을 세우는 것이 목표였는데, 수립을 해봤자 절대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우리와 같은 작은 스타트업의 작은 팀은 시장의 요구사항이라는 급류에 이리저리 쓸려 매일매일 계획과는 다른 일을 하고 있었거든요. 리팩토링할 시간은 커녕 테스트 코드를 짤 시간조차 없었습니다.(핑계일수도 있지만요)거짓말이 아니고 단 한번도 계획대로 되지 않았습니다.2. 팀원들의 시간 예측 능력 부족애자일은 팀원들이 시간 예측을 굉장히 잘한다는 가정하에 잘 돌아가는 방법론입니다. 모두가 함께 한자리에 모여 복잡도를 논의하고 그에 따른 프로젝트의 시간 예측을 하고 함께 번다운 차트(Burn-down chart)를 그리며 하하호호 잘 나아가야 하는데, 우리 팀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물론 실력부족이라고 탓할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 스크럼 보드에 예측시간 8시간이라고 적어놓고 4시간정도만 지나면 다른 문제가 터지거나 다른 기능을 개발해야하는 둥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을 뿐더러 그런 방해요소가 없다고 하더라고 8시간보다 더 많이 걸리거나 더 적게 걸리기도 했습니다.예측시간을 측정하기 힘든 마이너한 이유중에 하나는, 스파이크 솔루션(Spike solution)를 개발하는데 얼마나 걸리는지 예측하지 못한 탓도 있었는데 이 세상에 없는 솔루션을 개발하는데 있어 이전의 경험만으로는 턱없이 부족했습니다.이런 이유들 때문에 우리는 XP를 버릴 수 밖에 없었습니다. 계획보다는 변화에 적응하자!라는 원대한 목표가 있었지만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우리가 닥친 미친듯한 변화를 감당하기에는 벅찼습니다. 우리는 스크럼 보드를 점점 멀리하기 시작했고 다시 구글 드라이브로 돌아갔습니다.저는 구글 문서(Google Docs)에 우리가 해야할 요구사항을 적었습니다. 우선순위가 높은 일일 수록 상단에 두었습니다. 그 오른쪽에는 일을 해야할 사람의 이름을 적었습니다. 그렇게 적고 문서를 공유하면 팀원들은 그 문서를 보고 그 순서대로 일을 진행하였습니다. 일을 진행하다가 생기는 의문점은 급한 일일 경우 구두로 전달하고 급하지 않을 경우에는 메신저 또는 문서의 빈공간을 활용하여 적었습니다.완료된 요구사항은 취소선을 긋고 옅은 글씨로 처리하여 해야 할일과 완벽히 구분되도록 하였으며 한 사람당 해당 시간에 하나의 일만 처리하도록 규칙을 세웠습니다. 보류되는 일은 보류 섹션으로 할일을 옮기고 보류가 되는 이유를 적도록 했습니다. 혼자 해결하기 힘들경우 회의를 통하여 함께 해결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구요.그런식으로 우리는 배포 시기를 최대한 맞추려고 노력했고 이상하게도 XP를 버리고 구글 문서로 갈아타니 일이 더욱 수월해져서 이제는 생각보다 일이 빨리 끝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더욱 놀라운 일은 지금까지 우리가 했던 방식이 칸반과 유사하다는 것이었습니다.저는 바로 칸반 보드를 도입했고 이에따라 애자일에서 배운 규칙/정신과 칸반의 장점을 혼합하여 우리 팀만의 칸반보드를 완성하였습니다.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칸반 보드는 Kanboard의 오픈소스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1.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토대로 개발한다. 절대 혼자 일하지 않는다- 지속적으로 팀의 동의(Team agreement)를 구한다.- Knoledge island를 탈출하라(자신이 알고있는 지식이 전부가 아니다).- 코드 병목현상(Code bottleneck)을 탈출하라. Collective ownership을 발동하라.2. 한 번에 한개의 일만 처리하라. 보류하는 일은 최소로 하라칸반의 핵심으로 한 번에 한개의 일만 처리하도록 합니다. 개발자의 뇌는 하나도 손은 두개이고 손가락은 열개이므로 한 번에 하나의 일만 처리해야 합니다. 한 개의 일이 끝나지 않으면 다음 일을 진행하지 않는 것을 규칙으로 합니다.3. 가능하다면 예측시간을 적는 습관을 들인다개발완료시간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개발자들에게 정말 중요한 능력중에 하나입니다. 신제품을 시장에 빨리 내놓을 수록 피드백을 빨리 받을 수 있으며, 고객으로부터의 소중한 피드백은 개선된 다음 버전을 위한 초석이 되기 때문입니다. 사업적으로 성공하고 싶다면 예측시간을 꼭 적는 습관을 들여 자신이 정해진 시간 동안 얼마만큼의 일을 할 수 있는지 예측하는 일이 큰 도움이 됩니다.4.