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홈

인터뷰

피드

뉴스

조회수 1288

AWS CodeCommit. 배포 자동화 환경 만들기(브랜치별 Pipeline 구성)

편집자 주: 함께 보면 좋아요!애플리케이션 개발부터 배포까지, AWS CodeStarCodeStar + Lambda + SAM으로 테스트 환경 구축하기AWS Lambda + API Gateway로 API 만들어보자목차1. CodeStar 프로젝트 생성2. 템플릿 선택3. 프로젝트 정보 입력4. 프로젝트 생성 및 자동 배포 확인5. CodeCommit 접속6. staging 브랜치 생성7. index.py 수정 및 Commit8. 람다 실행 권한 변경9. 스택 생성 및 템플릿 소스 복사10. 템플릿 소스 붙여넣기 및 S3 버킷 URL 생성11. staging 브랜치용 CloudFormation 스택 생성(1)12. staging 브랜치용 CloudFormation 스택 생성(2)13. 파이프라인 설정14. AWS CodeCommit 연결15. CodeBuild16. CodeDeploy17. staging 브랜치용 파이프라인 생성 및 자동 릴리즈18. 작업 그룹 추가19. 파이프라인 실행 및 배포20. API Gateway 접속 및 엔드포인트 확인21. index.py 배포 확인OverviewAWS는 유용한 서비스를 많이 제공하지만, 이것들을 조합하고 사용하는 건 꽤나 번거롭습니다. CodeStar는 이런 고충을 해결해주고자 등장한 서비스입니다. 버전 관리(CodeCommit)부터 빌드(CodeBuild)와 배포(CodeDeploy), 모니터링(CloudWatch)까지 한 번에 프로젝트를 구성해줍니다.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브랜치(master, staging)마다 자동으로 빌드, 배포되도록 구성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AWS CodeCommit과 AWS Lambda(Python)을 사용했습니다. 물론 다른 스택을 사용해도 괜찮습니다.Practice1.CodeStar 프로젝트를 생성하겠습니다. CodeStar로 접속해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CodeStar를 처음 사용한다면 서비스 역할을 생성하라는 창부터 나옵니다. 역할을 생성하고 진행합니다.2.왼쪽 필터에서 웹 서비스, Python, AWS Lambda를 클릭하고 프로젝트 템플릿을 선택합니다.3.프로젝트 정보를 입력하고 AWS CodeCommit을 선택,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코드편집 도구설정은 건너뜁니다. 나중에 다시 설정할 수 있습니다.4.조금 기다리면 프로젝트가 생성됩니다. 오른쪽 아래의 엔드포인트로 접속하면 자동으로 생성되는 예제 프로젝트가 잘 배포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클릭 몇 번으로 자동 빌드, 배포에 모니터링까지 가능한 프로젝트가 구성되었으니 이제 staging 브랜치를 생성하여 똑같이 구성하겠습니다.5.먼저 브랜치를 생성하겠습니다. CodeCommit에 접속해 왼쪽의 브랜치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master 브랜치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6.브랜치 생성을 클릭해 브랜치 이름은 staging, 다음으로부터의 브랜치는 master를 선택합니다.7.생성된 staging 브랜치를 클릭하면 파일 리스트가 보입니다. master 브랜치와 결과 페이지를 구별하기 위해 index.py 파일을 임의로 수정하겠습니다. index.py > 편집을 클릭해 output 문자열을 수정하고 Commit합니다.8.CodeStar는 CloudFormation 서비스로 인프라 리소스를 관리합니다. CloudFormation은 ‘스택’이라는 개념을 사용해 설정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master 브랜치의 template.yml 파일을 사용해 master 브랜치용 스택이 생성되어 있는 상태입니다.문제는 여기에 기본적으로 람다(lambda) 실행 역할이 구성되어 있는데, 이 역할의 리소스 접근 권한은 master 브랜치 람다로 한정되어 있다는 것입니다.1)이 글에서는 staging용 람다 실행 권한을 별도로 생성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staging 브랜치의 template.yml 파일을 열어 Resources: LambdaExecutionRole: Properties: RoleName을 임의의 값으로 수정합니다. 저는 뒤에 ‘-staging’을 붙였습니다.9.CloudFormation 스택도 따로 생성합니다. AWS CloudFormation에 접속하면 기본적으로 생성된 스택을 볼 수 있습니다. 기존의 스택 템플릿에서 조금만 수정해 스택을 생성하면 되니 템플릿을 복사해오겠습니다.awscodestar-testproject-lambda를 클릭해 오른쪽의 ‘Designer에서 템플릿 보기/편집’을 클릭하면 템플릿 소스를 볼 수 있습니다. 가장 아래의 템플릿 탭이 클릭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그대로 복사합니다.10.다시 CloudFormation으로 돌아와 템플릿 디자인 버튼을 클릭하고 복사한 소스를 붙여 넣습니다. 여기서 마찬가지로 Resources: LambdaExecutionRole: Properties: RoleName을 조금 전의 이름과 같게 수정하고 저장합니다. 템플릿 언어를 YAML로 바꾸고 수정하면 보기 편합니다.Amazon S3 버킷에 저장하면 템플릿 파일이 S3 버킷에 저장되며 S3 버킷 URL이 생성됩니다. 잘 복사해둡니다. 템플릿 디자이너는 이제 닫아도 됩니다11.CloudFormation 창에서 스택 생성을 클릭해 Amazon S3 템플릿 URL에 복사한 URL을 입력합니다. 이후의 내용은 스택 이름만 다르게 하고, 나머지는 기본적으로 생성된 스택 정보와 동일하게 입력합니다. 기존에 생성한 스택 정보는 스택 상세 페이지 오른쪽의 스택 업데이트를 클릭하면 볼 수 있습니다.생성 페이지 마지막의 ‘AWS CloudFormation에서 사용자 지정 이름을 갖는 IAM 리소스를 생성할 수 있음을 승인합니다’를 체크하고 생성을 클릭합니다.12.staging 브랜치용 CloudFormation 스택이 생성되었습니다. 이 스택을 사용해 staging 브랜치용 파이프라인을 생성하겠습니다.13.CodePipeline으로 접속해 파이프라인 생성을 클릭하면 설정창으로 이동하는데, 아래 이미지와 같이 입력합니다.CodeStar프로젝트가 생성되며 IAM 역할과 S3 버킷이 자동 생성되는데, 동일한 역할과 버킷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파이프라인 이름만 임의로 다르게 넣어줍니다.14.AWS CodeCommit을 연결해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자동 생성된 리포지토리를 선택하고 미리 생성한 staging 브랜치를 연결합니다.15.CodeBuild를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파이프라인에서 자동 생성된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16.새 창을 열어 기존에 생성된 파이프라인 상세 페이지로 접속합니다. 편집을 클릭하고 Deploy 스테이지 편집을 클릭, GenerateChangeSet 편집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값이 보입니다. 이 값을 참고해 다음 스텝을 아래와 같이 진행하면 됩니다.앞서 생성했던 staging 브랜치 파이프라인용 스택을 연결하고, 세트 이름을 임의로 다르게 넣습니다. ‘템플릿’과 ‘템플릿 구성 - 선택 사항’ 설정값도 다르니 주의합니다.17.다음으로 진행하면 staging 브랜치용 파이프라인이 생성되어 자동으로 릴리즈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18.여기서 master 파이프라인과 동일하게 Deploy 스테이지의 GenerateChangeSet 아래에 작업 그룹을 하나 추가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master 파이프라인을 참고해 작성힙니다. 작업이름, 새로 생성한 스택, staging용으로 임의 작성했던 세트 이름을 넣습니다.19.저장 후, 변경사항 릴리스를 클릭하면 파이프라인이 실행됩니다. 잠시 기다리면 완료와 함께 배포작업까지 이뤄집니다.20.모든 작업이 끝났습니다! 제대로 구성되었는지 엔드포인트로 접속해 확인해보겠습니다. AWS API Gateway로 접속해 staging 브랜치용 API Gateway를 클릭합니다.21.왼쪽의 스테이지 메뉴를 클릭하면 엔드포인트 URL을 볼 수 있습니다. 이 URL로 접속하면 위에서 편집한 staging 브랜치의 index.py가 배포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master 브랜치의 엔드포인트로도 접속해서 비교해보세요.ConclusionAWS의 서비스들은 강력하고 다양합니다. 그 수가 많아져 이제는 전부 다루기는커녕 나열하기도 어려울 정도입니다. 아마존에서도 이런 고충을 알기 때문에 여러 서비스를 묶어 간편하게 세팅하는 CodeStar를 제공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수가 많은 만큼 각각의 서비스를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히 이용해 오버엔지니어링을 피하는 게 중요하겠습니다.참고1) IAM - 역할 - Permission boundary에서 확인 가능합니다글양정훈 사원 | R&D 개발3팀[email protected]브랜디, 오직 예쁜 옷만
조회수 7416