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기존의 방법을 과감히 버린다저의 철학과도 일치하는 이야기인데요, 우리 팀과 회사가 함께 좋아질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한다면 과감히 현재의 방법을 버리고 새로운 방법을 시도한다라는 우리 팀만의 맹세입니다. 앞으로 항상 발전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잠시 손을 놓고 한발짝 물러서서 비판적인 자세로 모든 것을 바라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도 혁신의 첫발짝이라고 생각합니다.지금까지 우리 팀이 꾀한 겉으로 보기에 가장 큰 혁신은 기존의 속도가 느리고 사용하기 불편했던 솔루션을 과감히 버리고 새로운 서버와 새로운 언어로 전환하면서 마이그레이션 및 새로운 형태의 최적화된 솔루션을 구축했다는 것입니다.(물론 내부적으로 가장 큰 혁신은 기존의 방법을 버릴 수도 있다라는 생각을 가졌다는 것이지요)현재 저는 팀 매니저로서 User story(요구사항정의서) 관리, Release plan(배포 계획서), 와이어프레임을 포함한 기획서 등 최소한의 문서만 관리하고 있으며, 팀원들 또한 이 시스템에 만족하며 아직까지는 판단하기 이르지만 굉장히 좋은 방법인것 같습니다.5개월간 칸반을 사용하면서 팀원들로부터 받은 피드백은 다음과 같습니다.1. 매일 아침 15분씩 하는 스크럼 회의는 새로운 기능 또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굉장히 유용하지만, 디버깅 또는 테스팅 기간에는 시간낭비다.이 말을 한 팀원의 말에 따르면, 우리 팀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사람, API를 만드는 사람 등등 각자의 역할이 확실히 나누어져 있는데 새로운 기능을 개발할때는 여러사람과 소통해야하는 경우가 많고 개발 스펙이 달라지거나(작게는 함수이름 변경 등) 여러 변수들이 작용할 수 있으므로 짧게 자주만나는 것이 좋다고 말했습니다.2. 회의도 시간낭비다- 회의는 가급적 개최하지 않고 가능하다면 1:1 구두로 해결한다.- 급한일이 아닐경우에는 이메일/메신저를 활용하도록 한다.3. 칸반 보드에 보류 칼럼, 테스팅 칼럼을 나눈다보류 칼럼과 테스팅 칼럼을 나누어 적어 어떤 할일이 보류되었으며 어떤 할일이 테스팅 중인이 확실히 하도록 했습니다. 이는 테스팅을 하는데 오래걸리는 기능들이 있으며 테스팅을 하는 동안 다른 기능을 개발할 수도 있다는 것이 큰 이유였습니다.우선 순위가 바뀌었을 때 할 일을 잠시동안 놓아둘 칼럼이 없다는 것이 보류 칼럼이 존재하는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그러나 보류 칼럼에 놓을 수 있는 할 일의 수는 개인당 1개로 제한하여 2개 이상의 보류하는 일이 없도록하여 경각심을 갖도록 하였습니다.앞으로의 계획은 전에 언급했던 와비파커(Warby Parker)의 기술팀이 도입한 와블스(Warbles) 시스템을 적용해보는 것입니다. 우리 팀이 어떻게 바뀔지 정말 기대가 됩니다.#비주얼캠프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언 #개발자 #개발팀
조회수 2728

PHP CI 환경에서 완전한 Vue 사용하기

편집자 주Vue 또는 VUE로 혼용하나 공식 사이트의 표기에 맞춰 아래와 같이 통일함-Vue-Vuex-Vue-Router목차1.Controller2.VIEW3.webpack Vue 소스 진입점4.webpack 설정5.Package.json6.Vue-Router7.Vuex8.공통 처리 mixin9.요약10.마치며시작하며드디어 브랜디 관리자 서비스에 Vue를 도입하고자 떠났던 여정의 마지막 장입니다. 브랜디 관리자 서비스는 PHP Codeigniter와 jQuery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실 잘 운영되고 있는 서비스에 리스크가 큰 신기술을 도입하는 것은 도박에 가깝습니다. 몇 시간만 운영이 정지되어도 회사에 엄청난 피해를 안겨줄 수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여러 번의 검증과 실험으로 도박에서 이길 확률을 100%에 가깝게 끌어올린다면 한번 도전해볼 만하지 않을까요?이전 글인 PHP Codeigniter 환경에서 VUE 사용해보기에서 기본적인 webpack + Vue + Codeigniter 환경 구축 방법을 알아봤는데요. 하지만 단순히 webpack과 Vue만 적용했다고 해서 “우리 시스템은 UI 프레임워크로 Vu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할 순 없습니다. 아주 중요한 숙제가 남았죠.Vue에는 활용도를 대폭 끌어올려주는 Vue-Router와 Vuex Store1)가 있는데 그중 Vue-Router를 이번 글에서 자세히 다루려고 합니다.2) Vue-Router는 Vue.js의 공식 라우터입니다. 공식 홈페이지의 소개는 아래와 같습니다.중첩된 라우트/뷰 매핑모듈화된, 컴포넌트 기반의 라우터 설정라우터 파라미터, 쿼리, 와일드카드Vue.js의 트랜지션 시스템을 이용한 트랜지션 효과세밀한 내비게이션 컨트롤active CSS 클래스를 자동으로 추가해주는 링크HTML5 히스토리 모드 또는 해시 모드(IE9에서 자동으로 폴백)사용자 정의 가능한 스크롤 동작한마디로 정리하면 입력된 URL에 반응해 부분에 해당 URL의 view를 보여주는 기능인 것입니다. 다시 말해 URL이 변경될 때 한 페이지에서 화면 전체를 갈아끼우거나, 화면의 일부분(부분)을 치환해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죠. 더 나아가 해당 화면이 로드되기 전후로 전처리, 후처리 기능까지 가능합니다.착안점Vue와 Vue-Rotuer를 알게 되었을 땐 PHP 기반 프로젝트에 Vue-Router를 적용할 수 없으니 처음부터 새로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로그인 인증 문제, 메뉴의 권한 관리 등 모든 것이 Vue 아래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어느 날 관리자 서비스에 TDD를 구현해보려고 Python Flask + webpack + Vue 프로젝트를 구성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우연히 Flask + Vue-Router에서 404 페이지를 처리하려면 Flask Fallback 페이지를 Vue-Router 메인 페이지(가 있는 페이지)로 보내고, Vue-Router에서 진짜 매핑된 URL이 없으면 404 처리를 하는 식으로 구성한다는 글을 읽고 문득 호기심이 생겼습니다.‘관리자 서비스에서도 컨트롤러로 여러 URL을 한 가지 페이지로 보낸다면?’PHP를 거쳐 페이지로 이동한 것이므로 권한 관리와 메뉴 트리까지는 PHP에서 처리되면서 URL이 변할 것이고, 실제로 화면을 보여주는 Contents 영역만 를 사용한다면 어떻게 될지 궁금해졌습니다. 바로 하던 일을 멈추고 관리자 소스에 Vue-Router를 활용한 테스트 소스코드를 작성해봤습니다.예상했던 대로 PHP의 로그인 인증 처리를 거치면서 실제로 보이는 부분에는 부분만 정상적으로 치환되었습니다. 이 간단한 실험을 바탕으로 통계 시스템의 일부를 구현하는 데에 Vue-Router와 Vuex Store, 공통 처리 Mixin을 추가해 제작했습니다.1.Controller4개의 페이지를 가진 통계 시스템의 Codeigniter 컨트롤러 모습입니다. 기존의 서비스 URL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Fallback을 통으로 Vue-Router로 보낼 순 없었고, 라우터를 사용할 페이지들을 하나의 페이지로 보냈습니다.1-1) /application/controllers/[컨트롤러 경로]... 생략 /* [라우터 view]에서 태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public function salesAnalysisProduct() { $this->load->view('[라우터 view]'); } public function salesAnalysisSeller() { $this->load->view('[라우터 view]'); } public function trendAnalysisProduct() { $this->load->view('[라우터 view]'); } public function trendAnalysisSeller() { $this->load->view('[라우터 view]'); } ... 생략 2.VIEWCodeigniter 환경에 반영하는 것이므로 CI에서 인식시킬 PHP view와 webpack에서 빌드 결과를 자동으로 바인딩할 html 파일로 구성됩니다.2-1)/application/views/[Vue용 view 경로]/index.php// [index.php] Vue 를 매핑할 php파일 컨트롤러의 view로딩용 [라우터 view]입니다. ... header, menu 생략 ... //바인딩될 부분 //자동매핑 html 인클루드 <?php include('index.html'); ?> ... footer 생략 ... 2-2)/application/views/[Vue용 view 경로]/index.html webpack의 빌드 결과로 자동으로 생성되는 파일입니다. [removed][removed] 위는 webpack의 HtmlWebpackPlugin에 의해 자동으로 바인딩된 모습입니다. 빌드되기 전 index.html은 다음 항목에 있습니다.3.webpack Vue 소스 진입점관리자에서는 프로젝트 폴더 안에 webpack과 Vue 용 서브 폴더를 두고 webpack.config.js에서 output 옵션을 통해 빌드 결과를 삽입하는 구조입니다. webpack 루트 폴더는 application 폴더와 같은 레벨에 위치하며, 폴더 구조나 파일 위치는 어디에 둬도 상관없습니다. webpack.config.js에서 entry 속성으로 잡아주시면 됩니다.3-1)/[webpack루트]/index.html// HtmlWebpackPlugin으로 스크립트를 삽입하기 위한 빈 템플릿 파일 3-2)/[webpack루트]/index.js/** * 진입용 index.js */ import Vue from 'vue' import axios from 'axios' import router from './router' import App from './App.vue' Vue.prototype.