Kafka 모니터링

Kafka 도입 이후에 점진적으로 모니터링을 개선해나간다. Kafka와 그 제반 환경에 대해 이해한만큼 모니터링을 구성하고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피드백을 받아 다시 학습하고 그렇게 배운 것을 토대로 다시 모니터링을 구성한다. 그 과정을 따라 나가며 Kafka 를 어떻게 모니터링하면 좋을지 알아보자.프로세스 모니터링아무래도 가장 기초적이면서 중요한 지표는 Kafka 프로세스가 잘 살아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다섯 대로 구성한 클러스터라면 상시 Kafka 프로세스가 확인되어야 한다. 만약 Kubernetes의 StatefulSet으로 Kafka 클러스터를 구성한 경우라면 Kafka 프로세스 다섯과 프로세스 모두를 엮는 서비스, 그러니까 로드밸런서 하나를 포함해 총 여섯 개의 프로세스를 확인해야 한다. DataDog(통칭 멍멍이)을 이용해 모니터링하는 경우라면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된다.Monitoring Kafka ClusterKafka는 Zookeeper를 이용하므로 ZooKeeper 역시 동일하게 모니터링하면 된다.DataDog을 이용한 메트릭 모니터링`dd-agent는 Kafka 관련 메트릭을 Broker, Consumer, Producer 세 측면에서 수집한다.Monitoring Kafka with DatadogMonitoring Kafka performance metrics위의 두 문서가 Kafka 모니터링의 상세한 측면을 기술하는데 멍멍이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꼭 한번 읽어볼만하다. 두 문서가 매우 훌륭하므로 이 글에서는 Kubernetes 환경에 초점을 맞춰 주목할 점만 살펴본다.Kubernetes 환경에서 멍멍이 에이전트는 보통 PetSet으로 구성한다. 말인즉 Kubernetes Worker 한 대마다 에이전트를 한 대씩 띄워서 Worker 안에서 작동하는 모든 도커 인스턴스의 메트릭을 수집한다. 일단 에이전트를 설정하고 나면 아래와 같이 Kafka 모니터링이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하면 된다.kube exec -it dd-agent-17vjg -- /opt/datadog-agent/agent/agent.py info kafka ----- - instance #kafka-kafka-0.broker-9999 [OK] collected 46 metrics - instance #kafka-kafka-1.broker-9999 [OK] collected 46 metrics - instance #kafka-kafka-2.broker-9999 [OK] collected 46 metrics - Collected 138 metrics, 0 events & 0 service checks Emitters ======== - http_emitter [OK]Broker의 경우는 설정하기가 비교적 쉽다. Kubernetes에서 Kafka 같은 Stateful cluster는 StatefulSet으로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 호스트 주소가 kafka-0, kafka-1 같이 예측 가능한 이름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kafka.yaml을 미리 작성해두기 쉽다.instances: - host: kafka-0.broker port: 9999 # This is the JMX port on which Kafka exposes its metrics (usually 9999) - host: kafka-1.broker port: 9999Producer와 Consumer 모니터링은 이와는 다르다. 구현하기 나름이지만 Producer 또는 Consumer가 되는 응용프로그램은 Stateless cluster일 때가 많고 그런 경우에는 Kubernetes에서 Deployment로 클러스터를 구성한다. 이때는 StatefulSet인 경우와 달리 호스트 주소가 worker-903266370-q3rcx와 같이 예측하기 힘들게 나오므로 에이전트에 미리 설정을 넣을 수가 없다. 상당히 까다로운 문제이다.Consumer 모니터링Kafka의 설계는 매우 단순하면서도 강력해서 감탄하곤 한다. 하지만 복잡한 문제를 단순하게 풀어냈다고 해서 이를 둘러싼 환경을 제대로 모니터링하는 것도 쉽다는 뜻은 아니다. 특히 Consumer groups이 제대로 제 몫을 하고 있는지 파악하기는 더 어렵다. Consumer group마다 모니터링 체계를 갖추자니 번거롭다. 게다가 그런 번거로움을 극복하더라도 Kafka에 문제가 있는 경우를 탐지하기는 여전히 어렵다. 예를 들어 Consumer에게 가야 할 메시지 중 5%가 실제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하면 이를 Consumer가 알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외에도 Consumer 측 모니터링이 엄청나게 까다로운 문제임은 Burrow: Kafka Consumer Monitoring Reinvented에서 잘 밝혔다.Burrow: Kafka Consumer Monitoring Reinvented에 등장하는 Burrow는 Kafka를 세상에 내놓은 LinkedIn 엔지니어링 팀이 개발한 Kafka 컨슈머 모니터링 도구이다. 커뮤니티에서는 대체로 현존하는 가장 뛰어난 모니터링 도구라고 인정하는 분위기이다. 그러니 다른 도구도 많지만 우선 Burrow로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한다.Burrow로 Consumer 모니터링하기Burrow는 Dockerize가 잘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렵지 않다. LinkedIn이 공식 도커 이미지까지 제공했더라면 더 좋겠으나 GitHub에 Dockerfile과 docker-compose.yml을 올려놓아서 도커를 잘 아는 사람이라면 큰 어려움 없이 바로 설정하고 설치할 수 있다. 컨테이너 환경의 관례대로 주요 설정을 환경변수로 미리 빼놨으면 더 좋았겠지만 …알람 받기Burrow는 문제가 생겼을 때 알람을 발송하는 기능이 있다. 위키에는 이메일 알람과 HTTP 알람(Webhook)을 어떻게 설정하는지 설명한다. 그런데 Burrow 소스코드를 살펴보면 문서화되지 않은 알람 기능도 있으니… 바로! Slack 알람을 제공한다. 아직 공식 문서가 없고 소스코드도 godoc 관례에 맞춰 설명해놓은 부분이 전혀 없기 때문에 소스코드를 읽거나 GitHub 이슈에서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설정해야 한다.[slacknotifier] enable=true url=https://hooks.slack.com/services/xxxx/xxxxxxxxxx group=local,critical-consumer-group group=local,other-consumer-group threshold=0 channel="#general" username=burrower interval=5 timeout=5 keepalive=30멍멍이로 메트릭을 꾸준히 수집하고 이슈가 생겼을 때 알람을 받고자 한다면 packetloop/datadog-agent-burrow를 이용하면 된다.This plugin will push the offsets for all topics (except the offsets_topic) and consumers for every kafka cluster it finds into Datadog as a metric.멍멍이 에이전트에 필요한 파일과 설정을 넣고 나면 아래와 같이 메트릭이 수집된다.kafka.topic.offsets 와 kafka.consumer.offsets 이렇게 두 개의 메트릭만 수집하지만 각 메트릭을 cluster, topic, consumer 세 개의 토픽으로 세분화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꽤 다양한 지표를 멍멍이에서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다.알`람 설정하기앞서 살펴봤지만 프로세스 모니터링 등은 어렵지 않다. 클러스터에서 한대라도 빠지면 바로 알람을 받는다. 끝!하지만 그 외의 지표는 알람의 기준을 설정하기가 힘들다. 예를 들어 Burrow의 kafka.topic.offsets 값이 600이면 정상인가? 그렇다면 700은? 또는 400은? 도무지 감을 잡을 수가 없다. 이럴 때는 멍멍이가 제공하는 Outlier detection기능으로 알람을 걸면 쉽다. 이 기능은 쉽게 말해 평소와 다른 행동을 감지했을 때 알람을 보낸다. 그러므로 정상의 범위를 확실하게 모를 때 아주 유용하다.설정 자체는 DBSCAN 또는 MAD라는 알고리즘이 등장하는 것만 빼곤 여타의 모니터링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매우 쉽다.참고 문헌How to Monitor KafkaCollecting Kafka performance metricsOriginally published at Andromeda Rabbit.#데일리 #데일리호텔 #개발 #개발자 #개발팀 #인사이트 #기술스택 #스택소개 #Kafka
조회수 1388

EOS Smart Contract 배포

Smart Contract 배포를 위한 준비 과정은 이전글 확인 부탁드립니다.저번시간과 연계하여 이번 시간엔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갑 key와 계정 이름등은 본 포스팅에서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배포할 컨트랙트는 eosio.token 으로 eos 개발환경 세팅 시 존재하는 코드를 컴파일하여 실제 사용하는 계정에 setting 하겠습니다. 먼저 컴파일을 위해 ../eos/contracts/eosio.token 으로 이동 하겠습니다.eos/contracts/eosio.token이동 하면 위와 같은 파일들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hpp : cpp 파일에서 사용하는 변수, 상수, 함수를 담는 헤더파일cpp : contract 함수를 구현하는 소스 파일eosiocpp 를 통해 소스코드를 컴파일 해보겠습니다. eosiocpp 는 WASM 및 ABI 컴파일러 로써 블록체인에 업로드 되는 .wasm, .wast, .abi 파일을 생성합니다. 또한 기본 스켈레톤 파일을 제공합니다eosiocppwasm 컴파일wasm 파일은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여 컴파일 만들 수 있습니다.$ eosiocpp -o eosio.token.wast eosio.token.cppeosiocpp 명령어를 사용하여 컴파일 하게 되면 .wast 파일과 .wasm 파일을 생성하게 됩니다. 각 확장자는 다음을 의미합니다.wast : 텍스트 파일로써 읽을 수 있는 webAssembly 파일wasm : 컴퓨터가 실제로 이해할 수 있는 webAssembly 파일abi 파일 생성$ eosiocpp -g eosio.token.abi eosio.token.cppabi 파일은 JSON과 Binary 간에 사용자 작업을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주는 파일입니다. 실제로 이 JSON 파일을 통해 블록체인 위에서 개발자와 사용자간 상호작용 하는데 도와주게 됩니다.위 2과정을 통해 abi 파일 과 wast 파일을 생성하게 됩니다.compile 결과Contract 세팅하기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contract 를 set 해줍니다.$ cleos set contract hexlanthenry ../eos/build/contracts/eosio.token account : contract 를 배포할 계정이름contract-dir : 계정에 set 할 contract 가 저장된 directoryset contract 수행 결과만약 해당 계정이 RAM 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타날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RAM 을 구매합니다.RAM을 보유없이 contract$ cleos system buyram hexlanthenry hexlanthenry "100.0000 EOS"payer : EOS 를 지불할 계정receiver : RAM 을 사용할 계정amount : 지불할 EOS의 양 ( eos 1.1 기준 소수점4개 자리와 symbol을 무조건 넣어주어야 정상 동작 합니다)contract 확인계정에 contract가 잘 배포 되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cleos get code hexlanthenry배포한 contract 가 있을때의 code hash배포한 contract 가 없을때의 code hash또한 abi 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leos get abi hexlanthenryget abi위 과정을 통해 해당 계정에 실제로 contract 가 잘 배포 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다음 시간에는 배포된 contract 를 통하여 토큰을 발행 해보고 token에 대한 balance 체크 및 transfer 하는 과정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또한 abi를 분석하여 struct 와 action 을 어떻게 확인 하는지에 대한 자세한 방법은 다른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헥슬란트 #HEXLANT #블록체인 #개발자 #개발팀 #기술기업 #기술중심
조회수 1826

파이콘 2018 도도 파이터 후기

아이들과 오전에 놀아주고 집안일을 마치고 나서 지하철을 탔다. 파이콘에 가는 길이었다. 5년째 참석하다 보니 이제 모든 세션을 빡빡하게 들어야 한다는 부담이 없다. 그래서 늦었지만 여유로웠다. 가는 길에 습관적으로 본  페이스북 타임라인은 이미 파이콘 이야기로 가득했다. 인증과 세션 자료 그리고 개발자를 뽑고 싶어 하는 회사들의 홍보로. 피드에서 스포카에서 진행하는 도도 파이터 이벤트를 보고 "이건 뭐야?" 싶어서  링크를 눌렀다. 어이쿠 개발자 컨퍼런스에 이게 도대체 뭐야오. 깔끔하게 잘 만들었다. 예제 코드를 살펴보니 설명도 잘 되어 있고 간단하다. 도전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지하철 자리에 앉아 테더링을 연결하고 코딩을 시작했다. (사실 이것이 내가 세션은 듣지 않고 이틀 동안 부스/이벤트 체험만 하게 된 계기가 될 줄은 몰랐다.)대단히 잘 할 생각은 없었다. 세상에 굇수는 많으니까. 참여에 의의를 둬야지 싶었다. 비록 설명에는 “인공지능 코드”를 작성하여 다른 참가자와 겨루는 “인공지능 격투 대전”이라고 되어 있지만 당연해 보이는 규칙만 구현하고 나머지는 랜덤으로 동작하게 해서 제출해 보자 싶었다. 코엑스에 도착한 후  조금만 더 작업해서 제출하려고 하는데 아무리 제출해도 제출이 되지 않고 다음과 같은 메시지만 받았다.  코드가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습니다.아니 랜덤 봇이랑 하면 잘만 이기는데 왜 통과를 못하는 거야! 하던 차에 다시 설명을 읽어 보니  가만히 있는 더미 에이전트를 상대로 이겨야 제출이 이루어집니다.란다. 먼저 가면 손해인지라 가까워지면 더 안 가고 제 자리에서 주먹질만 시켰더니 더미 에이전트를 못 이기나 보다. 그래서 5초 아래로 시간이 남고 지금까지 한 번도 안 싸웠으면 앞으로 가도록 했더니 테스트를 통과하고 제출이 되었다.  제출에 성공하고 기분 좋게 돌아다니면서 다른 부스도 구경하고 있는데 회사 슬랙으로 함께 파이콘에 참여하고 계신 동료 분이 메시지를 보내셨다.봇이 화끈하면 뭐햐나. 이기면 장땡!스포카 부스에서 사람들이 제출한 봇들을 랜덤으로 붙여 주는 모양이었다. 후후. 어찌 되었든 이겼다고 하니 기분이 좋군.첫날 마지막 행사인 라이트닝 토크에서 스포카 도도 파이터 개발자분의 발표가 있었다. 회사에서 파이콘을 준비하면서 한 달 가까이 준비했다고 한다. 그리고 최근 2주도 동안은 도도 파이터만 달렸다는 이야기를 해주셨다. 컨퍼런스 이벤트로 만든 게임의 퀄리티가 좋아서 감탄한 것도 있었지만 팀에서 개발자들에게 그런 여유를 줄 수 있는 것도 부러운 마음이 들었다. 좋은 회사다. 도도 파이터 토너먼트는 다음날 파이콘 정식 행사가 끝나고 열렸다. 기억으로는 80명 정도가 참여했었던 것 같다. 조별 토너먼트를 진행하고 우승자들을 모아서 다시 토너먼트를 하는 구조였다.   싸워라! 싸워라!조금 늦게 왔더니 자리가 없어서 가장 앞자리에 나왔는데, 내 봇의 차례가 될 때마다 github 계정의 내 얼굴이 스크린에 크게 나와서 부끄러웠다. 외국 친구들은 자기 얼굴 github 프로필에 잘 넣어 놓던데, 왜 우리나라 개발자들은 자기 사진을 안 넣는 걸까... 게다가 내 봇이 나오는 경기는 모두 지루하고 얍삽한 느낌이 있어서 왠지 더 부끄러웠다. 니가 올래? 내가 갈까?다행히 조별리그도 통과해서 결승 리그에 올라갔다. 사실 한 두경기만 이기면 좋겠다 했었는데, 결승 리그에 올라가니 왠지 욕심이 생겼다. 제일 그럴싸하게 싸운 경기운 좋게도 아슬아슬하게 16강부터 4경기를 모두 이겨서 우승을 하고 문성원 CTO님께 해피해킹 키보드도 상품으로 받았다. 기분이 좋으면서도 멋쩍기도 한 기분이다. 사실 이번 파이콘에 와서 여러 곳의 부스를 참여하고, 이벤트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본 이유는 내년에 8퍼센트도 파이콘에 스폰서로 참여하고 싶어서 였다. 우리의 (잉여) 개발력도 보여주고, 다른 개발자 분들과도 적극적으로 교류하고 싶은 마음이었다. 그 바람이 꼭 이루어질 수 있게 다음 파이콘 때 까지 좋은 분들을 모시고, 회사의 성장을 만들어 나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내 코드를 공개한다.  https://gist.github.com/leehosung/f784d9efc71dce12855739647dd98877다시 코드를 살펴보니 개선할 점도 여러 개 보인다. 하지만 기존에 제출한 코드를 보기 좋게 정리만 하고 주석만 붙여 보았다. 사실 별 특별한 것이 없는 코드다. 실제 작성하고 테스트하는 것에도 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다음에 이런 기회가 온다면 글을 읽으시는 분들도 가벼운 마음으로 도전해 보셨으면 한다.  성적이 좋으면 더 좋지만 나쁘면 또 어떠한가? 개발자인 우리만 즐길 수 있는 놀이인데.  #8퍼센트 #에잇퍼센트 #파이콘 #파이썬 #Python #Pycon #이벤트참여 #참여후기 #개발자 #개발
조회수 3193