$http = axios new Vue({ el : '#app', router, components : { App }, template : '' }); 3-3)/[webpack루트]/App.vue [removed] import mixin from './common/common-mixin.js' import store from './vuex/store' export default { store, name : 'App' } [removed] Vuex와 통신 모듈 axios, Vue-Router 등을 루트 Vue 객체에 추가해줍니다. 브랜디 관리자의 webpack은 babel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의 store처럼 축약해서 작성하면 빌드된 파일에는 store: store와 같이 입력됩니다.Vue-Router는 태그에 자동으로 매핑되며, 위와 같은 구조로 상위 컴포넌트에서 할당되어 있어야 합니다. Vuex와 Vue-Router 설정은 글 아래에서 다루겠습니다.4.Webpack 설정이번에 Vue-Router와 Vuex를 도입하면서 webpack의 설정도 실제 서비스용과 개발용으로 분리했습니다. 폴더는 편의상 추가하였으며, package.json에서 자신이 설정한 경로로 설정하면 됩니다.Webpack 설정 파일은 Webpack의 시작과 끝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Webpack 설정 파일에서 빌드할 소스의 경로와 빌드 결과 파일의 명명 규칙을 정하고, html 파일에 스크립트파를 자동으로 주입시키거나, Babel 플러그인을 통해 최신 스크립트 작성법을 브라우저를 신경쓰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그중에서도 중요한 옵션이 있는데 바로 Code Splitting에 관련된 옵션입니다.관리자 초기 Vue 모델에는 Vue-Router가 없었기 때문에 js 번들 파일의 크기가 그렇게 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Vue-Router를 사용해 싱글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이 되거나 화면의 UI가 복잡해 컴포넌트 수가 많아지면 번들 js 파일의 크기가 매우 커집니다. 즉, 캐시를 사용하지 않는 익스플로러라면 소스에서 한 글자만 바뀌더라도 모든 페이지에서 거대한 번들 js를 새로 로딩하게 되고, 상당한 서버 자원을 소모합니다.Code Splitting 적용 전위의 이미지는 Code Splitting을 적용하기 전의 번들 js 정보입니다. 실제로 완성된 Vue 프로젝트의 번들 js는 더욱 큽니다. 정말 단순한 페이지 하나를 띄우는데 매번 뚱뚱한 js를 로딩해야 하는 것은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사용자를 모두 괴롭게 할 것입니다.Code Splitting 적용 후하지만 위처럼 작은 조각으로 나눠 필요한 시점마다 필요한 번들 js만 로드하면 매우 빠른 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ode Split 기능은 매우 중요한 이슈입니다.물론 개발을 진행하다 보면 역시 어느 것 하나 쉽게 넘어가지지 않습니다. 관리자의 웹팩은 4.x 버전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전에 TF에서는 Webpakc 3.x 버전대를 사용하였는데 당시에는 CommonChunkPlugin 설정을 통해 Code Splitting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그대로 관리자에 적용하려 했는데..Removed라고 쓰여 있습니다. 찾아보니 CommonChunkPlugin이 옵티마이즈 옵션 하위의 splitChunk 속성으로 들어가면서 설정 방법이 바뀌었더군요. 머리를 싸매고 설정을 잡습니다.4-1) /[webpack루트]/build/webpakc.config.js : 공통 설정파일'use strict' const HtmlWebpackPlugin = require('html-webpack-plugin'); const { VueLoaderPlugin } = require('vue-loader'); const path = require('path'); module.exports = { entry: { //string, object, array 가능 - 기본은 ./src app: path.join('[스크립트 파일 경로]', 'index.js') //진입점 스크립트 파일입니다. }, output: { path: '[빌드된 js 목적지 경로]', publicPath: '[이미지등의 웹상 리소스 경로]', filename: './[name].[chunkhash].js', // 엔트리 파일명명규칙 chunkFilename: '[id]_[chunkhash].js', // chunk파일 명명 규칙 // --mode development에서는 [id]에도 chunkName들어갑니다. }, //vue와 js, css 로드 규칙을 설정합니다. module: { rules: [ { test: /\.vue$/, loader: 'vue-loader', include: [ /[Vue 소스 경로]/ ] }, { test: /\.js$/, use: { loader: 'babel-loader?cacheDirectory', }, include: [ /[Vue 소스 경로]/ ] }, { test: /\.css$/, oneOf: [ { use: [ 'vue-style-loader', 'css-loader' ] } ] } ] }, resolve: { alias: { '@': '[Vue소스 경로]', // 편의상 소스단축경로를 설정합니다. }, //파일 확장자 자동인식 임포트시 해당 확장자는 생략가능합니다. extensions: ['.js', '.vue', '.json'], }, plugins: [ // Vue 파일 로더 new VueLoaderPlugin(), // html 자동 바인딩 // 아래의 플러그인으로 인해 index.html에 해시네임으로 빌드된 index.js가 자동으로 매핑됩니다. new HtmlWebpackPlugin({ // index.php에서 include할 파일이 생성될 경로와 파일명 입니다. filename: path.join('[View경로]', 'index.html'), // 자동으로 매핑할 진입점파일을 지정합니다. template: path.join('[Vue소스 경로]', 'index.html'), inject: true, minify: { removeComments: true, collapseWhitespace: true, removeAttributeQuotes: true } }), ], optimization: { //웹팩 4.x 버전에서 옵티마이즈 속성으로 추가된 CodeSplitting 기능입니다. splitChunks: { //initial - static파일만 분리, async - 동적로딩파일만 분리, all - 모두 분리 chunks: 'async', minSize: 30000, minChunks: 1, maxAsyncRequests: 5, //병렬 요청 chunk수 maxInitialRequests: 3, //초기 페이지로드 병렬 요청 chunk수 automaticNameDelimiter: '_', //vendor, default등 prefix 구분문자 (default : '~') name: true, //development모드일때 파일에 청크이름 표시여부 cacheGroups: { default: { minChunks: 2, //2개 이상의 chunk priority: -20, reuseExistingChunk: true //minChunks이상에서 사용할경우 공통사용 }, //axios, vue 같은 공통 모듈은 vendor로 관리합니다. vendors: { test: /[\\/]node_modules[\\/]/, priority: -10 } } } } }; 4-2) /[webpack루트]/build/webpack.dev.config.js 개발용 설정 파일 (네이밍은 자유)'use strict' const merge = require('webpack-merge') const webpack = require('webpack') const BundleAnalyzerPlugin = require('webpack-bundle-analyzer').BundleAnalyzerPlugin const baseWebpackConfig = require('./webpack.config') const config = require('../config').dev //개발용설정 const devWebpackConfig = merge(baseWebpackConfig, { //mode는 chunk[id], 디버깅 코드 등에 영향을 줍니다. webpack 3.x 버전에서는 Env 속성을 통해 관리했다고 합니다. mode: 'development', plugins: [ new BundleAnalyzerPlugin(), //번들 무게 분석기 제대로 스플릿 되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new webpack.DefinePlugin({ env : config.env }), ], watch: true, //코드의 변화를 감지해 자동으로 재빌드해주는 옵션입니다. cache: true, //캐시 사용을 활성화하면 변경사항이 있는 코드만 재빌드합니다. optimization: { //uglify 플러그인 코드 압축 여부를 설정합니다 압축 시 용량을 매우 줄일 수 있으나 빌드 속도가 크게 저하되므로 개발 시에는 꺼줍니다. minimize: false, } }) module.exports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resolve(devWebpackConfig); }) 