ReactorKit 시작하기

ReactorKit 시작하기오늘은 StyleShare에서 ReactorKit을 사용한지 딱 1년이 되는 날입니다. ReactorKit은 반응형 단방향 앱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StyleShare와 Kakao를 비롯한 여러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술입니다.StyleShare의 iOS 프로젝트 첫 커밋은 2011년 8월 23일입니다. 그 뒤로 약 7년간 크고 작은 기능을 추가하며 굉장히 큰 코드베이스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특히 2015년에는 스토어 기능을 런칭하면서 기존 서비스 만큼이나 많은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서비스 복잡도는 점점 높아졌고, 지속 가능한 코드베이스를 위해 많은 개선이 필요했습니다.ReactorKit은 많은 부분에 있어서 StyleShare가 가진 고민을 해결해주었습니다. Flux와 Reactive Programming의 개념을 결합하여 만들어진 ReactorKit에서는 사용자 인터랙션과 뷰 상태가 관찰 가능한 스트림을 통해 단방향으로 전달됩니다. 뷰와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할 수 있게 되면서 모듈간 결합도가 낮아지고 테스트하기 쉬워졌습니다. 또한, 자칫 복잡해질 수 있는 비동기 코드를 일관되게 작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이 글에서는 ReactorKit의 기본 개념과 테스트를 위한 기법을 소개 합니다.데이터 흐름ReactorKit에는 뷰(View)와 리액터(Reactor)라는 개념이 존재합니다. 뷰는 상태를 표현합니다. 뷰 컨트롤러나 셀도 모두 뷰에 해당합니다. 뷰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추상화하여 리액터에 전달하고, 리액터에서 전달받은 상태를 각각의 뷰 컴포넌트에 바인드합니다. 뷰는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지 않습니다.반대로, 리액터는 뷰의 상태를 관리합니다. 뷰에서 액션을 전달받으면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한 뒤 상태를 변경하여 다시 뷰에 전달합니다. 리액터는 UI 레이어에서 독립적이기 때문에 비교적 테스트하기 쉽습니다.ViewView 프로토콜을 적용하면 뷰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DisposeBag 속성과 bind(reactor:) 메서드를 필수로 정의해야 합니다.import ReactorKit import RxSwift class UserViewController: UIViewController, View { var disposeBag = DisposeBag() func bind(reactor: UserViewReactor) { } }<iframe width="700" height="250" data-src="/media/78a16e327ba4eb073cc5bdbb703c81f9?postId=c7b52fbb131a" data-media-id="78a16e327ba4eb073cc5bdbb703c81f9" data-thumbnail="https://i.embed.ly/1/image?url=https://avatars2.githubusercontent.com/u/931655?s=400&v=4&key=a19fcc184b9711e1b4764040d3dc5c07" class="progressiveMedia-iframe js-progressiveMedia-iframe" allowfullscreen="" frameborder="0" src="https://medium.com/media/78a16e327ba4eb073cc5bdbb703c81f9?postId=c7b52fbb131a" style="display: block; position: absolute; margin: auto; max-width: 100%; box-sizing: border-box; transform: translateZ(0px); top: 0px; left: 0px; width: 700px; height: 236.984px;">이 프로토콜을 정의하면 reactor 속성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이 속성에 새로운 값이 지정되면 bind(reactor:) 메서드가 자동으로 호출됩니다. 이곳에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리액터에 바인드하거나, 리액터의 상태를 각각의 뷰 컴포넌트에 바인드하는 코드를 작성합니다.func bind(reactor: UserViewReactor) { // Action self.followButton.rx.tap .map { Reactor.Action.follow } .bind(to: reactor.action) .disposed(by: self.disposeBag) // State reactor.state.map { $0.isFollowing } .distinctUntilChanged() .bind(to: self.followButton.rx.isSelected) .disposed(by: self.disposeBag) }<iframe width="700" height="250" data-src="/media/6a6d5aa66b156cae7d4475f6ed13efb0?postId=c7b52fbb131a" data-media-id="6a6d5aa66b156cae7d4475f6ed13efb0" data-thumbnail="https://i.embed.ly/1/image?url=https://avatars2.githubusercontent.com/u/931655?s=400&v=4&key=a19fcc184b9711e1b4764040d3dc5c07" class="progressiveMedia-iframe js-progressiveMedia-iframe" allowfullscreen="" frameborder="0" src="https://medium.com/media/6a6d5aa66b156cae7d4475f6ed13efb0?postId=c7b52fbb131a" style="display: block; position: absolute; margin: auto; max-width: 100%; box-sizing: border-box; transform: translateZ(0px); top: 0px; left: 0px; width: 700px; height: 325px;">Reactor리액터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Reactor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사용자 인터랙션을 표현하는 Action과 뷰의 상태를 표현하는 State, 그리고 상태를 변경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Mutation을 클래스 내부에 필수로 정의해야 합니다. 또한 가장 첫 상태를 나타내는 initialState가 필요합니다.import ReactorKit import RxSwift final class UserViewReactor: Reactor { enum Action { case follow } enum Mutation { case setFollowing(Bool) } enum State { var isFollowing: Bool } let initialState: State = State(isFollowing: false) }<iframe width="700" height="250" data-src="/media/572f53fb442c67060d2a69f90a42a07b?postId=c7b52fbb131a" data-media-id="572f53fb442c67060d2a69f90a42a07b" data-thumbnail="https://i.embed.ly/1/image?url=https://avatars2.githubusercontent.com/u/931655?s=400&v=4&key=a19fcc184b9711e1b4764040d3dc5c07" class="progressiveMedia-iframe js-progressiveMedia-iframe" allowfullscreen="" frameborder="0" src="https://medium.com/media/572f53fb442c67060d2a69f90a42a07b?postId=c7b52fbb131a" style="display: block; position: absolute; margin: auto; max-width: 100%; box-sizing: border-box; transform: translateZ(0px); top: 0px; left: 0px; width: 700px; height: 435px;">Action이나 State와 달리 Mutation은 리액터 클래스 밖으로 노출되지 않습니다. 대신, 클래스 내부에서 Action과 State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Action이 리액터에 전달되면 두 단계를 거쳐서 뷰의 상태를 변경합니다.mutate() 함수에서는 Action 스트림을 Mutation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곳에서 네트워킹이나 비동기로직 등의 사이드 이펙트를 처리합니다. 그 결과로 Mutation을 방출하면 그 값이 reduce() 함수로 전달됩니다. reduce() 함수는 이전 상태와 Mutation을 받아서 다음 상태를 반환합니다.func mutate(action: Action) -> Observable { switch action { case .follow: return UserService.follow() .map { Mutation.setFollowing(true) } .catchErrorJustReturn(Mutation.setFollowing(false)) case .unfollow: return UserService.unfollow() .map { Mutation.setFollowing(false) } .catchErrorJustReturn(Mutation.setFollowing(true)) } } func reduce(state: State, mutation: Mutation) -> State { var newState = state switch mutation { case let setFollowing(isFollowing): newState.isFollowing = isFollowing } return newState }<iframe width="700" height="250" data-src="/media/dc8fbdce8314a7eba99be944241c5432?postId=c7b52fbb131a" data-media-id="dc8fbdce8314a7eba99be944241c5432" data-thumbnail="https://i.embed.ly/1/image?url=https://avatars2.githubusercontent.com/u/931655?s=400&v=4&key=a19fcc184b9711e1b4764040d3dc5c07" class="progressiveMedia-iframe js-progressiveMedia-iframe" allowfullscreen="" frameborder="0" src="https://medium.com/media/dc8fbdce8314a7eba99be944241c5432?postId=c7b52fbb131a" style="display: block; position: absolute; margin: auto; max-width: 100%; box-sizing: border-box; transform: translateZ(0px); top: 0px; left: 0px; width: 700px; height: 522.984px;">테스팅테스트를 위해 가장 먼저 고민하게 되는 것은 ‘무엇을 테스트할 것인가’에 대한 것입니다. ReactorKit을 사용하면 뷰와 로직이 분리되어 상대적으로 쉽게 해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View사용자 인터랙션이 발생했을 때 Action이 리액터로 잘 전달되는지리액터의 상태가 바뀌었을 때 뷰의 컴포넌트 속성이 잘 변경되는지ReactorAction을 받았을 때 원하는 State로 잘 변경되는지뷰 테스팅리액터의 stub 기능을 이용하면 뷰를 쉽게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stub 기능을 활성화하면 리액터가 받은 Action을 모두 기록하고, mutate()와 reduce()를 실행하는 대신 외부에서 상태를 설정할 수 있게 됩니다.func testAction_refresh() { // 1. Stub 리액터를 준비합니다. let reactor = MyReactor() reactor.stub.isEnabled = true // 2. Stub된 리액터를 주입한 뷰를 준비합니다. let view = MyView() view.reactor = reactor // 3.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시킵니다. view.refreshControl.sendActions(for: .valueChanged) // 4. Reactor에 액션이 잘 전달되었는지를 검증합니다. XCTAssertEqual(reactor.stub.actions.last, .refresh) } func testState_isLoading() { // 1. Stub 리액터를 준비합니다. let reactor = MyReactor() reactor.stub.isEnabled = true // 2. Stub된 리액터를 주입한 뷰를 준비합니다. let view = MyView() view.reactor = reactor // 3. 리액터의 상태를 임의로 설정합니다. reactor.stub.state.value = MyReactor.State(isLoading: true) // 4. 그 때 뷰 컴포넌트의 속성이 잘 변하는지를 검증합니다. XCTAssertEqual(view.activityIndicator.isAnimating, true) }<iframe width="700" height="250" data-src="/media/9e5e0349766c69076a5081cbd680645b?postId=c7b52fbb131a" data-media-id="9e5e0349766c69076a5081cbd680645b" data-thumbnail="https://i.embed.ly/1/image?url=https://avatars2.githubusercontent.com/u/931655?s=400&v=4&key=a19fcc184b9711e1b4764040d3dc5c07" class="progressiveMedia-iframe js-progressiveMedia-iframe" allowfullscreen="" frameborder="0" src="https://medium.com/media/9e5e0349766c69076a5081cbd680645b?postId=c7b52fbb131a" style="display: block; position: absolute; margin: auto; max-width: 100%; box-sizing: border-box; transform: translateZ(0px); top: 0px; left: 0px; width: 700px; height: 721px;">리액터 테스팅리액터는 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테스트하기 쉽습니다. Action이 전달되었을 때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여 State가 바뀌는지를 확인하면 됩니다.func testBookmark() { // 1. 리액터를 준비합니다. let reactor = MyReactor() // 2. 리액터에 액션을 전달합니다. reactor.action.onNext(.toggleBookmarked) // 3. 리액터의 상태가 변경되는지를 검증합니다. XCTAssertEqual(reactor.currentState.isBookmarked, true) } func testUnbookmark() { // 1. 리액터를 준비합니다. 액션을 미리 한 번 전달해서 테스트 환경을 만들어둡니다. let reactor = MyReactor() reactor.action.onNext(.toggleBookmarked) // 2. 리액터에 액션을 한 번 더 전달합니다. reactor.action.onNext(.toggleBookmarked) // 3. 리액터의 상태가 변경되는지를 검증합니다. XCTAssertEqual(reactor.currentState.isBookmarked, false) }<iframe width="700" height="250" data-src="/media/32af3eac8c1c9646bf95ea1442ad8ff4?postId=c7b52fbb131a" data-media-id="32af3eac8c1c9646bf95ea1442ad8ff4" data-thumbnail="https://i.embed.ly/1/image?url=https://avatars2.githubusercontent.com/u/931655?s=400&v=4&key=a19fcc184b9711e1b4764040d3dc5c07" class="progressiveMedia-iframe js-progressiveMedia-iframe" allowfullscreen="" frameborder="0" src="https://medium.com/media/32af3eac8c1c9646bf95ea1442ad8ff4?postId=c7b52fbb131a" style="display: block; position: absolute; margin: auto; max-width: 100%; box-sizing: border-box; transform: translateZ(0px); top: 0px; left: 0px; width: 700px; height: 522.984px;">마치며ReactorKit은 지금까지 CocoaPods에서 약 3만 7천회 다운로드 되었고, 약 730개 앱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Wantedly에서 사용하며 일본에서도 많은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공개된지 1년밖에 되지 않았지만 굉장히 좋은 평을 받으며 성장하고 있는 프레임워크입니다. 만약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거나, StyleShare와 비슷한 고민을 하고 계신다면 ReactorKit을 강력하게 추천합니다.ReactorKit GitHublet’Swift 2017 ReactorKit 발표 영상let’Swift 2017 ReactorKit 발표 자료#스타일쉐어 #개발팀 #개발자 #경험공유 #인사이트
조회수 1391

[어반베이스 피플] 홈디자이닝 AR앱 'Urbanbase AR' 개발자 인터뷰

어반베이스 AR을 사용하여 원하는 가구 및 가전제품을 미리 배치해볼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죠? 최근 가구, 가전, 화장품, 의류 등 다양한 업계에서 AR을 활용해 고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들은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AR을 활용한 쇼핑 플랫폼들이 점차 대중화 될 것이고, AR 쇼핑 플랫폼을 설계하는 전문가에 대한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서울산업진흥원은 미래 경쟁력 있는 신직업 40개를 선정했는데, 선정한 미래직업 중 'AR 쇼핑 플랫폼 설계자'가 포함되었고, '어반베이스 AR'의 담당 개발자 우석님이 인터뷰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홈디자이닝 AR앱 'Urbanbase AR'의 개발자Q. 일하면서 보람을 느끼는 순간은 언제인가요? 사람들은 작은 물건 하나를 구입할 때도 성능과 디자인 등을 꼼꼼히 살핍니다. 몇 번이나 구매를 망설이기도 하고요. 살아가는 집, 그 공간을 꾸미는 데는 얼 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까요? 가구와 인테리어 소품을 일일이 쇼핑하지 않고도 스마트폰 안에서 내가 원하는 상품들로 내 방을 미리 꾸며볼 수 있는 셀프인테리어 앱을 설계하는 것이 저의 일입니다. VR, AR 기술을 통해 가 구 배치, 벽지 교체, 인테리어 등을 미리 경험해보고 구매할 수 있기에, 시간과 비용은 줄어들고 만족도는 올라가게 됩니다. 제가 만든 가상의 공간이 누군가에게 편안하고 안락한 삶을 선사해주는 것을 볼 때 제 일에 보람을 느낍니다.Q. AR 쇼핑 플랫폼 설계자가 신직업으로서 가지는 경쟁력은 무엇일까요?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기업에서 무수히 많은 제품이 개발, 생산되고 있습 니다. 제품 정보나 장점을 소비자에게 보다 정확하게 전달해 반품율을 줄이 고 판매율을 높이는 것은 모든 기업이 바라는 점이죠. 그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이 AR 쇼핑인 만큼 AR 쇼핑 플랫폼 설계자에 대한 니즈는 빠르게 증가할 것입니다. AR은 커머스뿐 아니라 건설, 교통, 의료, 부동산, 인테리어 등 현대 산업 전체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죠. 이는 AR 쇼핑 플랫폼 설계자로 쌓은 경험과 경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 진출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Q. AR 쇼핑 플랫폼 설계자에게 가장 필요한 자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AR 쇼핑 플랫폼 설계자는 크게 본다면 프로그래머 직군에 속합니다. 그렇기에 컴퓨터공학에 대한 소양이나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등을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AR 플랫폼은 주로 모바일 환경에서 제공되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혹은 iOS 플랫폼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여기에 3D 그래픽에 대한 개념을 알고 있으면 업무를 수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AR 쇼핑 플랫폼 설계자는 많은 가능성을 가진 유망 직종이지만, 이제 막 출 발한 분야이기에 상대적으로 참고할 수 있는 레퍼런스가 많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가 만들어 놓은 길을 따라가기보다는 치열하게 연구하고 도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Q. AR 쇼핑 플랫폼 설계자를 꿈꾸는 이들에게 조언 한마디 부탁드립니다.AR 기술을 습득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본 지식들이 뒷받침돼야 합니다. AR 기술을 온라인에 접목하려면 쇼핑 플랫폼은 물론 관련 상품에 대한 지식도 필수적이고요. 이러한 지식들은 하루아침에 습득할 수 없는 것들입니다. 그렇기에 너무 조급해하지 말고 하나씩 내 것으로 만드는 자세 가 중요합니다.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가상의 세계’를 만들어내는 일은 분명 신나는 일입니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개척자 마인드를 가진 사람이라면 충분히 즐기면서 일할 수 있으니, 꼭 도전해보세요.사진 출처 및 인터뷰 전문https://blog.naver.com/urbanbaseinc 
조회수 5885

유용한 Javascript UI Component 라이브러리 소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기능적으로는 무관하지만, 사용자에게 인터렉티브하고 심미적으로 예쁜 디자인을 제공하고 싶은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막상 직접 구현을 하는 것은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고, 구현하더라도 양질의 UI가 나오지 않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쉽고 빠르게 양질의 UI를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Spin.js작업을 완료하거나 페이지가 넘어갈 때 아무런 말도 없이 그냥 기다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사용자에게 현재 기다리는 중이라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Spin.js입니다.Spin.js는 위의 그림과 같이 로딩 중이나 무언가를 진행 중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사용하기 쉬운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이미지 없이 사용되어 매우 가볍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용할 때 쉽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대다수 브라우저를 지원합니다.Spin.js / DownloadDatatables많은 양의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테이블로 정리해야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할 때 쉽게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어야 하고 정보가 쉽게 정렬이 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Datatables입니다.Datatables는 위의 그림과 같이 테이블을 동적인 테이블을 만들어주는 JQuery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다양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테이블을 만들수 있으며, 따로 정보를 찾아주는 기능을 만들어주지 않아도 검색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정보를 편하게 볼 수 있도록 구성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DOM, Ajax, Server-Side Processing으로 쉽게 정보를 Datatables로 만들 수 있습니다.DatatablesCurtain.js긴 내용으로 된 하나의 페이지를 섹션별로 효과적으로 내용을 전환해야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으면서 전환 효과를 만들어 내야 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Curtain.js입니다.Curtain.js는 위의 그림과 같이 마치 커튼이 걷히는 것처럼 내용 전환 효과를 주는 JQuery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각 내용을 화면에 고정하고 스크롤이나 키보드를 통해 화면을 전환하여 트렌디하면서 인터렉티브한 느낌을 쉽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Curtain.js / DownloadTurn.js위의 Curtain.js가 세로형태의 전환 효과를 내는 것이었다면 가로형태의 전환 효과를 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Turn.js입니다.Turn.js는 위의 그림과 같이 책장을 넘기는 듯한 내용 전환 효과를 주는 JQuery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하나에 페이지를 섹션별로 나눠서 키보드를 통해 화면을 전환하여 책장을 넘기는 느낌을 제공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 책을 읽는 듯한 느낌을 쉽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Turn.js / DownloadGlfx.js이미지를 따로 수정해서 올리는 것이 아니라 웹에서 바로 밝기를 조정하거나 다양한 효과를 주고 싶은 때도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Glfx.js입니다.Glfx.js는 위의 그림과 같이 다양한 효과를 주는 WebGL기반의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이미지에 Blur 효과, 세피아, 밝기 조절, 모자이크처리 등 다양한 효과를 다양한 설정을 통해 쉽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WebGL 기반으로 되어 있어서 WebGL을 지원하는 브라우저만 가능합니다.Glfx.js / DownloadJQuery Tag-it태그를 넣을 때 쉽게 수정 가능하게 하고 자동완성기능을 넣고 싶은 때도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JQuery Tag-it입니다.JQuery Tag-it은 위의 그림과 같이 태그에 대한 JQuery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쉽게 태그를 넣고 지울 수 있으며 태그에 대해 자동완성 기능을 지원합니다. 그리고 각 태그에 대해 이벤트를 줄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JQuery Tag-it / DownloadTinycon새 글의 개수나 접속자 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싶은 때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브라우저 탭에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Tinycon입니다.Tinycon는 위의 그림과 같이 파비콘에 동적인 숫자를 통해 정보를 알리는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매우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설정을 통해 어떤 내용을 숫자로 표현할 것인지를 쉽게 사용자화 할 수 있습니다. 파비콘에 경우 브라우저 탭에 항상 보이기 때문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현재 크롬, 파이어폭스, 오페라 브라우저만이 지원 가능합니다.Tinycon / Download3D GALLERY사진이나 슬라이드 탭을 보여주기 위해 갤러리 공간을 만듭니다. 그래서 좀 더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다양한 효과를 넣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3D GALLERY입니다.3D GALLERY는 위의 그림과 같이 내용을 3D로 나열해 보여주는 JQuery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간단한 설정으로 3D로 배치하고 움직이도록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동으로 내용을 넘어가게 할 수도 있고 다양하게 바뀌는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3D GALLERY / Demo글을 마치면서이번 글에서는 UI Component Javascript 라이브러리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위의 라이브러리로 좀 더 쉽고 빠르게 양질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스포카 #개발자 #디자이너 #협업 #Javascript #라이브러리 #꿀팁 #유용한정보
조회수 1160