4-3) /[webpack루트]/build/webpack.prod.config.js 서비스용 설정파일 (네이밍은 자유)'use strict' const merge = require('webpack-merge') // 설정파일 결합에 사용합니다. const webpack = require('webpack') const baseWebpackConfig = require('./webpack.config') //베이스 설정파일 const config = require('../config').prod //서비스용 설정 const prodWebpackConfig = merge(baseWebpackConfig, { mode: 'production', //chunk[id], 디버깅 코드등 영향 있음 plugins: [ new webpack.DefinePlugin({ env : config.env }), ], //개발용과 반대로 용량은 줄이고 필요 없는 기능은 꺼줍니다. watch: false, cache: false, optimization: { minimize: true, } }) module.exports = prodWebpackConfig 5.package.json웹팩 설정 파일이 분리되면서 package.json의 런 스크립트도 변경했습니다.... "scripts": { "build": "webpack --config build/webpack.prod.config.js --progress", "build-dev": "webpack --config build/webpack.dev.config.js --progress" }, ... 6.Vue-RouterVue-Router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Vue의 컴포넌트와 밀접하게 결합된 라우터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webpack의 Code Split을 사용하려면 컴포넌트 import 방법이 매우 중요한데요.import './testComponent' 위처럼 import 구문을 사용해 컴포넌트를 불러오면 코드가 쪼개지지 않고 한 덩어리로 빌드되므로 아래와 같은 형태로 사용해야 합니다.const testComponent = () => import('./testComponent') webpack 공식 문서에도 나와있듯이 위처럼 ES2015 Loader spec에 있는 import()를 사용하여 컴포넌트를 생성해야 번들 js가 제대로 분리되며, Dynamic Import가 가능해집니다.Vue-Router를 쓰는 순간 싱글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이 되기 때문에 이곳에서 설정을 잘못 잡아주는 순간 육중한 컴포넌트 한 덩어리가 튀어나오면서 Code Splitting은 물거품이 되어버립니다. 조심합시다!또한 import 함수 안쪽엔 아래와 같은 주석을 달아야 청크 이름이 적용됩니다.const testComponent = () => import( /* webpackChunkName: '[청크이름]'*/ './testComponent') 라우터 경로 속성인 path 와 Codeigniter의 컨트롤러 경로를 맞춰주는 것이 포인트입니다!6-1) /[webpack루트]/router/index.js - 경로와 파일명은 자유입니다!import Vue from 'vue' import Router from 'vue-router' // 주석의 webpackChunkName = 코드 스플릿 chunk Name으로 사용됩니다. // 꼭 컴포넌트와 청크 이름을 같게 설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const SalesAnalysisProduct = () => import(/* webpackChunkName: "salesAnalysisProduct" */ '[컴포넌트 파일 경로]') const SalesAnalysisSeller = () => import(/* webpackChunkName: "salesAnalysisSeller" */ '[컴포넌트 파일 경로]') const TrendAnalysisProduct = () => import(/* webpackChunkName: "trendAnalysisProduct" */ '[컴포넌트 파일 경로]') const TrendAnalysisSeller = () => import(/* webpackChunkName: "trendAnalysisSeller" */ '[컴포넌트 파일 경로]') Vue.use(Router) const router = new Router({ mode: 'history', routes: [ /* 통계 */ { path: '[CI컨트롤러 url]/salesAnalysisProduct', name: 'salesAnalysisProduct', component: SalesAnalysisProduct }, { path: '[CI컨트롤러 url]/salesAnalysisSeller', name: 