레진 기술 블로그 - AWS Auto Scalinging Group 을 이용한 배포

레진코믹스의 서버 시스템은 잘 알려진대로 Google AppEngine에서 서비스되고 있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인해 최근에는 일부 컴포넌트가 Amazon Web Service에서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AWS 에 새로운 시스템을 셋업하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PaaS인 GAE에서는 전혀 고민할 필요 없었던, 배포시스템에 대한 고민이 필요했습니다. 좋은 배포전략과 시스템은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죠.초기에는 Beanstalk을 이용한 운영에서, Fabric 을 이용한 배포 등의 시행착오 과정을 거쳤으나, 현재는 (스케일링을 위해 어차피 사용할 수밖에 없는) Auto Scaling Group을 이용해서 Blue-green deployment로 운영 중입니다. ASG는 여러 특징 덕분에 배포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ASG를 이용한 가장 간단한 배포는, Instance termination policy 를 응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ASG가 어떤 인스턴스를 종료할지는 AWS Documentation 에 정리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OldestInstanceNewestInstanceOldestLaunchConfigurationClosestToNextInstanceHour여기서 주목할 건 OldestInstance 입니다. ASG가 항상 최신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스케일아웃되게 구성되어 있다면, 단순히 인스턴스의 수를 두배로 늘린 뒤 Termination policy 를 OldestInstance 로 바꾸고 원래대로 돌리면 구버전 인스턴스들부터 종료되면서 배포가 끝납니다. 그러나 이 경우, 배포 직후 모니터링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기존의 인스턴스들이 이미 종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롤백을 위해서는 (인스턴스를 다시 생성하면서) 배포를 다시 한번 해야 하는 반큼 빠른 롤백이 어렵습니다.Auto scaling lifecycle 을 이용하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방법도 있습니다. Lifecycle 은 다음과 같은 상태 변화를 가집니다.기본적으로,ASG의 인스턴스는 InService 상태로 진입하면서 (설정이 되어 있다면) ELB에 추가됩니다.ASG의 인스턴스는 InService 상태에서 빠져나오면서 (설정이 되어 있다면) ELB에서 제거됩니다.이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로 배포를 할 수 있습니다.똑같은 ASG 두 개를 구성(Group B / Group G)하고, 그 중 하나의 그룹으로만 서비스를 운영합니다.Group B가 라이브 중이면 Group G의 인스턴스는 0개입니다.새로운 버전을 배포한다면, Group G의 인스턴스 숫자를 Group B와 동일하게 맞춰줍니다.Group G가 InService로 들어가고 ELB healthy 상태가 되면, Group B의 인스턴스를 전부 Standby로 전환합니다.롤백이 필요하면 Standby 상태인 Group B를 InService 로 전환하고 Group G의 인스턴스를 종료하거나 Standby로 전환합니다.문제가 없다면 Standby 상태인 Group B의 인스턴스를 종료합니다.이제 훨씬 빠르고 안전하게 배포 및 롤백이 가능합니다. 물론 실제로는 생각보다 손이 많이 가는 관계로(특히 PaaS인 GAE에 비하면), 이를 한번에 해주는 스크립트를 작성해서 사용중입니다. 대략 간략하게는 다음과 같습니다. 실제 사용중인 스크립트에는 dry run 등의 잡다한 기능이 많이 들어가 있어서 걷어낸 pseudo code 입니다. 스크립트는 사내 PyPI 저장소를 통해 공유해서 사용 중입니다.def deploy(prefix, image_name, image_version): '''Deploy specified Docker image name and version into Auto Scaling Group''' asg_names = get_asg_names_from_tag(prefix, 'docker:image:name', image_name) groups = get_auto_scaling_groups(asg_names) # Find deployment target set future_set = set(map(lambda g: g['AutoScalingGroupName'].split('-')[-1], filter(lambda g: not g['DesiredCapacity'], groups))) if len(future_set) != 1: raise ValueError('Cannot specify target auto scaling group') future_set = next(iter(future_set)) if future_set == 'green': current_set = 'blue' elif future_set == 'blue': current_set = 'green' else: raise ValueError('Set name shoud be green or blue') # Deploy to future group future_groups = filter(lambda g: g['AutoScalingGroupName'].endswith(future_set), groups) for group in future_groups: asg_client.create_or_update_tags(Tags=[ { 'ResourceId': group['AutoScalingGroupName'], 'ResourceType': 'auto-scaling-group', 'PropagateAtLaunch': True, 'Key': 'docker:image:version', 'Value': image_version, } ]) # Set capacity, scaling policy, scheduled actions same as current group set_desired_capacity_from(current_set, group) move_scheduled_actions_from(current_set, group) move_scaling_policies(current_set, group) # Await ELB healthy of instances in group await_elb_healthy(future_groups) # Entering standby for current group for group in filter(lambda g: g['AutoScalingGroupName'].endswith(current_set), groups): asg_client.enter_standby( AutoScalingGroupName=group['AutoScalingGroupName'], InstanceIds=list(map(lambda i: i['InstanceId'], group['Instances'])), ShouldDecrementDesiredCapacity=True ) def rollback(prefix, image_name, image_version): '''Rollback standby Auto Scaling Group to service''' asg_names = get_asg_names_from_tag(prefix, 'docker:image:name', image_name) groups = get_auto_scaling_groups(asg_names) def filter_group_by_instance_state(groups, state): return filter( lambda g: len(filter(lambda i: i['LifecycleState'] == state, g['Instances'])) == g['DesiredCapacity'] and g['DesiredCapacity'], groups ) standby_groups = filter_group_by_instance_state(groups, 'Standby') inservice_groups = filter_group_by_instance_state(groups, 'InService') # Entering in-service for standby group for group in standby_groups: asg_client.exit_standby( AutoScalingGroupName=group['AutoScalingGroupName'], InstanceIds=list(map(lambda i: i['InstanceId'], group['Instances'])) ) # Await ELB healthy of instances in standby group await_elb_healthy(standby_groups) # Terminate instances to rollback for group in inservice_groups: asg_client.set_desired_capacity(AutoScalingGroupName=group['AutoScalingGroupName'], DesiredCapacity=0) current_set = group['AutoScalingGroupName'].split('-')[-1] move_scheduled_actions_from(current_set, group) move_scaling_policies(current_set, group) 몇 가지 더…Standby 로 돌리는 것 이외에 Detached 상태로 바꾸는 것도 방법입니다만, 인스턴스가 ASG에서 제거될 경우, 자신이 소속된 ASG를 알려주는 값인 aws:autoscaling:groupName 태그가 제거되므로 인스턴스나 ASG가 많아질 경우 번거롭습니다.cloud-init 를 어느 정도 최적화해두고 ELB healthcheck 를 좀 더 민감하게 설정하면, ELB 에 투입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긴 하므로, 단일 ASG로 배포를 하더라도 롤백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저희는 scaleout 시작부터 ELB에서 healthy 로 찍힐 때까지 70초 가량 걸리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래의 이유 때문에 현재의 방식으로 운영중입니다.같은 방식으로 단일 ASG로 배포를 할 수도 있지만, 배포중에 혹은 롤백 중에 scaleout이 돌면서 구버전 혹은 롤백 버전의 인스턴스가 투입되어버리면 매우 귀찮아집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Blue-green 방식의) ASG 두 개를 운영하는게 안전합니다.같은 이유로, 배포 대상의 버전을 S3나 github 등에 기록하는 대신 ASG의 태그에 버전을 써 두고 cloud-init 의 user-data에서 그 버전으로 어플리케이션을 띄우게 구성해 두었습니다. 이 경우 인스턴스의 태그만 확인해도 현재 어떤 버전이 서비스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다만 ASG의 태그에 Tag on instance 를 체크해 두더라도, cloud-init 안에서 이를 조회하는 경우는 주의해야 합니다. ASG의 태그가 인스턴스로 복사되는 시점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스크립트 실행 중에 인스턴스에는 ASG의 태그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습니다.굳이 인스턴스의 Lifecycle 을 Standby / InService 로 전환하지 않고도 ELB 를 두 개 운영하고 route 53 에서의 CNAME/ALIAS swap 도 방법이지만, DNS TTL은 아무리 짧아도 60초는 걸리고, JVM처럼 골치아픈 동작 사례도 있는만큼 선택하지 않았습니다.물론 이 방법이 최선은 절대 아니며(심지어 배포할때마다 돈이 들어갑니다!), 현재는 자원의 활용 등 다른 측면에서의 고민 때문에 새로운 구성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건 언젠가 나중에 다시 공유하겠습니다. :)
조회수 2944

iOS 아키텍처 패턴(MVC, MVVM, VIPER)

Overview“글 한 번 써보실래요?” 입사하고 일주일이 지나 기술 블로그에 글을 써 보라는 제안을 받았습니다. 여러 고민 끝에, 아이폰 앱(이하 ‘iOS’) 주니어 개발자로서 프로젝트 경험과,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글을 쓰기로 했습니다. 적절한 짤이라고 생각하는 중iOS 개발자 사전 준비iOS 개발자의 길에 들어섰다면 이미 앱 개발과 개발 언어에 대해서는 알고 있을 겁니다. 개발 프로그램 Xcode와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macOS 환경, 개발 언어 Swift 또는 Objective-C, iOS 앱 프로그래밍 등 iOS 앱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까지도요. 우선 ‘iOS 주니어 개발자라면 꼭 알고 있어야 할 것’들을 아래 목록과 같이 정리했습니다. 글을 읽기 전, 목록 중에서 공부가 더 필요한 것이 있다면 꼭! 검색해보세요. Xcode, macOSApple Developer ProgramSwift or Objective-CCocoa TouchUIKitAuto Layout…iOS Architecture Patterns(아키텍처 패턴)“Viper 패턴 들어보셨어요?” Viper는 단순히 ‘독사’를 의미하는 줄 알았는데, MVC 패턴와 같이 디자인 패턴의 한 종류라는 건 입사하고 나서 알게 됐습니다. MVC와 SingleTon(싱글톤) 패턴은 익숙했지만 Viper 패턴은 생소했습니다. Viper 패턴을 3일 안에 분석하겠다는 저의 부끄러운 과거를 반성합니다... ㅜㅜ검색해보니 다양한 디자인 패턴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iOS 개발자는 앱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또는 이미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개발을 시작한다면 우선 어떤 패턴으로 설계되어 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오늘은 iOS 개발에 주로 사용되는 패턴인 MVC, MVVM, VIPER를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MVCMVC 패턴Model(모델), View(뷰), Controller(컨트롤러). Model에서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들을 관리하고, View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현 및 관리합니다. Controller는 View와 Model의 다리 역할을 해 View의 입력을 Model이 반영하고, Model의 변화를 View에 갱신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애플의 MVC 패턴은 기존 MVC 패턴과 다릅니다. View와 Controller가 강하게 연결되어 있어 View Controller가 거의 모든 일을 합니다.1) 애플 MVC 패턴MVVMMVVM 패턴Model(모델), View(뷰), ViewModel(뷰모델). Controller를 빼고 ViewModel을 추가한 패턴입니다. 여기서 View Controller가 View가 되고, ViewModel이 중간 역할을 합니다. View와 ViewModel 사이에 Binding(바인딩-연결고리)가 있습니다. ViewModel은 Model에 변화를 주고, ViewModel을 업데이트하는데 이 바인딩으로 인해 View도 업데이트됩니다. ViewModel은 View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기 때문에 테스트가 쉽고 바인딩으로 인해 코드 양이 많이 줄어듭니다.import Foundation // ViewModel var gameScore: Int? var gameScoreLabel: UILabel func updateGameScoreLabel() {   var text = ""   if let gameScore = gameScore, gameScore == 100 {       text = "Excellent!!"   } else if let gameScore = gameScore, gameScore >= 90 && gameScore < 100>       text = "Great Job!"   } else if let gameScore = gameScore, gameScore < 90>       text = "Not Bad~"   }   gameScoreLabel.text = text } // View Controller gameScoreLabel.text = viewModel.updateGameScoreLabel간단한 예를 들면, 게임 점수에 따라서 textView에 보여줄 내용을 담당하는 함수 등, View에서 변화가 일어나는 함수들이 View Controller에 정의되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을 겁니다. 이런 함수들이 점점 많아지면 View Controller가 Massive, 많은 코드를 담게 됩니다. 그래서 이런 함수들을 ViewModel에 옮기고, 값들을 미리 세팅한 다음에 view controller에서 viewModel을 선언하고 viewModel의 함수를 불러오는 식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매우 간단한 예제이기 때문에 대략 viewModel과 view controller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 패턴은 주로 Reactive programming(ReactiveCocoa, RxSwift 등)을 할 때 많이 사용하는 패턴이어서 다음에 설명하겠습니다.VIPERVIPER 패턴View(뷰), Interactor(인터렉터), Presenter(프리젠터), Entities(엔티티), Router(라우터). MV(X) 패턴과 다른 패턴으로 MVC 패턴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패턴입니다. 먼저 Entity는 그저 모델 객체입니다. 단순하게 어떤 모델의 속성들만 있는, Dumb Model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이 모델 객체를 조작하는 것이 바로 Interactor입니다. 어떤 행동(behavior or use case)에 따라서 모델 객체를 조작하는 로직이 담겨 있습니다. 작업이 완료되어도 View에 아무런 영향 없이 오로지 데이터 작업만 합니다.Presenter는 데이터를 Interactor에서 가져오고, 언제 View에 보여줄지 결정합니다. View에 보여주기 전 내용을 준비하는 로직을 담당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View는 Presenter에서 어떻게 보여줘야 할지 요청대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으면 다시 Presenter로 넘깁니다. Presenter는 View/ViewController, Interactor, Router와 상호작용합니다. Interactor로부터 조작된 데이터를 가져오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데이터들을 준비한 다음 View/ViewController에 보냅니다.Router 또는 Wireframe은 화면 전환(navigation information)을 담당합니다. Presenter가 “언제” 화면을 전환해야 하는지 안다면, Router는 화면 전환을 “어떻게” 하는지 알고 있습니다. Router는 화면 전환 애니메이션을 구현하고, View Controller를 생성하여 Presenter와 연결합니다.항목내용ViewPresenter의 요청대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을 Presenter로 보내는 작업을 합니다.InteractorUse case에 따라서 Entity 모델 객체를 조작하는 로직을 담고 있습니다.PresenterInteractor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고, View로 보내기 위해 데이터를 준비하여 “언제” View에 보여줄지를 결정합니다.Entity모델 객체. Dumb Model.Router(Wireframe)화면 전환(navigation information)을 담당하며, Presenter가 “언제” 화면 전환해야하는지를 안다면, Wireframe은 화면 전환을 “어떻게” 하는지를 알고 있습니다.하...지금까지 설명한 내용들은 막상 프로젝트 만들어 소스를 작성하려고 하면 막막해집니다. 역할이 잘 분할되어 있기에 앱의 기능을 하나 정하여 interactor, entity, presenter, view, router 만들고, 또 앱의 기능에 따라서 다시 interactor, entity,…. 고민을 많이 해야 해서 다시 MVC 패턴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이 생깁니다.크게 보면 Add Module와 List Module, 그리고 공통적인 모델(데이터)을 잘 분리한 앱 구조Conclusion도대체 우리는 왜 다양한 앱 디자인 패턴을 알아야 할까요? 그 이유는 바로 앱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설계를 가지고 작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간단한 앱 프로젝트는 쉽게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 MVC 패턴이 더 적합합니다. 반대로 MVVM 패턴이나 VIPER 패턴을 적용하면 점점 커지는 앱 프로젝트에 잘 대응할 수 있습니다. 또는 어떤 디자인 패턴이 적용된 앱 프로젝트에 참여하면, 그 디자인 패턴에 대해 알아야 앱 구조를 이해하고 기능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고, 작업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겁니다.가장 좋은 패턴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패턴마다 장단점도 있습니다. 다만 어떤 패턴이든지 간에 구조화되고 정리된 코드는 쉽고, 직관적입니다. 이 글 하나만으로 앱 패턴을 완벽하게 마스터할 수는 없어도 패턴의 종류와 특징을 알게 되었다면 본전입니다. 다음 편도 기대해주세요! :-) 도움말 1) View Controller에서는 Controller가 View의 life cycle(라이프 사이클)에 관여하기 때문에 View와 Controller를 분리하기 어렵습니다.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Massive View Controllers라고도 불립니다. 앱을 테스트할 때, Model은 따로 분리되어 테스트를 할 수 있어도 View와 Controller는 강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테스트하기 어렵습니다. 참고문헌 iOS Architecture Patterns: Demystifying MVC, MVP, MVVM and VIPER글김주희 사원 | R&D 개발1팀[email protected]브랜디, 오직 예쁜 옷만#브랜디 #개발문화 #개발팀 #업무환경 #인사이트 #경험공유 #iOS
조회수 1851

파이썬의 개발 “환경”(env) 도구들

안녕하세요. 스포카 프로그래머 홍민희입니다.파이썬 패키징 생태계에서 개발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널리 쓰이는 virtualenv나 pyvenv, virtualenvwrapper 같은 각종 도구가 왜 필요한지 (또는 자신에게는 큰 도움이 안 되는지) 알려면 그 이전의 파이썬 라이브러리 배포 방식에 대한 이해가 많은 도움이 됩니다. 여기서는 필요한 몇 가지 역사적 사실과 파이썬 패키징 개념 중 현재의 생태계 이해에 필요한 것들을 위주로 정리하고, 최종적으로 각자의 필요에 따라 어떤 도구를 활용하면 될지 지침을 제안합니다.sys.path패키징이고 뭐고 아무것도 없던 90년대 말에는 라이브러리 소스 코드 파일들을 타르볼(tarball)로 압축해서 배포했습니다. 쓰는 사람은 그걸 자신의 애플리케이션 소스 트리 안에 풀어서 사용했습니다.파이썬에는 지금도 sys.path라는 인터프리터 전역적인 상태가 존재합니다. PATH 환경 변수가 실행 바이너리를 찾을 디렉터리 경로들의 목록인 것과 비슷하게, sys.path도 import foo를 하면 foo.py (또는 foo/__init__.py) 파일을 찾을 디렉터리 경로들의 목록을 담습니다. 그리고 기본 동작으로 그 목록의 맨 처음에는 현재 디렉터리(./)가 들어갑니다. 따라서 라이브러리 타르볼을 애플리케이션 소스 트리에 풀어두면 import해서 쓸 수 있습니다.하지만 자신이 작성한 애플리케이션 코드와 남이 작성한 라이브러리 코드를 같은 소스 트리에서 관리하는 것은 여러모로 불편합니다. 따라서 라이브러리는 애플리케이션 소스 트리와는 별도의 디렉터리(예: ../libs/)에 풀어서 관리하고, 애플리케이션 소스 코드 맨 위에 아래와 같이 써두는 패턴이 많았습니다.import sys sys.path.append('../libs') 또는 sys.path를 소스 코드를 건드리지 않고 조작하기 위해 PYTHONPATH 환경 변수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세기말, 파이썬 1.5를 쓰던 때의 이야기입니다.site-packages새 천 년이 밝았고 파이썬 2.0이 나왔습니다. 표준적인 라이브러리 배포 방식 및 설치 방식이 제안되었고, 표준 라이브러리에 distutils도 들어왔습니다. (지금도 setuptools는 distutils에 의존하고, pip는 setuptools에 의존합니다.) 제안된 방식은 이랬습니다.애플리케이션 코드가 아닌 라이브러리 소스 코드는 모두 /usr/local/lib/pythonX.Y/site-packages/ 디렉터리 안에 둡니다. X.Y는 파이썬 인터프리터 버전이고, 경로는 인터프리터를 빌드할 때 (./configure) 정합니다. 데비안 계열은 site-packages 대신 dist-packages라는 이름으로 바꿔서 빌드하는 등, 파이썬 인터프리터의 설치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어떻게 정하든 이를 site-packages 디렉터리라고 부릅니다.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빌드할 때 경로가 결정되므로, 파이썬 인터프리터 별로 각자의 site-packages 디렉터리를 갖게 됩니다. (한 시스템에서 여러 파이썬 버전을 설치했을 때 pip 역시 pip2.7, pip3.6 등과 같이 버전 별로 명령어가 생기는 것도 같은 이유입니다.)기본적으로 sys.path 목록에는 맨 앞에 현재 위치(./), 뒤쪽에는 site-packages 경로가 들어있습니다. import를 하면 현재 위치에서 찾고, 없으면 site-packages를 찾아본다는 뜻입니다.표준 라이브러리의 distutils.core.setup() 함수는 라이브러리 파일들을 시스템의 site-packages 디렉터리에 복사해주는 함수입니다. 라이브러리 타르볼 파일 맨 바깥에는 이 함수를 이용해 라이브러리를 시스템 site-packages에 설치해주는 스크립트를 setup.py라는 파일명으로 포함하는 관례가 있었습니다. pip 같은 게 없던 때에는 라이브러리 타르볼을 받아서 푼 다음 python setup.py install 명령을 실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라이브러리 설치법이었습니다. 지금도 pip는 *.whl 파일이 아닌 *.tar.gz/*.zip 파일인 패키지를 설치할 때 내부적으로 python setup.py install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참고로 이때 정립된 파이썬 패키징 표준은 리눅스에서 쓰이는 dpkg나 RPM 같은 일반적인 패키징 방식을 의식하며 만들어졌습니다.1 당시는 도커는 커녕 가상화 자체가 보편적이지 않던 때로, 한 시스템에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설치해서 쓰는 멀티테넌시 환경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입니다.workingenv파이썬으로 작성한 애플리케이션 여럿이 한 시스템에 설치되면 공통으로 의존하는 라이브러리의 버전을 결정하는 게 문제가 됩니다. A 애플리케이션은 foo >= 1.0.0, < 2>에 의존하고 B 애플리케이션은 foo >= 1.5.0에 의존하면 시스템에 설치할 수 있는 foo의 버전은 >= 1.5.0, < 2>으로 한정됩니다. 만약 C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려는데 foo > 2.0.0에 의존한다면, A나 C 중 하나는 포기해야 합니다.시스템에 파이썬 애플리케이션을 단 하나만 설치한다 해도, 설치하는데 시스템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다는 것도 문제였습니다. 일반적으로 site-packages 디렉터리는 시스템 관리자만 수정할 수 있고 나머지는 읽기만 가능한 /usr 아래 어딘가로 정해졌기 때문입니다. 이를 우회하려고 사용자가 시스템에 설치된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쓰지 않고 직접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빌드해서 사용하는 편법도 쓰였습니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프로젝트마다 별도의 site-packages 디렉터리를 두는 방식이 제안됐습니다. 나중에 virtualenv을 만들게 되는 이안 비킹이 그 전신인 workingenv를 만들어 이 아이디어를 실현했습니다. 현재의 virtualenv 사용 방식은 workingenv에서 만들어진 것입니다.애플리케이션마다 별도의 “환경”(env)을 만듭니다.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전에 우선 그 “환경”을 “활성화”(. bin/activate 또는 Scripts\activate.bat)합니다.workingenv가 만들어주는 활성화 스크립트는 PATH와 PYTHONPATH 환경 변수를 재정의하여 시스템에 설치된 파이썬 인터프리터의 실행 바이너리 디렉터리 및 site-packages 디렉터리를 가리키는 대신, “환경” 내의 bin/ 및 site-packages 디렉터리를 바라보도록 해줍니다. 이안 비킹은 이렇게 분리된 실행 파일들(bin/)과 site-packages 등을 묶어서 “환경”이라고 명명했는데, workingenv 이후로 파이썬 패키징 및 배포 분야에서 이 용어가 정착됩니다.최근에 만들어진 신생 언어의 패키지 관리자는 대부분 파이썬과 달리 애플리케이션·프로젝트마다 별도의 환경을 두고 설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npm은 -g 옵션을 일부러 켜지 않는 한 현재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node_modules 디렉터리에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게 되어 있고, 별도의 “활성화” 없이도 노드 인터프리터가 해당 경로에서 라이브러리를 찾습니다. 하지만 파이썬의 패키징 표준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멀티테넌시 환경이 일반적이었던 시대에 만들어졌고, 또 많은 라이브러리가 실행 파일도 함께 제공하기 때문에2 PYTHONPATH 뿐만 아니라 PATH 환경 변수도 재정의해야 해서 activate 과정이 필요합니다.workingenv는 파이썬 웹 프로그래머 사이에서 빠르게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정통적인 CLI 및 GUI 애플리케이션과 달리 FHS 표준 같은 것에 크게 구애될 필요가 없었고, 웹 애플리케이션의 배포도 점차 가상화 기술을 통해 완전히 격리된 시스템에 설치되는 식으로 보안 문제에서 많이 자유로워졌기 때문입니다.무엇보다 workingenv는 프로그래머가 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작업하는 경우 골치 아팠던 라이브러리 버전 충돌 문제를 우회했기 때문에, 배포 도구보다는 개발 도구로 정착되는 면이 컸습니다.virtualenv이안 비킹은 PYTHONPATH를 조작하여 별도의 site-packages 공간을 두는 workingenv의 방식이 복잡하게 패키징된 기존 라이브러리 및 프로젝트에서 호환되지 않는 문제로 골머리를 썩이다, 아예 PYTHONPATH를 이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새 도구를 만듭니다.새로운 방식은 아예 파이썬 인터프리터 실행 바이너리를 복사한 뒤, sys.path 기본값에 박힌 시스템 site-packages 경로를 환경 내 site-packages 경로로 바꿔버리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동작 원리의 차이는 이용자 입장에서 크게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하여튼 이안 비킹은 virtualenv라는 이름으로 새 도구를 만들었고, workingenv를 빠르게 대체했습니다.virtualenvwrapper앞서 언급한 것처럼, workingenv와 그 후계자인 virtualenv는 저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애플리케이션 배포보다는 개발 용도로 더 널리 쓰입니다. 파이썬 프로그래머가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는 항상 “환경”도 생성합니다. 또 개발을 시작할 때마다 “활성화” 과정도 거칩니다. 너무나 반복적이기 때문에 당연히 이를 자동화하는 도구도 만들어졌습니다. virtualenvwrapper는 바로 그런 목적으로 만들어진 bash/zsh/fish 스크립트 모음입니다.여러 단축 명령을 제공하지만, 핵심 기능은 다음의 두 가지입니다.A라는 프로젝트 작업을 시작할 때마다 cd ~/projects/a; . .venv/bin/activate라고 쳐줘야 했던 것을 workon a 명령으로 줄여줍니다.프로젝트 디렉터리마다 .venv/ 또는 .env/ 등의 이름으로 환경 디렉터리를 생성해두고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는 제외되도록 .gitignore 목록에 해당 디렉터리를 넣었어야 했습니다. 예를 들어 ~/projects/a/.venv/, ~/projects/b/.venv/ 같은 식이었습니다.virtualenvwrapper를 쓰면 환경 디렉터리들을 일정한 위치로 모아줍니다. 위치는 기본값이 없으며 virtualenvwrapper 설치할 때 WORKON_HOME 환경 변수를 통해 입맛대로 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WORKON_HOME을 ~/.virtualenvs/ 디렉터리로 정했다면, 프로젝트별 환경은 ~/.virtualenvs/a/, ~/.virtualenvs/b/ 같은 식으로 저장됩니다.pyvenv파이썬 3.3부터는 virtualenv가 아예 파이썬에 내장됐습니다. 환경을 만드는 명령어는 virtualenv가 아닌 pyvenv로 좀 다르지만, 그 이후의 과정은 같습니다. 파이썬 3만 사용한다면 이제 virtualenv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 것입니다.참고로 아래에서 설명할 pyenv와는 다른 도구입니다. 철자의 “v”에 주의해주세요.pyenv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는 하나의 파이썬 버전을 정하면 되지만, 라이브러리는 여러 파이썬 버전과 호환되어야 합니다. 그러다 보니 라이브러리 개발자는 여러 버전의 파이썬을 시스템에 동시에 설치할 필요가 있습니다. 데드스네이크스 PPA나 데드스네이크스 홈브루 탭 같은 것을 이용해서 설치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pyenv를 많이 씁니다.pyenv는 동시에 여러 버전의 파이썬을 시스템에 설치해주며, 이렇게 설치된 파이썬은 시스템의 패키지 시스템(데비안·우분투의 APT나 맥OS의 홈브루 등)을 통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pyenv가 다운로드와 빌드 및 설치를 직접 하여 별도로 관리합니다. 설치된 파이썬들은 PEP 394에 따라 일정한 형식으로 이름지어진 명령어(예: python2.7, python3.6)로 실행할 수 있게 됩니다.또한, 여러 파이썬 버전 중에 하나의 시스템 기본 파이썬 버전도 선택 가능하며, 특정 프로젝트 디렉터리 안에서만 기본 파이썬의 버전이 달라지게 할 수도 있습니다.pyenv-virtualenvpyenv가 여러 파이썬 버전을 동시에 설치해주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자동으로 site-packages가 프로젝트마다 격리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pyenv로 파이썬 3.6을 설치한 뒤, 파이썬 3.6으로 두 프로젝트를 한 시스템에서 개발할 경우 두 프로젝트는 시스템 site-packages를 함께 쓰게 됩니다.따라서 pyenv를 쓰더라도 virtualenv는 따로 써야 하는데, 따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pyenv-virtualenv를 쓰면 pyenv virtualenv 명령으로 프로젝트에 쓸 파이썬 버전 지정과 가상 환경 생성을 한 번에 할 수 있게 됩니다.비슷하게 pyenv와 virtualenvwrapper를 통합해주는 pyenv-virtualenvwrapper 같은 도구도 있습니다.마치며여러 파이썬 개발 환경 관리 도구를 소개했지만, 여기 있는 모든 도구를 꼭 써야 하는 것도 아니고, 가장 최근에 나온 도구로 하루빨리 갈아타야 하는 것도 아닙니다. 글을 쓴 저 자신도 pyenv 같은 도구가 나온 지 몇 년이나 지났고 주변에서 쓰는 사람이 많음에도 쓰지 않고 있습니다. virtualenvwrapper를 대체하는 Pipenv 같은 실험적인 방식3도 생겨나고 있지만, 어느 쪽이든 동시에 여러 파이썬 프로젝트를 작업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굳이 쓸 필요가 없는 도구입니다. 각자의 용도에 따라 필요한 수준의 도구를 이용하면 됩니다. 2017년 10월 현재, 아래의 지침으로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파이썬 프로그래머가 아니지만, 파이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서 이용합니다.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패키지 관리자(APT나 홈브루 등)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세요.파이썬 프로그래머가 아니지만, 파이썬 애플리케이션을 유난히 많이 이용합니다.pipsi를 이용해 파이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권합니다.파이썬 프로그래머이고,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합니다.파이썬 3.3 이상을 이용할 경우 pyvenv로 개발 환경을 만들어서 개발하세요. 그 이전의 파이썬 버전을 이용할 경우 virtualenv를 활용하세요.파이썬 프로그래머이고,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합니다.virtualenvwrapper를 활용하세요.파이썬 프로그래머이고,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파이썬 버전으로 개발합니다.pyenv-virtualenvwrapper를 활용하세요.파이썬 프로그래머이고, 라이브러리를 개발합니다.pyenv와 tox를 활용하세요.파이썬으로 만든 애플리케이션을 distutils를 통해 패키징한 뒤, RPM 기반의 리눅스 배포본 용으로 python setup.py bdist_rpm 명령을 통해 *.rpm 파일을 제공하기도 했습니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경우, 각 파일들은 리눅스 FHS 표준과 해당 시스템 설정에 따라 흩어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파이썬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국제화 라이브러리인 바벨은 pybabel 명령어를, 구문 강조 라이브러리인 파이그먼츠는 pygmentize 명령어를, 장고는 django-admin 명령어를 제공합니다. ↩저는 2017년 4월에 한 번 써보았으나, 아직은 실무에서 쓰기에는 이르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에 관한 그때의 제 감상은 별도의 글로 다루었습니다. ↩#스포카 #파이썬 #개발팀 #개발자 #인사이트 #후기 #일지
조회수 1600