'salesAnalysisSeller', component: SalesAnalysisSeller }, { path: '[CI컨트롤러 url]/trendAnalysisProduct', name: 'trendAnalysisProduct', component: TrendAnalysisProduct }, { path: '[CI컨트롤러 url]/trendAnalysisSeller', name: 'trendAnalysisSeller', component: TrendAnalysisSeller }, ] }) // 아래의 함수로 전처리 후처리도 가능합니다! router.beforeEach((to, from, next) => { // ... }) router.afterEach((to, from) => { // ... }) export default router 7.Vuex앞서 Vue와 Vuex, 컴포넌트간 통신과 상태 관리에서 소개했던 상태 관리와 통신을 위한 Vuex도 추가합니다. Vuex는 하나의 Store만 쓸 경우 상태 변수의 과포화로 인해 유지 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namespace: true 옵션을 통해 도메인별로 관리합니다.7-1) /[webpack루트]/vuex/store.js - Vuex 진입파일import Vue from 'vue' import Vuex from 'vuex' // 각 도메인별 store들이 들어있는 modules 를 임포트해줍니다. import * as modules from './modules/index' Vue.use(Vuex) export default new Vuex.Store({ state : { }, getter: { }, mutations : { }, actions : { }, modules : modules.default }) 7-2) /[webpack루트]/vuex/modules/index.js - 도메인별 Store 자동 바인딩 스크립트const files = require.context('.', false, /\.js$/) const modules = {} //자신(index.js)를 제외한 파일들을 파일이름을 Key로 modules에 담습니다. files.keys().forEach((key) => { if (key === './index.js') return modules[key.toLowerCase().replace(/(\.\/|\.js)/g, '')] = files(key).default }) export default modules 7-3) /[webpack루트]/vuex/modules/statistics.js(통계 store 파일) - 예시입니다.export default { namespaced : true, //해당 속성을 통해 파일명을 namespace로 사용합니다. state: { /* 상태값 및 데이터 */ ... }, getters: { }, mutations: { /* state 변경처리 */ ... }, actions: { /* 통신처리 */ ... } } namespace: true로 되어있으므로 파일명인 statistics를 namespace로 사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store 각 항목에 대한 접근은 다음과 같이 이뤄지며 computed 속성에 state: this.$store.state.statistics 처럼 정의해두면 편리합니다.dispatch는 this.$store.dispatch(‘statistics/[action 이름]’)commit은 this.$store.commit(‘statistics/[mutation 이름]’)state 변수 접근은 this.$store.state.statistics.[state 이름]8.공통 처리 mixinapi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 라이브러리와 그 라이브러리의 복잡한 설정 코드, 단순한 Toast 출력 함수, 로딩 이펙트를 보여주는 함수 등 모든 항목들이 매 페이지마다 있으면, 통일되지 못한 UI, 페이지마다 일관되지 못한 설정 등으로 휴먼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유지 보수 측면에서도 비용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단순 반복 코드들은 한번만 정의하고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나중에 수정할 때도 용이하죠.공통사항을 묶어 Vue 전역 믹스인으로 Vue 루트 객체에 추가합시다. 단, global 옵션인 만큼 조심해서 써야 합니다. 시스템에 영향을 줄 것 같으면 하위 컴포넌트 mixins 속성에 넣어 해당 스코프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8-1) /[webpack루트]/common/common-mixin.js (파일이름, 경로는 자유입니다!)import Vue from 'vue' import Vue from 'axios' import Cookies from 'js-cookie' const TIMEOUT = '[타임아웃 시간(ms)]' /* mixin의 기본 형태는 Vue 컴포넌트의 형태와 동일합니다. 