2017 NDC 리뷰) 크립돈 퓨처 미디어와 하츠네미쿠

 이번글은 덕력이 솟구친다는!!!은 아니고요(진짜 아니에요), 혹시 "하츠네 미쿠"라는 캐릭터를 보신 적 있으신가요?하츠네 미쿠! 설마 처음보는 분들이 계신가요?? 출처: https://ec.crypton.co.jp/pages/prod/vocaloid하츠네 미쿠는 VOCALOID(보컬로이드)로서, 간단히 설명하면, 야마하에서 만든 음성 엔진입니다(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확인!). 해당 엔진을 기반(자세히는 VOCALOID2인데... 아, 저는 잘 몰라요 진짜예요...)을 기반으로 크립톤 퓨처 미디어사가 아티스트를 만들고, 이를 지적 재산권(이하 IP라고 하겠습니다)으로 창출해 낸 사례입니다! 해당 세션은 이 보컬로이드가 성공할 수 있게 된, 창작자들에게 프로그램 번들 시디를 팔던, 크립톤 퓨처 미디어사가 새로운 미디어와 아트의 중심에 설 수 있게 된 이유를 들을 수 있게 된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앞으론 말이 매우 딱딱하니 이점 히해해 주세요~! 시작하겠습니다!씨디파는 회사가 인터넷 시대를 맞이하며 겪게 된 위기, 그리고 해결방안. 앞서 말씀드렸든, 크립톤 퓨처 미디어(이하 크립톤이라고 하겠습니다)는 창작자들을 위한 서비스(또는 프로그램)를 번들 또는 디스크 형식으로 판매하는 회사였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세대로 들어서면서, 해당 사업이 사양되고 있고(디스크 판매> 콘텐츠 다운로드의 변화), 특히 음악 제작 서비스의 경우, 작은 시장의 규모 때문에 비즈니스에 대한 한계를 느끼고, 새로운 사업 영역을 펼쳐나가기 위해 방향 모색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크립톤이 생각할 수 있는 "자사가 가장 잘할 수 있는 것"을 생각해 보았을 때, "소리"라는 콘텐츠를 방점으로 서비스를 응용해 나가면서 스팩트럼을 넓히자!라는 생각을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시작한 것이 바로, 보컬로이드!라는 것이었죠.보컬 합성 기술(보컬로이드) + IP의 도입은 처음부터 성공적이진 않았습니다. 처음 크립톤은 야마하의 보컬로이드 기술을 기반, Leon과 Lola라는 소프트웨어를 제작,  당사에서 유통을 시작했을 때에는, 타깃 유저를 잡는데 실패해 매출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아래 사진을 보면 왠지 알 거 같...)첫 보컬로이드 레온과 로라입니다..... 음... 입술이 매력적 이네요.... 출처: http://vocaloid.wikia.com/wiki/Forever_(Zero-G_song) 그 이유는 해당 서비스를 사용할 것이라고 타게팅한 아티스트들의 경우, 목소리에 관해 리얼함을 추구하는 데, 해당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로 조정하는 음과 음성들이 리얼함이 다소 떨어져 전혀 니즈가 없었던 것이죠.그래서 트립톤은"해당 서비스를 진짜 사용하는 유저들은 어떤 사람들 일까?"에 대한 고려를 기반으로,"메이코"라는 일본어로 노래하는 보컬로이드를 제작, 흥미를 끌 수 있도록 캐릭터를 모티브로 하는 커버 디자인 작업 시작(안드로이드 아니 보컬로이드 이니깐요!)이제는 버전 쓰리가 된 메이코! (출처:http://vocaloid.wikia.com/wiki/MEIKO) 첫 출시 당시, 거부감도 있었지만, 당시 KPI 목표인 500개를 훌쩍 넘어 3,000개의 판매 성공을 거뒀고, 성공의 요인은 패키징 디자인과 단순한 아티스트뿐만이 아닌, 다양한 콘텐츠에 관심을 가지는 다양한 유저들을 유저들을 이끌 수 있는 요소들이 있어서 라고 판단하였다고 합니다. (서비스를 사용할 것이다 라는 사용자의 경험에 대한 고려를 더 많이 한 포인트라고 생각되는 부분이지요!)메이코 이후 드디어 그분을 만들어 내는 것을 준비합니다.크립톤은 이때부터 정말로 사용자들이 무엇을 원하는가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한 것 같다고 보이는 포인트입니다. 메이코의 등장 이후, "하츠네 미쿠"라는 캐릭터 산업으로 만들어 내는 것을 준비합니다. 그리고 해당 캐릭터를 하나의 "사업전략"으로 생각해 낸 이유는 메이코의 KPI달성도 있겠지만, "사람의 목소리와 극히 다른 목소리로 노래를 부르게 된다면, 이상하지 않을까?라는 부분을 오히려 역으로 기획, "인간이 아닌 다른 안드로이드가 하는 노래"라는 새로운 존재로서 IP를 만들어 버린 것이죠!또,  캐릭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성격을 가질 수 있도록 "성우"라는 시스템을 집어넣어 "특별한 존재"라는 특징 성을 추가하였고, 기존의 보컬로이드는 "인간의 가수를 대체하는 것"이었으나, 하츠네 미쿠는 "안드로이드 가 부르는 진짜 보컬로이드"라는 접근을 통해 새로운 존재를 만들고, 메이코 디자인을 기반으로, "아이돌 라이즈 된 새로운 사이버 가수"를 만든 것이죠!아아.... 이제 고인이 되신 사이버 가수 아담... (http://beautinaru.tistory.com/196 또한, 해당 콘텐츠를 기반으로 음악을 만들었던 유저들에게 레트로 한 마크들을 집어넣어서 예전에는 이랬었지 라는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해당 콘텐츠를 기반으로 다시 작업을 할 동기를 줄 수 있도록 유저들의 의견을 듣고 반영하는 일들을 굉장히 많이 했다고 합니다!그리고 하츠네 미쿠의 진정한 아이덴티티를 생성합니다. 그것은 바로 Chain of Co-creation!!!하츠네 미쿠가 이렇게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저는 하나만 꼽으라 라고 한다면 이쁘잖아요! 가아니라... "확산 가능 여부"에 대한 많은 고려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인터넷 덕분에 음악 등을 만드는 사람들이 쉽게 업로드하고 공유할 수 있는 많은 플랫폼들이 생성되는 현실.덕이 많은 분들이 공유를 통해 자아실현을 하는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움직임이 확산.콘텐츠가 콘텐츠를 만들고 퍼져나가는 순기능적인 부분들이 늘어나는 현상들을 확인하고,2차 3차 저작물을 통한 확산> Chain of co-creation의 순선환 적인 기능들이 생겨나는 것이죠!! 그리고 그런 상황을 기반으로, 궁극적으론,모든 사람들이 제작자가 될 수 있는 현실 상황을 받아들이고,제작할 수는 있지만,  저작에 관련한 법률 등에서 막히는 상황을 막기 위해, 창작자들의 창작활동을 돕고, 실제 업로드된 콘텐츠를 기반으로, 실제 사업이 일어날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합니다!그리고 수익화를 통해서 창작자들이 창작활동 = 수익활동이 될 수 있도록 플랫폼 화를 추진한 것이죠!그래서 처음 하츠네 미쿠가 나온 2007년부터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보컬로이드"의 선두 주자로 전 세계적으로 콘서트를 다니며 성공적인 투어를 하고 있습니다.투어는 계속된다. (출처: http://mikuexpo.com/) 저는 하츠네 미쿠가 단지 덕후들의 승리라고 요만큼도 생각하지 않습니다.하츠네 미쿠를 성장시킬 수 있었던 건 "우리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어떤 유저들에게 더 많은 강점이 있고, 해당 유저들은 어떤 행동을 통해서 자아를 성찰할 수 있을까? 그리고 해당 행동을 통해 유저가 얻는 궁극적인 이익들이 잇을까?"를 생각했던, 크립톤의 유저를 생각하는, 유저의 직접적인 경험을 서비스에 반영하려고 하는 강한 의지가 해당 서비스를 성공시킬 수 있게 한 요인이라고 생각해요. 그런 의미에서 저에겐 정말로 뜻깊고 즐거웠던 세션이었습니다!P.S.: 이제 슬슬 NDC2017 영상들이 올라오기 시작하네요! 관심 있는 분들은 https://ndc.nexon.com/main에서 확인해 보세요~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소 글이 엉망진창이라도 이해해 주세요! #코인원 #블록체인 #기술기업 #암호화폐 #스타트업인사이트
조회수 2052

Backbone 적용기

Backbone이란?Backbone은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로 MVC 패턴을 적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유용한 프레임워크입니다. MVC 패턴에 대해서는 밑에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간단히 Backbone을 적용한 후의 장점을 소개하면 깔끔하게 뷰와 로직을 분리할 수 있어 코드를 유지 보수하는데 드는 시간이 줄며 기능 수정 혹은 기능 확장이 쉬워진다는 점등을 들 수 있습니다.또한, Backbone에서는 Underscore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데, 이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템플레이트 기능을 통해 뷰의 재사용과 설계를 쉽게 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입니다.만약 서버 측에서 RESTful한 URL을 제공한다면, Backbone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이점이 더 확실해집니다. 모델에 RESTful한 URL을 제공하면, 간단하게 서버와 동기화하면서 그에 따르는 뷰의 변화 따위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RESTful한 인터페이스 설계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이전에 올라온 글을 참조해보세요. Backbone 기반으로 설계된 여러 웹 애플리케이션 중에는 여러분이 잘 알고 있을만한 서비스들도 있을 것입니다.MVC 패턴?이미 MVC라는 용어에 익숙하신 분들도 많겠지만, 생소하신 분들을 위하여 간단히 정리해보면 MVC 패턴은 디자인 패턴 중의 하나로 모델(실제 쓰일 데이터)과 모델을 보여줄 뷰(인터페이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받아 모델과 뷰를 중재하는 컨트롤러로 나누어서 구현을 해나가는 방식을 말합니다. GoF 책에도 이 패턴이 소개되어 있지요.모델은 뷰나 컨트롤러와 무관하게 작성되는데 그런 모델을 뷰가 관찰하고 있다가 모델의 변화에 따라 적절히 뷰의 모습을 바꾸게 되므로 서로 투명하게 작동하게 됩니다. 즉 모델만 잘 설계해서 만들어주고 그에 따르는 뷰의 모습만 정의하면 그다음부터는 지저분하게 모델의 상태에 따르는 코드를 직접 처리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Backbone이 MVC 패턴을 적용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라고 하였지만, 실제로 Backbone에서는 MVC 패턴의 변형인 MVR 패턴을 사용합니다. 컨트롤러 대신 Router가 쓰이는 형식인데, 이 링크에서 Backbone의 Router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Router가 컨트롤러의 역할을 대행하는 것은 아니고, 대부분의 Backbone 예제를 살펴보면 실제로 컨트롤러가 담당하는 업무들을 뷰에 이관하여 처리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MV* 패턴 중에는 MVP 패턴이나 MVA 패턴 같은 MVC 패턴의 변형들이 존재합니다만 그 바탕을 이루는 Model-View의 관계는 변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Simple code snippet간단한 예제를 통해 실제 코드 상에서 어떤 식으로 Backbone을 적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모델먼저 모델을 정의해야 합니다. 가령 밑의 코드에서는 사각형 모델을 정의하고 있는데요, 기본값을 지정해 줄 수 있고, 사각형 모델과 관련된 함수들을 정의해놓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var Shape = Backbone.Model.extend({ defaults: { x:50, y:50, width:150, height:150, color:'black' }, setTopLeft: function(x,y) { this.set({ x:x, y:y }); }, setDim: function(w,h) { this.set({ width:w, height:h }); }, });이렇게 Backbone.Model.extend 함수를 통해 모델의 청사진을 구성하게 됩니다. 이 모델을 이용하여 뷰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콜렉션Backbone.Collection.extend({ model: Shape });많은 상황에서 복수의 모델을 다루게 될 일이 생깁니다. 가령, 게시판에 올라온 글들은 게시물의 집합이라고 볼 수 있겠죠. 콜렉션을 통해서 이러한 복수의 모델의 집합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위의 코드에서는 앞서 소개한 Shape 모델의 콜렉션을 정의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모델과 마찬가지로 콜렉션도 뷰에 바인딩할 수 있고, 콜렉션에 관련한 이벤트(change, add, remove)를 뷰과 관찰하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Underscore 라이브러리에서는 콜렉션과 밀접하게 관련된 여러 함수를제공합니다.뷰var DocumentRow = Backbone.View.extend({ tagName: "li", className: "document-row", initialize: function() { this.model.bind('change:name', this.render); }, events: { "click .icon": "open", "click .button.edit": "openEditDialog", "click .button.delete": "destroy" }, render: function() { // render or update something } });기본적으로 뷰에 뷰와 관련된 모델이나 콜렉션을 바인딩하게 되는데요, 이 바인딩을 통해 뷰는 모델이나 콜렉션의 상태를 관찰하고 변화를 감지하여 바인딩 시 전달한 핸들러를 통해 적절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위의 예제를 보면 모델의 name 속성 변경 시 render 함수를 호출하도록 바인딩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뷰에 관련한 이벤트와 그에 관련된 핸들러를 events에 정의해놓을 수 있습니다. 보통 render 함수 내에서 뷰를 구성하거나 혹은 바인딩 된 모델, 콜렉션의 변화에 따르는 뷰의 변화를 적용하게 됩니다.뷰에 관련된 더 자세한 사항은 뷰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템플레이트var compiled = _.template("hello: <%= name %>"); compiled({name : 'moe'}); => "hello: moe"Underscore에서 제공하는 템플레이트 기능을 이용하여 문자열을 곧바로 html 요소로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또한, 템플레이트 내에 자바스크립트 함수 등을 삽입하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기본적으로 Underscore에서 템플레이트 기능을 제공하지만, 그 외에도 여러 라이브러리가 있습니다.가령 mustache를 이용해서도 똑같은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템플레이트 라이브러리를 바꿀 수 있다는 점이 매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Backbone 공식 사이트에서도 이러한 템플레이트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Ember.jsBackbone이 나름의 역사가 있는 프레임워크이기 때문에 많이 쓰이고 있지만, 그 외에도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프레임워크가 많습니다. 그 중의 하나인 Ember.js가 있습니다. Ember.js의 장점이라면 기본적으로 Handlebars라는 템플레이트 라이브러리를 지원함과 동시에 Backbone보다 심화된 여러 기능을 제공하는 점이 있습니다.그러면서도 사용의 꼴이 Backbone과 비슷하므로 만약 Backbone을 사용해 본 적이 있다면 적응하기도 쉽습니다. 참고로 아래에 여러 MVC프레임워크를 소개하고 장/단점을 분석한 사이트의 링크를 달아두었는데 여타의 프레임워크보다 더 좋은 점수를 받기도 하였습니다.Backbone 말고 다른 MVC프레임워크를 원한다면, 특히 자체 템플레이트 라이브러리를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를 원한다면, Ember.js 사용을 고려해 보는 것이 어떨까요?더 읽어볼 만 한 것An Intro to Backbone.jsBackbone.js by exampleBackbone Tutorials위의 사이트들은 제가 Backbone을 공부하면서 참고한 사이트들입니다. 영문 사이트이지만 코드만 훑어 봐도 그 의도와 얼개는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Backbone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튜토리얼 사이트도 방문해볼 가치가 있습니다. Backbone을 이용하여 개발한 간단한 서비스의 소스코드를 공개해 놓았습니다.The Top 10 Javascript MVC Frameworks ReviewedJourney Through The JavaScript MVC Jungle위 두 사이트에서는 앞서서 소개한 Backbone과 Ember.js 외의 여러 MV*패턴 프레임워크를 소개하고 장단점에 대하여 분석해놓았습니다.마치며이상으로 Backbone 도입과 그에 따르는 장점을 살펴보았습니다. 일반적인 홈페이지와 제작과는 약간 양상이 다른 웹플리케이션(웹 + 애플리케이션)개발자 분들은 프로젝트에 MVC 패턴 프레임워크를 적용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프로젝트의 생산성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스포카 #개발 #개발자 #인사이트 #Backbone #일지 #개발팀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