주로 전역 통신과 상태 관리는 vuex store에서, 전역 data 속성과 전역 함수는 mixin에서 관리합니다. */ Vue.mixin({ /* 전역 사용 data속성 선언 */ data: () => { return { ... //이곳에 선언하는 data 속성은 전역에서 this로 접근 가능합니다. } }, created: function() { // 공용 axios 객체 생성 this.axios = axios.create({ timeout: TIMEOUT, withCredentials: true, //공통해더는 여기에 headers : { } }); //axios 의 success와 error를 mixin method에서 처리 하도록 등록 this.axios.interceptors.response.use(this.onSuccess, this.onError) }, /* 전역 사용 함수 선언 */ methods: { /* axios의 response handling 함수*/ onSuccess : response => { }, onError : function (error) { }, /*GET, POST 등의 통신 함수, Toast(alert) 표출함수, 에러핸들링함수 등 선언*/ /*... 내용이 너무 길어서 생략 ...*/ } }); 9.요약지금까지의 내용은 파일 경로를 토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로 아래의 폴더 구조는 절대적인것은 아닙니다. 모든 폴더 구조는 자율이며, 폴더 구조에 맞게 webpack.config.js에서 조정해주면 됩니다.[프로젝트 루트] └ [웹팩 루트] └ package.json └ [Vue 소스 루트] └ [common] └ [router] └ index.js // 라우터 설정파일 - CI 컨트롤러와 url 맞춰줘야함 └ [vuex] └ index.js // 도메인별 store module export 스크립트 └ [modules] └ 도메인별 store.js └ [컴포넌트 폴더] //예시에서는 ststistics └ App.vue //진입점 vue파일 Vuex와 전역 mixin 세팅 └ index.html //index.js가 주입될 껍데기 └ index.js //진입점 js Vue-Router와 App.vue 세팅 └ [build] // 빌드파일경로 └ webpack.config.js //베이스 설정파일 └ webpack.dev.config.js //개발용 설정파일 └ webpack.prod.config.js //서비스용 설정파일 └ [application] //Codeigniter 루트 └ [controllers] └ [컨트롤러 경로] // 예시의 통계부분 └ [views] └ [웹팩빌드 결과 폴더] └ [index.php] // CI 에서 로드하는 view (index.html include) └ [index.html] // js 번들이 자동 주입된 빌드결과 파일 └ [include] └ [scripts] └ [빌드결과 js 경로] //public path 속성 경로 └ 빌드 결과 js chunk들 마치며관리자 서비스에서 완전한 Vue를 사용하기 위해 꽤 험난한 과정을 거쳤습니다. 지금도 잘 돌아가는 서비스에 리스크를 감수하면서도 새로운 것을 도입하려는 이유를 찾아야 했고, 한동안은 레거시와 Vue로 된 소스를 2중으로 개발해야 했습니다.게다가 이 글을 작성하기 시작했을 땐 Code Splitting 설정 방법이 바뀌어 적용하지도 못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사실 Code Splitting 내용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글을 작성하면서 splitChunk옵션을 성공해버렸어요! 덕분에 이 글도 모두 수정해야 했죠. Vue의 도입을 고려하는 개발자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글을 마칩니다.참고1)Vuex Store는 Vue와 Vuex, 컴포넌트간 통신과 상태 관리에 자세히 정리해두었다.2) 브랜디 관리자 서비스는 jQuery로 작성되어 있다. 따라서 jQuery를 베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기존 jQuery 컴포넌트들에 대한 해결책은 천보성 팀장님이 작성한 JQuery 프로젝트에 VUE를 점진적으로 도입하기를 참고했다. props와 emit 기능을 이용해 jQuery로 제작한 컴포넌트를 깔끔하게 Wrapping 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이를 활용하면 레거시 UI 플러그인을 마치 네이티브 Vue 플러그인처럼 사용할 수 있다.글강원우 과장 | R&D 개발2팀[email protected]브랜디, 오직 예쁜 옷만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